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석틀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2초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6)

  • 박진호
    • 건축사
    • /
    • 9호통권437호
    • /
    • pp.93-10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매개변환요소에 따른 WGS84와 Bessel 타원체간의 좌표변환해석 (Analysis of Coordinates Transformation between WGS84 and Bessel Ellipsoids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Parameters)

  • 강준목;신봉호;이용창;윤철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209-1217
    • /
    • 1994
  • 본 연구는 WGS84 타원체와 Bessel 타원체간의 측지좌표계 변환의 확립을 위해 매개변환요소에 따른 타원체 간의 좌표변환체계틀 정립, 남한지역에 고루 분포된 15개 천문점에 대한 GPS 관측자료를 토대로 위성관측에 의한 Geoid 고를 산정하고 좌표변환을 위한 매개변수를 3-, 4-, 6- 및 7-변환요소로 도출하여 각 요소별로 변환특성을 고찰하고 DMA에서 제시된 변환요소의 결과와 함께 지도투영에 적용하므로서 국내에 적합한 변환계수를 제시한 것이다.

  • PDF

현대패션에 나타난 탈구성현상 고찰 (A Study on Discomposition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Fashion)

  • 조말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1-121
    • /
    • 2000
  • 탈구현상은 허구, 추상, 부재, 변형의 의미를 부각시키며 틀에 박힌 고정관념을 없애고 새로운 미의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 이후 현대 패션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는데 마틴 마지엘라나 앤 드뮬리미스터, 레이 카와쿠보 등의 작품에서 잘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의 작품은 변형과 왜곡, 부조화의 조화, 그리고 양면가치가 공존하는 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미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주관적인 미의식의 근거를 마련한다.

  • PDF

조립식 내부 구속 중공 CFT 교각을 위한 교각세그먼트 접합부 연구 (A Study of Pier-Segment Joint for Fabricat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FT Pier)

  • 원덕희;한택희;이동준;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61-171
    • /
    • 2010
  • 교량은 재료의 발달과 신형식의 개발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현장에서 거의 모든 작업 공정이 이루어진다는 기본 틀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급속 시공 건설 기술은 현재 세계적으로 그 효용성이 증가하게 되어 현재 국내 외적으로 조립식 교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상부구조와 비교하여 하부구조의 경우에는 연구 및 시공 실적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 내부 구속 중공 CFT 교각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교각 세그먼트 접합부의 설계식을 제안하였으며 교각 세그먼트 접합부의 구성요소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EAP 인증/키설정 프로토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AP Authentication/Key-Establishment Protocols)

  • 박동국;조경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323-1332
    • /
    • 2005
  •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은 사실, IP 기반 위에서 다양한 유무선 접속 환경에 맞는 여러 가지 인증/키설정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큰 틀이라고 할 수 있다. EAP와 함께 쓰일 수 있는 다양한 인증/키설정 프로토콜이 IETF에서 표준화되고 있고, 실제 환경에서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프로토콜 중에서 대표적인 것들 여섯 개를 골라서 비교 분석하고, 일부 유력한 패스워드 방식 인증/키설정 프로토콜을 둘러싼 지적재산권 분쟁의 여지에 대하여 기술적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이용환경 관점에서 어떤 취사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를 결론부분에서 제안하였다.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광대역 전파특성 연구(I)-실내에서의 광대역 전파특성 측정- (A Study of Broadb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Future Mobile Communications(I) - Broadb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Measurements on Indoor)

  • 하덕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65-27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실내에서의 다중경로파에 의한 페이딩 경감 효과 및 고속전송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LOS(Line-of-Sight)영역에서 주파수소인법에 의한 광대역 신호를 측정 해석하였다. 측정에는 수직편파, 수평편파 및 원형편파의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각의 페이딩 정감효과와 광대역 신호에 대한 대역내 진폭편차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시거리환경에서 원영편파틀 사용하면 기수회 반사에 의한 다중경로파를 억제 수신할 수가 있어서, 주파수 대역내의 광대역의 진폭 변동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올 알게 되었디. 또한 다이버 시티 방식은 송신측에 원형편파를, 수신측에는 수식 및 수평편파 안테나를 설치하여 편파다이버시티 수선을 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5)

  • 박진호
    • 건축사
    • /
    • 8호통권436호
    • /
    • pp.85-91
    • /
    • 2005
  • 지난 몇 년간의 연구와 출간된 글, 그리고 디자인 스튜디오 등 일련의 실험과정을 '하우징의 가변성 - 디자인의 연구 및 적용'이란 하나의 주제로 묶어 연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연구 및 실험은 두가지 틀 속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첫째는 '이론과 실무'이고, 둘째는 '분석과 종합'이다. 건축 활동에 있어 이론과 실무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에게 흔히 '건축10서'라고 알려져 있고 현존 가장 오래된 건축 저서인 비트루비우스의 'De Architectura'의 첫번째 책, 첫 장 '건축가의 교육에 관하여'에서 비트루비우스는 건축가의 이론과 실무능력의 겸비를 강조하고 있다. 건축 디자인을 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이론과 그 이론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를 강조한다. 즉 디자인 작업이란 연구, 분석, 실험 행위로 구성되는 연속 과정을 하나의 전체로 종합시켜 이루어지는 결정체이다. 따라서 건축 디자인은 그 근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의 습득과 연구 그리고 디자인으로의 실험적인 적용 및 응용을 통한 상호 보완관계 위에서 전개, 발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 작업이 '이론과 실무'의 상호 보완적인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연재를 이어간다. 접근 방식으로는 '분석과 종합'의 변증법적인 통합에 기초한다. 건축 디자인의 형태적 체계를 인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과 종합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의 분석은 논리적인 사고나 원리에 근거한 디자인을 비교 검증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디자인에 나타나는 어떤 공통 특징을 인식하는 것이고, 이에 의거해 정련하고 개괄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종합이다. 즉, 건축가의 작품의 분석적 작업을 통해 이론과 원리를 추출하고, 이 원리들을 다양한 새로운 디자인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디자인 스튜디오 작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방법을 말한다.

  • PDF

해법(解法) 발생(發生)의 연추적(連推的) 모형(模型) -기존의 폴리아(Polya) 틀에 대한 재해석- (The Generation Model of Problem Solving as a Reinterpretation on Polya Thesis)

  • 조동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권
    • /
    • pp.229-249
    • /
    • 1997
  • 폴리아가 그의 저서 ‘How to Solve It.'에서 주창한 문제 해결의 모형은 이렇게 해석될 수 있다. 곧, 절대 다수의 수학 문제는 조건문 (p${\rightarrow}$q)의 명제 형식으로 분해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순조롭게 발생되는 문제 해법의 전과정은 아래와 같이 마치 징검다리를 놓듯 추이율(transitivity)을 연거퍼 적용하는(이른바 연추적이라 함) 절차이다. (p: 주어진 정보) ${\rightarrow}$ ${\cdots}$ ${\rightarrow}$ ${\cdots}$ ${\rightarrow}$ (구하는 정보: q) 이것은, 일반적으로, 추이율이 성립하는 모든 관계(relation)의 연추적 확인 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다. 요컨대 항진식 (p${\rightarrow}$r) ${\wedge}$ (r${\rightarrow}$q) ${\rightarrow}$ (p${\rightarrow}$q)의 보장 아래 관계의 추이율 xRz ${\wedge}$ zRy ${\rightarrow}$ xRy 로 연결되는 온갖 경로를 포괄한다. 이상과 같이 정식화되는 이 도식의 한계와 효용은 (1) 모든 문제가 조건문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며, (2) 조건문 형식의 문제라도 해법이 반드시 연추적으로 발생되는 법도 아니고, (3) 더구나 이것이 해법 발생의 만능 열쇠는 아닐뿐더러, (4) 발상을 촉진하는 데는 교육공학적으로 더 정교한 배려가 필요하므로, (5) 초보 단계에서 행동 수정을 위한 치유 목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재해석 (New Interpretation of Innovation Policy with Lense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 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5-162
    • /
    • 2015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기존 혁신정책을 재해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기존 산업혁신정책의 프레임과 다른 틀로 혁신활동과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이 갖는 정의와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에 대한 전망과 시민사회의 참여에 대한 강조가 기존 관점과 차별화되는 점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다음에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렌즈로 혁신정책의 요소들을 새롭게 해석한다. 혁신 거버넌스, 산업혁신정책, 지역혁신정책, 인프라 구축 정책과 같이 혁신정책의 핵심적 수단을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참여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기존 혁신정책 수단을 재해석하고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소학 만국지지 내용 분석 - 자연지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ntents Analysis on Elementary Manguk -Gygi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Physical Geography -)

  • 강철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6
    • /
    • 2013
  • 본 연구는 19세기 말 신교육의 개화기 때, 학부 편집국이 편찬한 '소학만국지지' 내용 중에서 자연지리부분을 발췌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한문으로 기술되어 어려운 한문을 해석하는 고충을 어느 정도 덜게 하였고, 둘째, 어려운 지형, 지세 용어를 아동들의 수준에 맞게 쉽게 풀이하여 개념적 이해를 도왔으며, 셋째, 당시의 세계 여러 나라들의 정보를 개략적으로 소개하였으며, 넷째, 전통적 자연관을 극복하고 합리적 자연관의 인식의 틀을 마련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세기 후반부터 일본에 의한 아시아의 개편과 질서를 묵시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친일 교육이 행하여졌음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