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쉬 함수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ynamic Pipe Hash Function (동적 파이프 해쉬 함수)

  • Kim, Hie-Do;Won, Do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7 no.4
    • /
    • pp.47-52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nstrution that creates Dynamic Pipe Hash Function with a pipe hash function. To increase security lever, dynamic hash function take and additional compression function. Proposed hash function based on the piped hash function. Our proposed Dynamic Pipe Hash Function is as secure against multicollision attack as an ideal hash function. And it have advantage for a number of reasons because of variable digest size. For example, in digital signature protocol, If a user requires increased security by selecting a large key size, useing a dynamic hash function in a protocol make implementation much easier when it is mandated that the size of the digest by increased.

A Hash Function Based on 2D Cellular Automata (이차원 셀룰라 오토마타에 기반하는 해쉬 함수)

  • Kim Jae-Gyeom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5
    • /
    • pp.670-678
    • /
    • 2005
  • A Cellular Automaton(CA) is a dynamical system in which space and time are discrete, the state of each cell is unite and is updated by local interac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CA is diffusion and local interaction, CA is used by crypto-systems and VLSI structu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hash function based on the concept of 2-dimensional cellular automata and analyzed the proposed hash function.

  • PDF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Hash - function - Part 1 : General (ISO/IEC JTC1/SC27의 국제표준소개 (8) : ISO/IEC IS 10118-1 정보기술 - 보안기술 - 해쉬함수, 제 1 부 : 개론)

  • 이필중
    • Review of KIISC
    • /
    • v.5 no.2
    • /
    • pp.97-101
    • /
    • 1995
  • 지난 세번에 걸쳐 소개하던 실체인증기법을 중단하고 이번호 부터는 해쉬함수 국제표준을 소개한다. 국내에서도 표준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해쉬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비트스트링을 정해진 길이의 출력인 해쉬코드로 변환시키는 함수로서 디지탈서명, 인증. 키 분배등의 많은 적용사례를 갖고 있다. 해쉬함수의 표준화 과제는 1984년 디지탈서명 국제표준화 과제중 한 part로 시작했다가 1989년 독립된 과제가 되었다 그 당시에는 2개의 part(Part 1 : General. Part 2 : Hash-functions using an n-bit block cipher algorithm)로 시작되었다가 나중에 2개의 part (Part 3 : Dedicated hash-functions, Part 4 : Hash-functions using modular arithmetic)가 추가되었다. 이 과제는 1991년 CD(Committee Draft), 1992년 DIS(Draft for International Standard)가 되었고. 1993년에 IS(International Standard)가 되었고 1998년 1차 검토가 있을 예정이다.

  • PDF

Image Tamper Detection Technique using Digital Watermarking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이용한 영상조작 검지기법)

  • Piao, Cheng-Ri;Han, Seu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74-2576
    • /
    • 2004
  • 본 논문에서 디지털 영상의 인증과 무결성을 확인하는 새로운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하였다. 컨텐츠에 대한 인증과 무결성을 체크하는 방법 중, 암호학적 해쉬함수(MD5)를 이용한 Wong의 방법이 인증과 무결성을 위한 워터마크 방법으로는 가장 적합하다. 특히 이 방법은 암호학적인 해쉬함수를 사용하므로 워터마킹 알고리즘의 안정성이 암호학적 해쉬함수의 안정성에 의존하게 되므로 안전하다. 해쉬 값을 계산하려면 법(modulus), 보수 (complement), 시프트 (shift), XOR (bitwise exclusive-or) 등 연산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곱셈 연산만 필요로 한 산술부호화기법 (Arithmetic coding)을 이용하였다. 이 기법은 입력되는 심벌 (symbol)들의 확률구간을 계속적으로 곱하여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누적확률구간을 출력한다. 본 논문에서 키(key) 값에 의하여 심벌들의 확률구간을 결정하고, 그리고 키 값에 의하여 심벌들의 입력순서론 재배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누적확률 값은 키 값에 의존하게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본 알고리즘이 무결성을 입증할 수 있고, PSNR은 51.13dB 이상으로서 아주 좋으며, 위변조를 판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해쉬함수 (MD5)를 사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3배이다. 그러므로 실시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 PDF

Full-Round Differential Attack o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Hash Function Proposed at PKC'98 (PKC'98에 제안된 해쉬 함수의 Original Version에 대한 전체 라운드 차분 공격)

  • 장동훈;성재철;이상진;임종인;성수학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2 no.2
    • /
    • pp.65-76
    • /
    • 2002
  • Shin et al. proposed the new hash function with 160-bit output length at PKC'98. This hash function is based on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hash functions, such as SHA-1, RIPEMD-160, HAVAL, and etc.$^{[1]}$ Recently, Han et al. cryptanalyzed the hash function proposed at PKC'98 and proposed the method finding a collision pair with $2^{-30}$ probability at FSE 2002, supposing that boolean functions satisfy SAC(Strict Avalanche Criterian).$^{[2]}$ This paper improves the method and shows that we can find a collision pair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the hash function with $2^{-37.13}$ probability through the improved method. And we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the function comes from shift values dependent on message.

Approximated Model and Chaining Pattern of Hash Functions (해쉬 함수의 근사적 모델과 연쇄패턴)

  • Lee Sun-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7 no.1
    • /
    • pp.39-47
    • /
    • 2006
  • The evaluation of MDx family hash functions such as MD5 is difficult because the design background or a generalized model is unknown. In this paper, an approximated model is proposed to generalize hash functions. The diffusion of a input difference is tested by an approximated model for MD5. The results show that MD5 does not provide perfect diffusion, so MD5 is weak against some attacks. We propose a multiple chaining pattern which provides perfect diffusion in approximated model of hash function without extra calculation or memory. And We show the probability of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our proposal.

  • PDF

Design of System for Avoiding Identical-Data Upload using SA Hash Algorithm (SA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한 동일 데이터 업로드 방지 시스템 설계)

  • Hwang, Sung-Min;Seok, Ho-Jun;Kim, Seo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17-19
    • /
    • 2011
  •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때, 클라이언트가 보내고자 하는 파일이 서버에 동일한 파일로 있다면 업로드를 받지 않고, 서버의 파일을 재사용함으로써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을뿐더러, 스토리지 용량 또한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해쉬(Hash) 함수 SA를 사용하여 파일에 해쉬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해쉬 함수 보다 키 값의 길이가 길어지고 빠른 속도로 해쉬 값을 얻을 수가 있다. SA Hash Algorithm을 통해 얻어진 해쉬 값을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동일한 파일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전송 받지 않고, 서버 내부의 파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자원 절감 효과를 낼 수 있다. 서버에서의 파일 관리도 기존의 날짜, 아이디 등 구별 방식이 아닌 SA Hash Algorithm으로 생성된 해쉬 값으로 파일을 관리 할 수 있음으로 파일 관리의 편의성뿐만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파일을 접근할 수 있다.

  • PDF

비선형함수와 해쉬함수

  • Cho, Han-Hyuk;Hwang, Seok-Geun
    • Review of KIISC
    • /
    • v.4 no.2
    • /
    • pp.18-22
    • /
    • 1994
  • 함수 f(x) : GF$(2)^n $\longrightarrow$ GF$(2)^n 은 부울함수인 n개의 좌표함수를 사용하여 f= $(f_1,f_2,...f_n)과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이때, 함수 f(x)의 암호론적 안전성은 f(x)의 좌표함수들의 안전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제 주어진 함수의 비선형성을 부울함수들의 비선형성을 통해 살펴보고, 또한 비선형함수와 해쉬함수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nalysis of the Efficiency for Some Selected Double-Block-Length Hash Functions Based on AES/LEA (AES/LEA 기반 이중블록길이 해쉬함수에 대한 효율성 분석)

  • Kim, Dowon;Kim,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6 no.6
    • /
    • pp.1353-1360
    • /
    • 2016
  • We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double-block-length hash functions, Abreast-DM, HIROSE, MDC-2, MJH, MJH-Double based on AES or LEA. We use optimized open-source code for AES, and our implemented source code for LEA. As a result, the hash functions based on LEA are generally more efficient than those, based on AES. In terms of speed, the hash function with LEA are 6%~19% faster than those with AES except for Abreast-DM. In terms of memory, the hash functions with LEA has 20~30 times more efficient than those with A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