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플랜트 운영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운영 인력양성 방안

  • Jeon, Sang-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96-398
    • /
    • 2011
  • 해양플랜트 개발 현황과 해양플랜트 운영인력 구조 및 우리나라 인력양성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인력의 해양플랜트 산업 진출 방안과 그 규모를 전망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 PDF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 육성방안 연구

  • Park, Gwang-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93-395
    • /
    • 2011
  • 해양플랜트 산업은 광의에서는 해양자원을 활용하거나 이용하기 위한 일체의 설비이나, 협의로는 해양 석유 및 가스 탐사, 굴착 및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해양플랜트 건조 이후의 산업으로 크게 운영사업(생산 및 유지보수)과 지원사업(운송, 설치, 부대사업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 건조산업은 세계 1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산업에 진출한 기업이나 인력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해양플랜트 DP 시스템

  • O, Jin-Seok;Bae, S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05-407
    • /
    • 2011
  • 해양플랜트는 일반적으로 Offshore라고 일컫는 심해 자원을 생산하기 위한 산업 분야를 비롯하여, 해상 풍력 및 조류와 파랑을 이용한 에너지 자원 개발과 관련된 발전 설비 등 해상에 설치되는 모든 사회 기반 시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양플랜트는 점차 고도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미개척 해양 지대로 진출하게 되는데, 육상과 고립되어 해양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안정적인 시스템을 요구한다. 이는 곧 해양플랜트 설비 자체와 운영 인력들의 안전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해 및 정밀 위치 유지를 위한 DP(Dynamic Positioning) 시스템은 해양플랜트에 반드시 탑재되어야 하며, 운영 환경에 따라 차별화된 DP 시스템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해양플랜트 핵심장비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발이 추진되어야 하며, DP 운영 인력도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해야한다.

  • PDF

A study on entry into the offshore service market through slack model (해양플랜트 서비스 시장에의 진입 방안 연구 -슬랙모델을 이용하여-)

  • Oh, Jin-Seok;Kim, Gil-Soo;Merdas, Reza;Jang, Jae-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2
    • /
    • pp.163-170
    • /
    • 2014
  • Domestic offshore business is oriented toward building drill-ships, FPSOs(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 loading). But the equipments needed for offshore platforms are not so developed in Korea because the equipments can not be verified in Korean territory where the offshore platforms are not stationed. This study aims at finding some methods on entering into OSI for the maintenance and disassembly of fixed offshore platforms. Slack model is adopted to find out how slack assets could play a role in penetrating foreign markets. Firstly, entry into the South East Asian market is recommended. Secondly, forming a consortium is suggested by which taking part in offshore market can be easier. Finally, strategic plans for obtaining the technology for ship building equipments are needed as well as government support.

Development of NORSOK T-100-based telecom management system for off-shore installation (NORSOK T-100 기반의 해양플랜트용 TMS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 Mun, Seong-Mi;Jang, Won-Seok;Park, Su-H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0 no.3
    • /
    • pp.210-216
    • /
    • 2016
  • Malfunctioning of telecom systems can have serious implications on the safe navigation and operation of vessels and off-shore plants. Most safety-related accidents incur significant monetary damages and pollution due to complicated arrangements of the working environments and facilities. Therefore, an automated monitoring system that can collect data from configured telecom equipment connected to a network based on IP is required to ensure safe navigation and operation of such crucial institutions. This paper reports a list of such system requirements, system functions, and user-centered requirements based on the NORSOK T-100 (a standard of telecom management system). These findings were made through research with the newly designed and developed telecom management system (TMS). The TMS was tested by a testbed configured with CCTV, PA/GA, and other network equipment.

동적위치제어선박의 위치손실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 Jeong, Min-Yeong;Y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96-97
    • /
    • 2019
  • 동적위치제어선박의 위치손실사고는 해양플랜트 운영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고의 원인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년간의 위치손실사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존에 있었던 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DPO교육훈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MF DGNSS 인프라를 이용한 항법 신호의 야간 특성 분석

  • 손표웅;한영훈;서기열;황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12-414
    • /
    • 2022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s)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전파 교란 및 기만에 대한 GNSSs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미국, 러시아, 유럽 등 자체적으로 GNSS를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는 국가조차도 GNSS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부가적인 항법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그 중 현재 운영 중인 Medium Frequency (MF)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Differential GNSS (DGNSS) 정보를 전달하는 인프라를 활용하여 항법 신호를 송출하는 Ranging Mode (R-Mode) 시스템이 유럽과 한국을 중심으로 개발 중에 있다. 하지만 MF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일몰 이후에 전리층 일부가 소멸되면서 상위 전리층에서 신호가 반사되어 지표면에서 강한 세기로 수신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런 특성은 지표를 통해 전파하는 원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 큰 오차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송출되고 있는 R-Mode 신호의 야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충주, 어청도 DGNSS 기준국에서 송출하고 있는 R-Mode 신호를 다양한 안테나 종류로 수신해보고, 항법 시스템의 정밀도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특성에 대한 보완방법을 모색하였다.

  • PDF

A Design of IT Conversio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Offshore Plant (IT융합 해양플랜트 원격 감시 시스템 설계)

  • Hwang, Hun-Gyu;Kim, Hun-Ki;Lee, Jae-Woong;Kim, Min-Jae;Yoo, Gang-Ju;Lee, Se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847-850
    • /
    • 2013
  • An offshore plant exposes environmental threats which are typhoon, tidal wave and etc., also the offshore plant exposes artificial threats by fire and collision of ship. In this paper, we design an IT conversio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rotection from environmental and artificial threats using camera, AtoN AIS. The system helps to monitor possible situations around offshore plant remotely. Therefore, we handle the situations appropriately and manage the offshore plant safely.

  • PDF

원격지에서의 비상상황 조기 식별을 위한 항적 데이터 기반 연구

  • 김혜진;최진우;박정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IMO MASS CODE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원격운영센터(ROC)에 대한 용어, 개념, 임무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원격제어, 무인제어 등의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원격지에서의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상황 모니터링이 지속되어야 하고, 비상상황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지에 대한 비상상황 식별을 위해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DB 구축 및 알고리즘 개발을 수행하였고, 이를 원격운영자의 관점에서 프로토타입으로 기능 구현을 시도하였다. DB 및 알고리즘간 연계와 물표 데이터 수신 및 처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모니터링 및 잠재된 비상상황에 대한 알람 기능 등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울산해역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향후 성능 평가를 통해 고도화할 예정이다.

  • PDF

Research on the Technology for MASS Arrival and Departure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지원 기술에 관한 연구)

  • 김혜진;김동함;박정홍;강민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74-75
    • /
    • 2023
  • 선박의 자율지능기술은 국방분야에서 무인화 기술 개발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해운분야에서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해상 물류의 수단으로 사용화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항만 입출항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해서 요구되는 기능을 식별하고, 요구 기능이 개발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검토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 지원을 위해서는 항만과 선박의 정보 공유 및 동기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고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및 운항 경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