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균류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6초

수직격판이 있는 용기 내의 지균류 (Geostrophic Flows in a Container with a Vertical Plate)

  • 최윤환;서용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4호통권35호
    • /
    • pp.124-131
    • /
    • 1999
  • In this paper, we show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wo-dimensional fluid motions inside a rectangular container with a vertical plate subjected to a background rotation added by a rotational oscillation. In the PIV experiment we apply a new algorithm, NTSS, to the velocity calculation. In the numerical computation, the linear Ekman-pumping model was used to take the bottom friction effect into account. It was found that it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t low ${\epsilon}$ number.

  • PDF

우리나라에서 확보한 해양미생물과 미세조류에 대한 기초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Bioactivity Exploration of the Collected Marine Microorganisms and Microalgaes in Korea)

  • 배승섭;권용민;정다운;유운종;조기철;조은서;정윤희;박윤경;안혜미;이대성;박진수;이재욱;오동찬;오기봉;조은지;박상익;전유진;이효근;김근용;남상집;최혁재;판철호;최그레이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9
    • /
    • 2023
  • 우리나라 여러 해양환경 지역으로부터 확보한 370주의 해양세균, 균류, 미세조류로부터 기초생리활성(항산화, 항염,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을 조사하여 채집지, 분리원, 종(種) 수준에서의 활성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양세균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용성이 많이 알려진 Streptomyces 속과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두드러진 강한 효능이 관찰되었고, 주로 해양퇴적물로부터 유용한 자원을 분리할 수 있었다. 해양균류와 미세조류의 경우에도 종 특이적으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효능 특이적으로 활성을 보이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질병에 선택적으로 효능을 보이는 화학물질 연구 또는 자원 기반 연구 수행 시 유용성을 전제로 한 자원 확보 전략 수립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소재로 우선적 접근이 용이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 생각된다. 또한, 이들 결과를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한 분양소재로 활용함으로써 학계, 산업계에서 활용하여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에 좀 더 빠른 접근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규해양원시균류(Thraustochytriaceae)를 이용한 오메가-3 및 오메가-6지방산을 다량 함유하는 윤충과 물벼룩 생산

  • 강석중;박유수;최병대;김광양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51-252
    • /
    • 2000
  • 해산어류는 담수어나 육상의 포유동물과는 달리 사료내의 18탄소 전구체의 지방산에서부터 충분한 양의 필수지방산을 생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사료를 통하여 이들 성분을 공급해야만 한다(Yamada, 1980). 최근에는 사료 내에 필수지방산의 한 종류인 EPA(20:5n-3)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DHA(22:6n-3)로 전환되는 속도가 늦기 때문에 해산어 자치어의 DHA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Bell, 1995; Sargent, 1997). (중략)

  • PDF

해양균류의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 ;;최홍대;손병화
    • 생약학회지
    • /
    • 제34권2호통권133호
    • /
    • pp.142-144
    • /
    • 2003
  • Acetone extracts of 301 strains of marine-derived fungu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strains of bacteria. The bacteria consisted of thre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nd multidrug-resistant S. aureus. The acetone extracts of 10 strains (MFA117, MFA130, MFA134, MFA206, MFA217, MFA268, MFA277, MFA291, MFA292, MFA301) showed strong activity, inhibiting 100% of the bacterial growth. These antimicrobial active strains were cultlued in SWS medium on a 1 L scale and the resulting broth and mycelium were extracted to afford mycelium extract (000M) and broth extract (000B),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y for all extracts has been tested as the results, the mycelium extract of one strain (217M) and the broth extracts of 9 strains (117B,130B, 134B, 206B, 268B, 277B, 291B, 292B, 301B) exhibi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activity at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of $500-125\;{\mu}g/mL$ range. Among them, the extracts, 277B, 291B, 292B and 301B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25\;{\mu}g/mL$.

해양균류의 라디칼 소거활성 검색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 ;;남기완;김동수;최홍대;손병화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219-223
    • /
    • 2002
  • In order to screen new radical scavenging principle which is expected to be antiaging drug lead, we have isolated 160 strains of the marine-derived fungi and investigat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ir acetone extracts. The significant activities (>50% Inhibition) were observed in 8 strains of fungi (MFA006, MFA0l4, MFA040, MFA133, MFA139, MFA143, MFA148, MFA153), and among them, MFA153 (Aspergillus parasiticu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ctive components were purified by assay-guided isolation to yield two known benzyl alcohols, l53B3 (1) and l53B4 (2), an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evidence. Two compounds (1,2) showed the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0.6 and $1.4{\mu}M$ against DPPH, respectively.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IMO 승인 절차 고찰 (Consideration of the Procedure for IMO Approval of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that Make Use of Active Substances)

  • 김은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4-220
    • /
    • 2008
  •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에서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는 IMO가 제정한 절차에 따라 IMO로부터 승인을 받아야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협약에서 활성물질이란 유해 수중 생물과 병원균에 대하여 바이러스나 균류를 포함한 일반적인 또는 특정한 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생물을 말한다고 되어 있다. IMO 해양환경 보호위원회에서는 2008년 10월까지 13개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 기본승인을 부여하였고 4개의 처리장치에 최종승인을 부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선박평형수 관리시스템의 승인을 위한 절차서(G9)"와 "GESAMP-BWWG의 정보 수집과 업무 수행을 위한 방법"에 근거하여 기본승인과 최종승인의 절차와 문서의 요소를 고찰하였고, IMO로부터 기본승인 또는 최종승인을 받은 처리장치의 승인 내용을 요약하였으며, 이로부터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 PDF

생물정화제제의 성능시험ㆍ검정기준, 형식승인절차(안) 등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Performance TestㆍVerification Standard, Form approval procedure(draft) of OSBA)

  • 정진원;윤주용;신재록;김한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27
    • /
    • 2003
  • 해상에 유출된 유류의 생물정화방법은 자연상태로 존재하고 유류분해능력이 있는 박테리아, 균류 또는 효모와 같은 토착미생물의 환경요인을 최적화하거나, 병원성 또는 유전자조작미생물을 제외한 특별한 환경정화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오염된 지역에 투입하여 유류오염물질을 자연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오염된 환경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기술이다. 현재 우리나라규정에는 해양오염사고시 생물정화제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실제사용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개발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정화제제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 관련규정에 대한 법률적 개정방향을 제시하였고 사람의 건강과 생태계의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혹은 발생가능성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4단계의 생물정화제제 성능시험방법, 검정기준 및 형식승인절차를 제시하였다. 1, 2단계의 절차를 통해 생물급성독성 및 유류분해성능을 평가하여 형식승인을 여부를 결정하고 3, 4단계 절차를 통해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단계로 구분하였다.

  • PDF

해양균류의 Tyrosinase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ing Activity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 ;;정지헌;이강태;최홍대;손병화
    • 생약학회지
    • /
    • 제34권2호통권133호
    • /
    • pp.138-141
    • /
    • 2003
  • In order to screen new tyrosinase inhibiting principle which is expected to be a new biofunctional skin whitening cosmetics, we have isolated 600 strains of the marine- derived fungi and investigated tyrosinase inhibiting activity for their acetone extracts. The significant activities (>70% Inhibition) were observed in the extract of 10 strains of fungi (MFA7, MFA27, MFA58, MFA317, MFA318, MFA345, MFA412, MFA552, MFA562, MFA581). These active strains were cultured in SWS medium with 1 L scale and the resulting broth and mycelium were extracted to afford mycelium extract (000M) and broth extract (000B),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ng activity for all extracts has been tested. As the results, the broth extracts of 4 strains (27B, 58B, 552B and 581B) exhibi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activity of $IC_{50}$ values of $3.0-19.0\;{\mu}g/mL$. The active component of 581B was purified by assay-guided isolation to yield the known kojic acid (1), and its structure was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evidence. Kojic acid showed the significa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2.0\;{\mu}M$.

편백(Chamaecyparis obtusa) 정유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 안정엽;이성숙;강하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3-507
    • /
    • 2004
  • 천연물은 지역 및 그 이용 특성에 따라 약용 및 식용으로 다양한 쓰임새가 있으며 그 연구 대상으로는 초본, 목본 등의 식물류와 담자균류, 미생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근 연구가 활성화된 해양생물과 광물에까지 다양하게 소재를 탐색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의 활용은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써 넓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택된 수목 수종은 우리나라 자생 침엽수 중 가장 계절적 수량적 확보가 용이하다고 보고된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그리고 항염 작용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항세균 활성 검정에는 그람음성균 2종과 그람양성균 2종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disc paper법, 탁도법, $IC_{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세균 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in vitro 항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실험 대조균의 $75\%$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검토되었으며 hyaluronidase 저해 정도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55\%$의 저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정도는 methanol based DPPH법에 의해 $0.78\%\;(IC_{50})$를 나타내었으며 butylated hydroxy toulene (BHT)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

해양 규조류 Nitzschia sp.의 초저온동결보존을 위한 보존제의 영향 분석 (Screening of cryoprotectants (CPAs) for cryopreservation in the Nitzschia sp. of marine microalgae)

  • 이인혜;전지영;김경미;강명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400-408
    • /
    • 2018
  • 21세기 들어 전 세계는 환경파괴에 따른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생물 다양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생태계의 자정 및 복원능력 등을 악화 시켜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 되었고 나아가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나고야 의정서로 인해 국내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발굴 보호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미세조류는 유용 생물자원으로 활용도가 높으나 동결보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장기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대부분의 원핵생물이나 균류 등의 미생물은 종에 관계없이 glycerol 을 이용하여 저온동결보존이 가능하나 미세조류는 동결보존제의 종류와 농도, 유리화 과정 및 해동방법 등에 따라 세포 재생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미세조류 중 규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규산질로 구성된 cell wall 은 이미 산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규조류 Nizschia frustulum과 Nitzschia amabilis를 이용하여 장기 동결보존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동결보존제로는 세포막 침투성 보존제인 glycerol, DMSO, methanol을 각각 5, 10, 15% 농도로 제조하여 실험하였고 메탄올의 경우 시약 특성상 5, 10, 12% 농도로 실험하였으며 미세조류는 N. frustulum과 N. amabilis 두 종을 각각 $10^2$, $10^3$, $10^4cells\;ml^{-1}$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세조류 두 종 모두 메탄올 12%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N. frustulum은 $6.94{\pm}0.31%$, N. amabilis는 $8.85{\pm}0.16%$로 나타났다. 동결 후 해동한 미세조류를 3주간 재배양한 결과에서는 N. frustulum이 재배양 초기 농도보다 약10배 증가하였고 N. amabilis는 약12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용생물자원인 미세조류 Nizschia sp.에 한하여 적합한 동결보존제를 탐색하였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더 많은 동결보존제에 대한 효과와 다양한 미세조류 종에 적합한 동결보존 기법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