• Title/Summary/Keyword: 해역

Search Result 4,70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영강하구의 오염물질 확산실태에 관하여

  • 박상길;라동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240-246
    • /
    • 1991
  • 하천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 지면서 이에따라 연안해역의 오염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현재 도시생활 오수를 저화시키고 있지만 완전히 정화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하천의 오염이 연안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도입하여 파랑의 흐름이 공존하는 해역에 대한 수치계산을 실행하여 각종 오염물질이 연안해역에 미치는 오염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 PDF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 Jun, Eun Ju;Yi, Yong Min;Lee, Dae In;Kim, Gu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726-734
    • /
    • 2018
  • The total number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reviewed from 2015 to 2017 were 60. The number of development projects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ecreased steadily, but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increased. Development types in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showed that artificial structure installation was the highest ratio, followed by fishery port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habor and coastal maintenance and sea water intake and draining. By comparing the trend of water quality changes using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data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areas from 2006 to 2017, COD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but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increased slightly, and the concentration of TN and TP decreased. Gwangyang and Masan bays in the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and Gamak bay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isplayed oxygen deficient mass in the summer. As the use of development projects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sufficient water quality changes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should be evaluated mainly for management of contamination by diagnosing thoroughly water quality effects and the pollution of sediment. Especially, the water quality goal for the purpose of designation in each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is set clearly, connection with pollution source control and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should be proposed and measured to reduce th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Distribution Patterns of Polychaete Assemblage and Benthic Quality Status Estimated by AMBI in Jindo-Jejudo Subtidal Areas (진도-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다모류의 분포양상과 건강도 지수를 이용한 저서환경 평가)

  • Kim, Kwang-Bae;Jung, Yoon-Jin;Oh, Jeong-Kyu;Kang, Hoon;Kim, Dong-Young;Lee, Dong-Hoon;Lim, Seong-Ryul;Son, Dae-Sun;Ma, Chae-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4
    • /
    • pp.203-214
    • /
    • 2021
  • Assessment of benthic quality status was implemented along the subtidal areas of Jindo and Jejudo to understand faunal structure of polychaete assemblages and ecological quality of the benthic environment. Sediment analysis was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of both mud and sand in Jindo, and a little higher sand in Jejudo instead. A total of 68 polychaete species were found at 14 sampling stations with a mean density of 231 inds./m2, and 61 species, 167 inds./m2 and 62 species, 295 inds./m2 in Jindo areas and Jejudo areas. Dominant species found in Jindo areas were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and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in Jejudo. With a help of clus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ampling stations showed distinctive pattern of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benthic quality status in Jindo and Jejudo except sampling station numbers 5 and 6, respectively. AMBI analysis the results were 1.2-3.4, grade V benthic polychaetes did not appear. It was evident that both Jindo and Jejudo had different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assemblages.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 Focused on Typhoon Intensity -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태풍 세기를 중심으로 -)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1
    • /
    • 2011
  •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태풍의 세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약 6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50도 이서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 PDF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E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한국 동해안 냉수괴의 해양화학적 고찰)

  • PARK Chung Ki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1 no.2
    • /
    • pp.49-54
    • /
    • 1978
  • The cold water mass appeared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season was studied in aspect of chemical oceanography. Such a typical relationship between phosphate and dissolved oxygen as shown in the upwelling regions could not be found in the east coast except around the Kampo coast, southern part of the east coast.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North Korean Cold Water from tile proper water of tile Japan Sea by using $\sigma_t-O_2$ diagram. The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is not mainly due to the development of upwelling of the proper water of the Japan Sea but thesouthwardflolvingoftheNorthKoreanCold Water.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ld Water Appearance and Fog Formation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한국 남서연안해역의 저수온 출현과 안개 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Yun Jong-Hwui;Jeon Hee-Dong;Cho Kyu-Dae;Kim Dong-Seon;Lee Eun-Ba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6 s.102
    • /
    • pp.583-588
    • /
    • 2005
  • It is known that the cold water appears and fog frequently forms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in summer. The authors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ime and place of cold water existence, and also whether the cold water affects the occurrence of fog formation. As a result, cold water begins to appear around Daeheugsando at the early summer and cold water area gradually moves toward southwest of Jindo in end July${\~}$early August, then disappears in this area around mid-Oct. Fog mostly forms in April through August and most frequently occurs at Jindo where sea surface temperature shows lower than that at the adjacent area Accordingly it is taken that the cold water considerably contributes to form the dense and frequent fog around Jindo area.

Characteristic of in-situ ocean optical data in Kongsfjorden, Svalbard during Arctic summer (August 2006) (북극 스발바드섬 콩스피오르덴만의 여름(2006년 8월) 기간 해양광학적 특성 연구)

  • Moon, Jeong-Eon;Ahn, Yu-Hwan;Yang, Chan-Su;Park,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10-215
    • /
    • 2007
  • 북극 다산기지가 있는 니알슨 인근 해역인 Kongsfjorden만은 일부 해역이 해빙으로 덮혀 있는 반폐쇄적인 만으로 수심이 평균 200m 이상 된다. 이곳 북극 지방은 하절기 라도 태양의 고도가 낮아 해색위성분야의 극지활용에 대한 가능성 여부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극 다산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드 군도의 니알슨 주변 해역(Kongsfjorden 해역)을 중심으로 2006년 8월 현장관측된 자료들을 유사한 시기의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현장관측된 자료들과 비교/분석하여 해양환경적 특성과 해수광학적인 특성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북극 지방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해수의 광 특성으로, 니알슨 주변 해역의 ${\alpha}^*_{ph}(440)$ 최대값은 $0.1m^2/mg$으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ph}(440)$ 최대값보다 약 2배정도 높게 측정되어 플랑크톤의 광 흡수효율이 중위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lpha}^*_{ss}(440)$ 값은 $0.04-0.1m^2/g$으로 동중국해와 유사하며,한반도 주변해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Kongsfjorden 해역의 부유물질(SS) 구성성분이 동중국해와 유사한 무기광물 입자로 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lpha}_{dom}(400)$ 값은 $0.08-0.25m^{-1}$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dom}(400)$이 값과 유사하고 연안해역의 ${\alpha}_{dom}(400)$ 값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E_d(460)$의 평균값은 Konsfjorden 해역 $40mW/cm^2/{\mu}m$, 동중국해 $120mW/cm^2/{\mu}m$, 황해남부 $110mW/cm^2/{\mu}m$, 남해연안 $100mW/cm^2/{\mu}m$, 진해만 $100mW/cm^2/{\mu}m$이었다. 이와 같은 현장관측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북극 다산기지 주변 해역의 해수광학적인 환경 특성은 용존유기물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볼 때 대양(Open Sea)의 광 특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북극지방에서 태양의 해수 입사 광량은 중위도의 약 40%정도이지만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CALCULATION OF THE HEIGHTS OF STORM SURGES OF THE COAST SEA AREA OF JEJU ISLAND (제주도 연안해역의 폭풍해일고 산정)

  • Lee, Seung-Ho;Yang, Sung-Kee;Kim, Sa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32-1035
    • /
    • 2008
  • 제주도 연악해역의 해일재해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도 연안해역의 폭풍해일과 기상조에 등에 의한 해일발생 및 피해의 자료를 분석 검토하고 제주도 연안해일의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도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과거 태풍 중 각종 기록경신과 많은 피해규모를 준 태풍들을 대상으로 바람장 및 해일고를 분석 검토하여 태풍의 진로에 따른 해수면 상승을 산정하기위해 폭풍해일 수치모형(POM) 실험을 실시하여 폭풍해일고를 산정하였다. 제주항과 서귀포항 주변해역의 폭풍해일고를 산출하기 위해 16년간($1987{\sim}2003$)까지의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중 8개를 선정(Maemi, Rusa, Prapiroon, Olga, Yanni, Janis, Gladys, Thelma)하여 폭풍해일고를 산출하였다. 수치모의 한 결과를 보면, 제주와 서귀포 연안해역에서 발생한 8개의 태풍에 대한 폭풍해일고의 발생시각은 대체적으로 관측된 해일고의 발생시각 보다 약간 늦게 해일이 발생하였지만 전체적인 해일의 시간변화나 크기는 비교적 잘 재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 연안해역의 서귀포항 연안해역보다 높은 해일고를 보였으며, 해일고는 제주항, 서귀포항 모두 1m를 넘지 않았다. 제주항이 서귀포항에 비해 약간 높게 나온 이유는 태풍의 위치, 지형 및 수심, 태풍이 통과할 당시의 조석상황 등의 차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주항과 서귀포항 연안해역이 폭풍해일고가 서해안이나 남해안에 비해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주도 해안선이 비교적 평탄하고 평행하게 이루어 졌으며 남해안에 비해 수심이 깊고 만의 형태나 V자형 및 긴내만이 발달한 지형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정밀한 예측을 위해서는 정밀한 수심자료 및 격자를 이용한 계산의 결과가 필요하며, 연안개발로 인한 지형과 수심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수치해도 DB구축이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of guideline to use dispersants (유처리제 사용해역 선정기준개발)

  • Lee Moon-Jin;Sung Hong-Gun;Kang Chang-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1
    • /
    • pp.29-35
    • /
    • 2006
  • A guideline for decision of dispersants use zone was developed at the twelve local sea areas covering the whole Korean sea. In this study, the water depths and damage to sensitive resources were considered as the conditions of the decision of whether or not to use dispersant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decision, three kinds of zones were specified as following; 1) dispersants usable zone, 2) dispersants use approvable zone, 3) dispersants use restrictive zone. As the result, dispersants use zone at the twelve local sea areas covering the whole Korean sea a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