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진균성 항생물질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Fusarium sp. BYA-1 균주가 생성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Fusarium sp. ByA-1)

  • 서영수;김진철;김병섭;이인원;조광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2-79
    • /
    • 1996
  • 보리로부터 분리한 Fusarium sp. BYA-1균주의 감자한천배지 배양체로부터 여러 식물병원곰팡이에 길항력을 나타내는 세 개의 항생물질을 분리하였다. 추출한 세 개의 항생물질은 silica gel관 크로마토그래피와 분취 HPLC, 그리고 Phytolhthora capsici 검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들 분리한 항생물질들을 동정하기 위하여 융점 결정, 자외선흡광법, 질량분석 및 핵자기공명법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항진균성 항생물질들은 fusarielin A, enniatin B, 그리고 enniatin B\ulcorner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분리한 세 개의 물질 중 fusarielin A가 공시된 곰팡이에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소저해농도는 40$\mu\textrm{g}$/ml이하였다. Fusarium속 균주가 구조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항진균성 항생물질인 fusarielin A와 enniatins을 동시에 생성한다는 것은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 PDF

Streptomyces sp. 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제 2 보) 항진균성 항생물질 trans-Cinnamamide의 생성 (Studies on the Antifungal Antibiotics Produced by a Streptomyces sp. (Part 2) The Occurrence of trans-Cinnamamide in Streptomyces No. 297)

  • 배무;고영희;이화석;조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3
    • /
    • 1982
  •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균으로 분리된 Streptomyces균 No. 297 균의 배양액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정제하여 침상결정을 얻었다. 이 물질은 UV. IR. spectra, NMR, Mass-spectra 및 여러 화학반응시험을 통하여 t-cin-namamide로 동정되었다. 항균 spectra를 조사해본 결과 Pellicularia sasakii, Pyricularia oryzae 기타 및 병원성 진균류에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며 세균류에는 항균력이 극히 약한 것이 특징이다.

  • PDF

항진균성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Bacillus thuringiensis BK4의 항생물질 정제와 토마토 시들음병의 효과적인 방제 (An Antifungal Agent Produced by Bacillus thuringiensis BK4, an Antagonistic Bacterium against Fusarium Wilt Disease of Tomato)

  • 임종희;정희경;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18-22
    • /
    • 2007
  • 토마토시들음병 방제균주인 Bacillus thuringiensis BK4의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대량생산조건을 확립하였고, 항생물질 BK4를 조정제 수준에서 in vitro, in vivo pot 실험을 통해 실제 토마토 시들음병에 대한 토양내 방제력을 검증하였다. B. thuringiensis BK4는 탄소원으로 0.5% xylose, 질소원으로 0.2% peptone No. 3, 5 mM $CaCl_2$를 첨가하였을 때 토마토 시들음병균인 Fusarium oxysoporum에 대한 항진균활성과 균체생산량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B. thuringiensis BK4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 BK4를 조정제 수준에서 in vivo pot 실험을 통해 토마토 시들음병균인 F. oxysoporum에 대한 방제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 thuringiensis BK4의 균체와 조정제수준의 항생물질 BK4를 병용처리 하였을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상가(相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대했던 상승(相乘)효과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B. thuringiensis BK4가 생산하는 항생물질 BK4를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prep-HPLC를 통해 retention time이 38min인 단일물질로 정제할 수 있었으며, 정제된 항생물질의 MIC(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50${\mu}$g/ml이었다.

Streptomyces sp. 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 (제4보) Tetraene계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생성및 그의 성장 (Studies on the Antifungal Antibiotics Produced by a Streptomyces sp. (Part 4) The Occurrence of Tetraene Substance and Its Physiological Properties)

  • 고영희;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1-215
    • /
    • 1982
  • Streptomyces griseorubiginosus var. soyoensis 에 의하여 두가지의 항진균성 항생물질이 생성되었는데 하나는 trans-cinnamamide 이었고 다른 하나는 UV, IR, NMR, mass spectrum 및 화학반응의 결과로 새로운 tetraene계 화합물임이 밝혀져 이 물질을 Tetraene KM-A라 하였다. 본 물질의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곰팡이 및 효모류에 대하여는 강한 항진균성을 나타내었으나 항세균성은 없었다. 배지에 sterol류를 첨가하였을때 Tetraene KM-A의 항균력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stesoid와 결함함을 알수 있고 항균작용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Tetraene KM-A의 mouse 및 rat에 대한 복강주사에 의한 $LD_{50}$ 은 각각 84.3과 90.4mg/kg이였으며 mouse에 대만 경구독성은 1503mg/kg이었다.

  • PDF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생육을 저해하는 Chryseomonas luteola 5042의 선발과 항진균성 길항작용 (Identification and Antifungal Antagonism of Chryseomomas luteola 5042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윤경현;이은탁;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6-193
    • /
    • 2001
  • 경북 경주지역의 저병해 고추경착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생물학적 방제기작중의 하나인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길항미생물을 분히하기 위하여 70여종의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를 가장 강력하게 길항하는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는 Chryseomonas luteola로 동정되었고 방제 기작은 약한 siderophore 생산성과 cellulase 생산성도 기인되었으나 항생물질 생산성이 주요 기작임을 확인하였다.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대량생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항생물질 생산의 최적배지 조건 및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는데 길항균주의 항생물질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은 0.45% N-acetyl-D-glucosamine과 0.15% D(+) cellobiose에서 81%와 89%의 P. capsicivh자의 성장 억제율을 나타냈다. 질소원의 경우는 0.55% $NH_4$CI 첨가시 69%의 억제율을 나타냈고 무기염의 영향에 있어서는 0.01% KCI을 사용했을 때 63%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또한 배양 조건에 있어서는 pH 7.0m $30^{\circ}C$에서 84시간 배양시 가장 높은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토양내에서 실제로 생물방제력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를 이용한 in vivo pot test를 실시한 결과 P capsici 만 처리한 것은 고추역병 현상을 나타냈고, P capsici 와 길항균 C luteola 5042를 함께 처리한 것은 역병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으로 길항균주는 C luteola 5042 P capsici 의 성장을 저해하여 고추 역병의 발병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수 있었다.

  • PDF

Streptomyces sp. 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관한 연구(제 1 보) 생산균주의 선별과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분리정제 (Studies on the Antifungal Antibiotics Produced by a Streptomyces sp. (Part 1) Selection of the Antibiotics Producing Organism and Isolation of the Antibiotics)

  • 배무;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37
    • /
    • 1982
  • 벼 교엽병 방제를 위한 새로운 항진균성 항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각지역에서 임의로 채취한 1600여점의 토양시료에서 방선균 1300여주를 분리하고 액침배양법, Denroid test, green house test 등으로 벼에 대한 생리독성이 없으면서 벼 교엽병에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방선균 1주를 소요산 부근의 토양시료에서 분리, 선정하였다. 분러선정균의 배양액에서 항진균성 항생물로서 연한 황색의 무정형 분말과 백색침상결정의 두가지를 분리, 정제하였다.

  • PDF

항진균성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Bacillus sp. LAM 97-44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sp. LAM 97-44 Producing Antifungal Antibiotics)

  • 이노운;김천석;도재호;정인찬;이현우;이동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08-212
    • /
    • 1998
  • 항진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700주의 세균, 방선균, 곰팡이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배양액을 조사한 결과 Candida albicans의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LAM 97-44 균주를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균으로 선발하였다. 분리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생산균 LAM 97-44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 배양학적 특성, 생리학적 특성, 균체성분 등을 조사하였다. LAM 97-44 균주는 $2{\sim}3{\times}1{\sim}1.5\;{\mu}m$ 크기의 포자를 형성하는 간균이며, 포자의 형태는 ellipsoid 형 이었다. LAM 97-44 균주는 arabinose, cellulose, xylose를 이용하지 못하였으나 fructose, glucose, glycerol, maltose, raffinose 등은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결과는 iso-와 anteiso-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enaquinone은 Bacillus속 세균의 전형적인 isoprenoid 사슬이 7개인 menaquinone(MK-7)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LAM 97-44 균주는 Bacillus subtilis와 유사한 균으로 동정되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LAM 97-44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Antibiotic from Bacillus subtilis LAM 97-44)

  • 이노운;권태종;이동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69-73
    • /
    • 2003
  • 병원에서 분리한 azole계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Candida albicans에 대해 강한 활성을 가지는 항진균성 물질을 Bacillus subtilis LAM 97-44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후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심분리한 배양상등액을 butanol 추출, Diaion HP-20과 Dowex-50 adsorption chromatography,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와 HPLC로 정제하였고 TLC와 HPLC로 확인하여 그 물질을 LAM-44A라 명명하였다. LAM-44A는 pH와 열에 매우 안정하였으며 Candida sp., Cryptococcus sp. 등에 대해 강한 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독성은 매우 적었다. 분리한 물질은 273 m에서 최대흡광도를 가진 융점 $202^{\circ}C$의 무색분말이었으며 ninhydrin 반응결과 음성이었고 $^1H-NMR$, $^{12}C-NMR$, IR spectrum, 원소분석 등의 결과로 볼 때 분자량 282의 $C_{14}H_{34}O_5$의 화학식을 가진 물질로 동정되었다.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를 방제하는 길항균주 Bacillus megaterium KL39의 선발과 길항물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tion of an Antifungal Antibiotic from Bacillus megaterium KL 39, a Biocontrol Agent of Red-Papper Phytophtora Blight Disease.)

  • 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5-241
    • /
    • 2003
  • 항진균성 항생물질에 의한 고추역병의 생물방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지역 경작지에서 고추역병균 P. capsici 생육을 저해는 다기능의 강력한 길항세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배양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실험과 AEI(CHB50) 및 Biolog(Microlog 4.01C)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B. megaterium와 97%이상 일치하여 최종적으로 선발된 길항세균을 B. megaterium KL 39로 명명하였다. B.megaterium KL 39의 P. capsic에 대한 길항은 열에 안정하고 n-BuOH에 추출이 되는 저분자성 항생물질과 용매에 추출되지 않은 열에 약한 고분자성의 식물병원균 세포벽 가수분해효소인 cellulase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주 B.megaterium KL 39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항생물질은 P.capsici의 포자발아와 균사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0.4% fructose, 0.3% yeast extract, 5 mM KCI (pH 8.0)을 포함한 배지에서 3$0^{\circ}C$, 40시간 배양하였을 때 그 생산성이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Diaion HP-20 column, silica gel column, Sephadex LH-20 column과 HPLC에 의해 항생물질을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항생물질은 TLC plate상에서 Ethanol:Ammonia:Wate.(8:1:1)로 전개한 결과 RF value가 0.32를 나타내었으며, 단일물질로 정제된 항생물질을 KL39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 E. megaterium KL 39와 정제된 항생물질 KL39를 가지고 고추를 기주식물로 하여 in vivo pot시험 결과 고추역병균 P.capsic게 의해 유발되는 고추역병에 대한 길항력으로 두 가지 모두 고추역병 방제력이 있음을 식물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sp. YJ-63이 생산하는 항곰팡이 항생물질의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Antifungal Antibiotic from Bacillus sp. YJ-63.)

  • 정영기;신영준;정명주;주우홍;최재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25
    • /
    • 2002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p. YJ-63으로부터 항진균성 항생물질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생물질은 7개의 $\alpha$-amino acid와 1개의 $\beta$-amino acid가 결합한 환상구조를 가지는 iturin E 계에 속하며 특히. $\beta$-amino acid의 methylene 수가 기존의 iturin E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