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생물

Search Result 1,77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Construction of High Quality Marine-Bodiversity Metadata DB (해양생물다양성 메타DB 고품질 구축 연구)

  • Yang, Sung-Yo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9-462
    • /
    • 2011
  • 해양생물다양성 자원에 대한 국가 주권을 인정하는 해양생물다양성협약의 발효로 생물다양성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각 기관 및 대학들이 보관하고 있는 해양생물자원 정보가 산재되어 있고, DB에 대한 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학술적, 산업적 활용이 어려운 상황임을 인지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생물다양성 자원 중 고품질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해양생물다양성 데이터 고품질 확보 방안을 위한 DB 품질 오류율 산정 기준을 적용하여 메타DB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향후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전략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Illustration Desig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Life -Centered on the colors and forms of Marine life- (해양생물의 특징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연구 -해양생물 색채와 형태를 중심으로-)

  • NIU, MINGHUI;Cho, Joung-H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1
    • /
    • pp.189-199
    • /
    • 2022
  • While modern illustration designs require originality, the shape and color of marine life provide rich materials for illustration creation. Illustration has a very high artistic creation value. Based on the knowledge of color science and visual form design, this study takes illustration design and marine biology as the main research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① The typical features of Marine life are sorted by color and form. ② Lead out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Marine life. ③ Combine Marine life with illustration design to make design cases. Through research, it is highlighted that the curve feature is a typical feature for distinguishing marine organisms from terrestrial organisms. The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lor phenomena of tropical fish help to extract and process the color of marine tropical fish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ropical fish, and apply it to the illustration design.

어류의 연속행동계측을 위한 SSBL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주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7-50
    • /
    • 2003
  • 초음파 발신기(핑거)에 의해 원격으로 해양생물을 추적하는 방법(이하 바이오텔레메터리 라고 한다)은 해양생물에 핑거를 부착하여, 핑거가 발사하는 음을 표적으로 해양생물의 행동생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바이오텔레메터리의 최대 장점은 대상생물의 순간적인 행동생태와 서식환경을 동시에 상세하게 조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것은 다른 방법으로는 실현하기가 어렵다. (중략)

  • PDF

Effect of Dictyopteris divaricata Extracts on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 Chul Hwan Kim;Seok-Chun Ko;Hyun-Soo Kim;Gun-Woo Oh;Ji-Yul Kim;Kyung Woo Kim;Jeong Min Lee;Myeong-Seok Lee;Yun Gyeong Park;Gyeong Lee;Jae-Young Je;Jung Hye Won;Young Jun Kim;Dae-Sung Lee
    •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15 no.2
    • /
    • pp.59-66
    • /
    • 2023
  • Dictyopteris divaricata, a type of marine brown algae, has been studied for its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whitening effects. However, its potential antiobesity effects have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 divaricata ethanol extract (DD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using 3T3-L1 preadipocytes. Our results showed that when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noncytotoxic concentrations of DDE there was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fat accumulation rate and triglycerid produ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Furthermore, DD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PPARγ, C/EBPα, and SREBP-1) and fatty acid transport protein (FABP4), which are crucial for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DE may exhibit antiobesity effect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l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Therefore, DDE hold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MOMAF's Strategies for Marine Biotechnology R&D

  • Im, Hyeon-Cheol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57-61
    • /
    • 2003
  •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하고 있는 해양은 평균 수심이 4,000 m, 염분 농도가 35%$_{o}$, 해수의 $90{\sim}95%$의 평균온도가 $5^{\circ}C$ 이하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높은 수압, 고염도, 저온 등 육상에 비해 극한 환경에 속한다 할 수 있는 해양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해양생물은 육상생물과는 다른 특성을 발전시켜왔다. 이러한 육상 생물과는 다른 물질이나 기능을 바이오산업에 이용하려는 추세가 급증하고 있어 해양생물은 생명공학의 주요 자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좋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한 해양바이오 독자기술의 확립과 특화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아직 타부처에 비해 미미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해양바이오 산업을 미래 첨단 국가기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양바이오 연구사업의 현황과 신규 대형 장기 연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마린바이오 21 사업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에 의한 중금속 (Cd, Pb, Cu)의 생물축적에 관한 연구

  • 김성길;곽희상;강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9-240
    • /
    • 2000
  • 산업사회의 발달로 해양생물이 살아가는 생태계는 지역에 따라 자연적인 정화 능력 이상의 많은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있으며, 이는 연안 생태계 내에 살아가는 생물이나 그 생물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Johnston, 1976). 이러한 중금속의 악영향으로 인하여 중금속에 대한 생물축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생물을 biomonitor로 활용을 하며, 대형 수생식물, 이매패류, 다모류, 따개비류 및 어류 등을 이용하여 중금속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환경 평가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Rainbow, 1995). (중략)

  • PDF

Preventing marine organisms adhesion by oil-infused PDMS (오일이 주입된 PDMS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부착방지 방법에 대한 고찰)

  • Kim, Su-Yeong;Yun, Yeong-Cheol;Im, Chae-Gang;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5-45
    • /
    • 2018
  • 홍합, 따개비 등의 접착성 해양생물은 선박의 하부나 발전소 해수 공급용 튜브에 부착하여 운영 효율을 저하 시키고, 냉각기기 고장을 유발하는 파울링(Fouling) 문제를 야기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초접착성 해양생물이 주로 부착하는 부위에 $Cu_2O$, ZnO 등을 포함한 유기화합물로 표면처리를 하여 부착방지를 하고 있지만, 이 소재들을 장시간 사용 시 해양 오염 및 부식을 가속화하는 문제를 초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 소재 문제를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초접착성 해양생물 부착방지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표면장력을 갖는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를 기반으로 소수성 oil을 침투시킨 I-PDMS(Oil-Polydimethylsiloxane) 표면처리법을 고안하였고, 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접착성 해양생물에 대한 부착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개발품들 보다 성능이 향상된 I-PDMS 제조하고자, Nano-indentation을 이용한 기계적 특성 평가, X컷 및 cross-cut을 이용한 부착력 평가, 실제 바다환경에서 해양생물의 부착력 시험, 바다 환경을 모사한 수조에서의 I-PDMS와 비교군 기판에서의 홍합 거동, 홍합과 기판의 접착강도 시험, 해양 미생물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I-PDMS 성능 및 내구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PDF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and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for 3D Realistic Experience-Based Learning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콘텐츠)

  • Won, Yong-Tae;Kim, Ha-D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70-80
    • /
    • 2012
  • The marine life culture contents added with fun and learning factors are created in a 3D space, and the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ncerning marine life resources in islands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experience-based learning are proposed. As a WYSIWYG-based authoring tool, an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was made to easily use a authoring tool through a node structure and drag & drop. Marine life contents add the animation effect through a marker and event factors such as the change of modeling data, and also, they support real experience-based learning with the narration of marine life. Based on around 50 species of marine animals augmented reality contents, a marine animal AR book can be utilized as a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as a 3D image educatio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it enhances a learning effect by allowing realistic observation, various ways of thinking, and the maximum flow.

유용 수산자원생물에 의한 갯벌의 이용 -장봉도 남단 갯벌을 이용하는 생물의 연변화-

  • 홍재상;서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83-484
    • /
    • 2001
  • 갯벌 생태계는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습지생태계의 일부분으로 많은 해양생물에게 있어서 중요한 서식처이다. 한반도 서ㆍ남해안에 광활하게 펼쳐진 갯벌은 해양생물의 산란장으로서,다양한 생물들이 생활사중 일부, 특히 어린시기에 보육장으로 그리고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갯벌에 대한 관심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시ㆍ공간 및 우점종의 분포양상에 치중한 면이 우세하고, 비교적 최근에 들어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중에 있다. (중략)

  • PDF

일본 해양 생물공학 분야 최신 동향

  • 김상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1
    • /
    • pp.9-12
    • /
    • 1992
  • 현대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에너지 또는 유용 광물자원의 고갈, 오염문제와 식량문제는 전지구적 차원에서 매우 심각해지고 있다. 지구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해양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생물자원과 광물자원이 아직도 대부분이 미개발 상태로 남아있다. 현재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양에 관한 연구개발은 세계 각국에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최대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세계의 조류 속에서 일본 해양 생물공학 연구분야의 최근 움직임은 심상치가 않다. 따라서 일본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일본 해양 생물공학 연구소와 해양과학기술센터에 관한 자료를 소개하고 우리의 대처방안에 대한 소견을 밝히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