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사고

Search Result 80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VTS DATA를 활용한 완도해역 근접사고 통계산출에 관한 연구

  • Kim, Gwang-Il;Jeong, Jung-Sik;Choe, 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90-293
    • /
    • 2014
  • 하인리히 법칙에 따르면, 하나의 대형사고는 다수의 경미한 사고나 수많은 근접한 위험상황이 발생한 위치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 해상교통상황에서도 양 선박이 충돌 위험이 있는 상황, 즉 근접사고 상황은 해상교통관련 대형 사고를 예방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근접사고 자료는 VTS데이터 접근에 어려움, 관련 전문 기법 부족 등으로 수집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 근접사고를 조우하는 선박간에 시공간적으로 충돌에 근접한 상황들이 발생하여 충돌의 위험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높아진 상황으로 정의하고, 2013년도 완도VTS 관제해역 해상교통 항적데이터를 적용하여 근접사고 통계를 분석하였다.

  • PDF

국내 해상충돌사고에서 상황인식오류 분석

  • Hong, Seu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23-325
    • /
    • 2013
  • 항해 중에 항해사의 상황인식 능력은 사고와 직결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해상충돌사고 사례들을 상황인식 과점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고의 원인을 상황인식 3단계 관점에서 분류하고,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Training Institutions in Response to Marine Chemical Incidents (국내외 기관별 해상화학사고 대응 교육내용에 관한 비교분석)

  • Kim, Kwang-Soo;Lee, Moonjin;Park, Jinhy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11a
    • /
    • pp.165-165
    • /
    • 2017
  • As marine chemical spill incidents increase, and damages caused by chemical spills become bigger and bigger, it is required to educate and train professional personnel for response to chemical spill incidents at sea. In this study, the education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for the training of specialists in response to marine chemical accidents were examin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tilize it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education and training materials for HNS response personnel in Republic of Korea.

  • PDF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의 안전성 평가기법 조사 연구

  • Kim, Tae-Gyun;Byeon, Sang-Hyeon;Yang, Won-Jae;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71-473
    • /
    • 2013
  • 주요 통항로에 설치된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는 선박의 안전항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90년대 들어 국내에 다수 건설된 해상교량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대규모 선박-교량 충돌사고의 유발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국내 군산지역에 구축될 해상풍력단지 역시 선박과의 충돌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에 연구 개발된 해상교량과 해상풍력단지의 안전성 평가기법을 조사하고, 향후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면 궁극적인 해양사고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고려되었다.

  • PDF

남동부해역의 통항량 및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관제 방안

  • Jo, Gi-Jeong;No, Jeong-Su;Park,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88-190
    • /
    • 2013
  • 국제 해상물동량(해상화물 수송량은 10년 사이에 매년 평균 4.3%씩)의 증가에 따라 해양사고의 발생 빈도도 높아지고 있으며, 사고의 규모도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선박 위험도 저감을 위한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운영되고 있지만, 대부분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충돌위험 등을 분석하고 있고, 선박간의 충돌 외의 선박의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는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해상에서의 통항량 및 10년간 사고를 분석하여, 충돌등 사고가 많은 남동부 해역(여수/통영/진해)의 통항패턴, 교차구역 및 해양사고 특성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라 Sector별 특징적 집중 관제 방안을 마련하여, 선제적 안전 서비스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관제구역 밖 여객선 안전사고 예방

  • Lee, J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57-58
    • /
    • 2019
  • 해상교통관제 구역 내를 항해하는 여객선은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선박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있어 사고 발생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구조세력에 의한 신속한 상황 대응이 가능하다. 하지만 관제구역 밖을 항해하는 여객선은 상대적으로 사고 발생 시 구조세력이 도달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사고 발생율이 높게 나타난다. 이번 논문에서는 관제구역 밖 여객선 사고 인지의 한계에 대해 분석해보고 효과적인 여객선 사고 예방 방안에 대해서 논해 보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Marine Observation Buoy Monitoring System Using Trail Camera and AtoN AIS (트레일 카메라 및 AIS를 이용한 해양관측부이용 감시시스템의 개발)

  • Gang, Yong-Soo;Wong, Chii-Lok;Hwang, Hun-Gyu;Kang, Seok-Sun;Kim, Hye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6-30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해양관측부이 보호 및 해상 관측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국내외 영상감시 시스템 및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차세대 해상용 통신 네트워크 및 인공위성을 통한 해양 공공시설의 안전감시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과 이에 대한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또한, 선박 인식 및 추적, 나아가 충돌 예측 등을 수행하여, 해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해양관측부이용 감시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를 위해 개발하는 시스템은 해양관측부이에 장착되어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해수에 강한 트레일 감시카메라를 개발하여 적용한다. 추가적으로 AIS정보를 활용한 충돌 예방 경고 모듈이 탑재되고, LTE-M 등과 같은 차세대 해상이동통신 및 위성망 M2M 네트워크를 응용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육상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대형 선박과의 해상사고(선박추돌사고 및 기름유출 등)와 소형선박에 의한 시설물 훼손(Vandalism)의 발생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는 종합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고의 예방 및 재난 상황 등을 예측함으로써 중요시설의 안전 및 해양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등부표 접촉사고 발생의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신항 접근항로를 중심으로 -

  • Lee, Myeong-Gi;Park, Yeong-Su;Guk, Seung-Gi;Jeong,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85-86
    • /
    • 2019
  • 등부표는 선박이 운항할 때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항행 원조 시설로 안전 항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통항 선박의 추돌사고로 인하여 등부표의 파손 및 유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평가모델을 활용하여 등부표 접촉사고 발생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항만물동량이 높고, 항로에 등부표가 다수 설치된 부산항을 대상항만으로 선정하고, 부산항의 등부표 접촉사고 현황에 대하여 조사 분석했다. 그리고 부산항의 해상교통량을 기반으로 해상교통평가모델인 IWRAP, PARK Model을 활용하여 등부표 접촉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평가했다. 추후에 다양한 해역의 접촉사고 위험성을 평가하고, 미래교통량을 추정 적용하여 등부표 신설 시 안전한 등부표 설치 해역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management organization with rescue system of marine disaster (해상재해의 관리조직과 구조체제에 관한 연구)

  • 신현식;변헌수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7
    • /
    • pp.1133-1138
    • /
    • 2002
  • There have been a lot of marine accident due to the increasing transportation by sea in accordance with economic growth. Accordingly, we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safety control system so that many prevent the sacrifice of life and disasters on the sea. The objective·e of this research in to investigate the more effective system by establishing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nd marine information system as a national project.

A Study on management organization with rescue system of marine disaster (해상재해의 관리조직과 구조체제에 관한 연구)

  • 신현식;변헌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522-528
    • /
    • 2002
  • There have been a lot of marine accident due to the increasing transportation by sea in accordance with economic growth . Accordingly, we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safty control system so that may prevent the sacrifice of life and disasters on the se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 to investigate the more effective system by establishing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nd marine information system as a national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