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로지정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Drift Phenomenon of a Ship on the Waterway near the Breakwater of Busan and Gamcheon Port (부산항과 감천항 방파제 인접 항로에서 선체에 작용하는 횡압류 현상에 관한 연구)

  • Lee Yun-Sok;Kim Chol-Seong;Kong Gil-Young;Im Nam-Kyun;Lee Chung-R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1 s.97
    • /
    • pp.1-7
    • /
    • 2005
  • In order to secure the traffic safety especially in the entrance waterway of harbour, it is important that the breakwater and the port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properly considering ship-handling difficulty and traffic flow. In this study, the lateral force acting on ship hull under the external force(wind, current, wave) i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for the container ship approaching to the Busan and Gamcheon breakwater. The relation of ship-handling difficulty to the breakwater and the arrangement of ship's routine are examined based on the lateral force under the external force. Some of reviews to secure traffic safety on the design of breakwater are discussed.

UAM Parallel Corridor Collision Risk Analysis based on Collision Risk Model (충돌 위험 모델을 활용한 UAM 평행 항로 충돌 위험 분석)

  • Youn-sil Kim;Joong-won B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5
    • /
    • pp.561-567
    • /
    • 2023
  • In this study, the collision risk of the UAM (Urban Air Mobility) corridor was analyzed using a collision risk model applied to the manned aircraft corridor. According to the K-UAM roadmap and operating concept, UAM is expected to fly on a designated route similar to existing manned aircraft operations and operate on two routes, travel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point. Among domestic manned aircraft routes, the manned aircraft operation between Gimpo Airport and Jeju Airport is similar to this and takes the form of a parallel route with a later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rou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llision risk of the UAM corridor according to the lateral separation distance using a collision risk model used to analyze the collision risk of manned aircraft parallel routes for a similar type of UAM corridor. Based on this, we finally analyzed how many parallel routes could be installed within the width of the Han River, considering the K-UAM demonstration route.

연안수역에서 선박교통 재현프로그램 개발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Seong, Yu-Chang;Yun, Dae-Geun;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6-1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에서 해상 수송은 무역 수 출입의 90%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정학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해상에서의 교통시스템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더욱 발전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연안 해역에서의 선박 교통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별 항적과 같은 선박 교통의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각 수역별로 선박 흐름을 재현해 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박종류 항로특성 실제교통량 등을 해상 교통의 구성요소별로 분류하고, 자동피항 기능을 포함한 다수 선박간의 흐름을 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목포항의 선박교통 자료를 기본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델을 수역의 교통안전성 예측, 항로내 시설물 설치시 적정성 문제 등에 적용가능한 지를 고려하였다.

  • PDF

무중 여객선 해상교량접촉사건에 대한 고찰

  • Jeong, Dae-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63-365
    • /
    • 2015
  • 우리나라 연안에서 육지와 섬 사이를 연결하는 해상교량은 계속해서 건설하고 있는 추세이며 해상교량이 선박의 안전한 운항에 새로운 위험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반면에 내항여객선 선장 및 항해사는 무중 레이더만 믿고 항해하여야 하나, 레이더가 해상교량의 주경간 항로와 해상교량 건너편 상황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레이더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경험과 관행에 의해 무리하게 선박을 운항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글은 목포지방해양안전심판원의 관할해역에서 발생한 여객선 비금농협카페리호가 신안1교의 교각과 접촉한 사건의 개요와 원인을 살펴보고, 레이더에 의해 해상교량의 주경간 항로를 식별할 수 있는 대책마련의 필요성, 선박의 해상교량 통항을 위한 최소 가시거리 인식 필요성, 해상교량 주변에 피항지 지정 및 관리, 내항여객선의 VHF청취능력 개선, VTS센터와 한국해운조합 운항관리실의 업무협력 강화, 연안 여객선의 안전문화 정착 필요성, GPS Plotter 과신 주의 등의 교훈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Modeling and Solution Method for Routing of Container Ship (콘테이너 선박 운항경로 문제의 모형화와 해법)

  • 성기석;박순달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 /
    • v.14 no.2
    • /
    • pp.1-18
    • /
    • 1989
  • 콘태이너 선박은 출발항과 종착항의 두항구 사이를 잇는 지정된 항로를 오가면서 항로의 중도에 있는 각 항구에 기항하여 화물을 상.하역하는 형태로 각 항구 사이의 화물운송을 수행한다. 이때 이윤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선박을 어느 항구에 기항하고, 또 기항하는 항구에서는 얼마만큼의 화물을 항.하역할 것인지를 적절하게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콘테이너 선박 운항경로 문제를 모형화 하고, 0-1 혼합정수 계획법을 이용한 수리모형을 제시한 후, 최소비용 흐름문제와 분지한계 기법을 이용한 최적해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한 해법에서는 먼저, 기항하기로 한 항구의 집합에 따라 부분문제를 정의한다. 또한 분해된 부분문제에서 추가로 기항할 항구들에 대한 운항구간의 적제 한계와 운항비용을 완화시킨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다시 최소비용흐름문제를 이용하여 풀어서 상한값ㄹ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부분문제의 하한값과 하한값을 계신히여, 그것을 이용하여 분지를 절단하고, 또한 상한값이 높은 부분문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분지합으로써 최적해를 구한다.

  • PDF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Fouling Organism Information Based Aids to Navigation (항로표지 기반의 부착생물 정보 생성에 관한 연구)

  • Shin-Girl Lee;Chae-Uk Song;Yun-Ja Yoo;Min 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5
    • /
    • pp.456-461
    • /
    • 2023
  • The Korea Maritime Environment Corporation is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under the commission of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to ensure continuous use of the ocean, preserve and manage the marine ecosystem. The survey has set major peak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rine ecosystem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s the peak has been set around the coa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investigation to encompass offshore areas. Meanwhile, the Aids to Navigation Division of the MOF supports a comprehensive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 providing photographs of fouling organisms during the Aids to Navigation lifting inspection, however, the photographs are provided only in consultation with the Korea Maritime Environment Corporation.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fouling organisms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processing algorithms by the lifting Aids to Navigation and dorsal buoys so that Aids to Navigation could be used as the major component of a comprehensive national marine ecosystem. If the Aids to Navigation are used as the peak of the survey, they could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enhance their own value as well as analyze abnormal marine conditions and ecosystem changes in Korea.

The Return of Great Power Competition to the Arctic (북극해 일대에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강대국 경쟁)

  • Hong, Kyu-dok;Song, Seongjong;Kwon, Tae-hwan;JUNG, Jaeho
    • Maritime Security
    • /
    • v.2 no.1
    • /
    • pp.151-184
    • /
    • 2021
  • Global warming due to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Global warming is not only a disaster that threatens the global ecosystem but also an opportunity to reduce logistics costs and develop mineral resources by commercializing Arctic routes. The Arctic paradox, in which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threats and new economic opportunities coexist, is expected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s the glaciers disappear, routes through the Arctic Ocea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uez and Panama Canals emerged as the 'third route.' This can reduce the distance of existing routes by 30%. Global warming has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geopolitical paradigm. As Arctic ice begins to melt, the Arctic is no longer a 'constant' but is emerging as the largest geopolitical 'variable'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e Arctic, which was recognized as a 'space of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post-Cold War era, is now facing a new strategic environment in which military and security aspects are emphasized. After the Cold War, the Arctic used to be a place for cooperation centered on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it is once again changing into a stage of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superpowers, heralding 'Cold War 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ategic value of the Arctic Ocean from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perspectives and derive strategic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ynamics of the New Cold War taking place in the Arctic region.

  • PDF

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Seung-Yeong;Lee, Tae-Hwan;Jo, 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5-437
    • /
    • 2013
  • 문화자원으로서의가치를내재하고, 접근성이양호한 등대 중일부를 문화교육시설, 공공편의시설 등을 확충하여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지정(운영)하고 있으나, 지역(등대)별 해양문화 공연 프로그램의 획일화 등에 따른 집객효과 저조로 다양한 문화컨텐츠 도입이 필요하며,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해양관광 개발 등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User Location based Marine Weather Infomation Service Model (사용자 위치기반 해양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모델)

  • Lim, YongMin;Oh, SeungUk;Park, Daewon;Kim, SunYoung;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29-30
    • /
    • 2014
  • 최근 해양 분야에서는 레저보트, 윈드서핑, 낚시 해상관광 등 해상에서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선박의 안전을 비롯하여 해상 활동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 요구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해상활동을 위한 정보제공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전자해도 상에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의 제공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전자해도 상에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정보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전자해도 상에 지정한 위치를 바탕으로 항로표지 정보, 일출, 일몰, 간조, 만조, 날씨 등을 표시하여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esent Navigation Method at the Ulsan waterways from the viewpoint of Pilot (도선사의 관점에서 본 울산항 도선구의 통항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Kei-Yel;Lee, Dong-Sup;Park, Young-S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6
    • /
    • pp.469-475
    • /
    • 2011
  • Ulsan pilotage is one of the most busy pilots boarding among the korean pilotages. The route layout of ulsan port is simple but the complex degree of marine traffic flow is high because there are many navigating ships from/to piers and anchorages nearby route. So, this paper is surveyed and analysised the navigating dangerous factors as to navigation danger elements in/near the rout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piers at the ulsan waterways. And this research assures the same place where shiphandling bunder is occurred to compare the danger sense of pilot with environment stress to represented the mariner's shiphandling stress quantitatively at the ulsan ro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