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rift Phenomenon of a Ship on the Waterway near the Breakwater of Busan and Gamcheon Port

부산항과 감천항 방파제 인접 항로에서 선체에 작용하는 횡압류 현상에 관한 연구

  • Lee Yun-Sok (The Center of Ship Operat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Chol-Seong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Kong Gil-Young (Division of Ship Operation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Im Nam-Kyun (Research Engineer, Marine Research Institute, Samsung Heavy Industry Co. ,Ltd.) ;
  • Lee Chung-Ro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연구원) ;
  • 김철승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공길영 (한국해양대학교 운항시스템공학부) ;
  • 임남균 (삼성중공업(주) 조선해양연구소) ;
  • 이충로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In order to secure the traffic safety especially in the entrance waterway of harbour, it is important that the breakwater and the port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properly considering ship-handling difficulty and traffic flow. In this study, the lateral force acting on ship hull under the external force(wind, current, wave) i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for the container ship approaching to the Busan and Gamcheon breakwater. The relation of ship-handling difficulty to the breakwater and the arrangement of ship's routine are examined based on the lateral force under the external force. Some of reviews to secure traffic safety on the design of breakwater are discussed.

항만을 출입항하는 선박의 통항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파제와 같은 항만 시설물의 설계 또는 배치시에는 우선적으로 선박의 조종 성능을 감안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하도록 적정한 항로를 지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 및 감천항 입항을 위해 방파제 인접 항로에서 일정 침로로 접근하는 컨테이너 선박이 외력인 바람, 조류, 파랑에 의해 선체에 발생하는 횡압류 및 회두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선속에 따라 외력을 상쇄하기 위해 취해야 할 대응타각을 산출한다. 또한 향후 방파제 설계 및 배치시 고려해야 될 외력하의 선박의 조종 성능요소를 제안함과 동시에 방파제의 설계와 항로 배치와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갑, 공길영(1997), '선박의 항해중 종합내항성능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9
  2. 박진수 (2001), '(증보) 해상교통공학'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도서출판부, pp137-172
  3. 설동일 (2004), 항로표지 장기개발 계획에 관한 조사 연구 (중간보고서), pp. 제2장 1-30
  4. Hirono, M., Takashina, K. and Saruta, T (1980), 'Ship Turing Tragectory in Regular Waves', The West-Japan Society of Naval Architects, No. 60. pp. 17-31
  5. Isherwood, R.M (1972), 'Wind Resistance of Merchant Ship', Trans. RINA, Vol. 114, pp 327-336
  6. Kobayashi, E., Kagemoto H. and Hukukawa, Y(1995), 'Mathematical Models of Ship Manoeuvring Motion', 제12회 조종성 심포지움, 일본조선학회, pp. 23-89
  7. Lee, Y. S.(2003) 'The Safety of Maneuverability based on the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Ship Hull under the Lateral Berthing',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7권 제6호, pp. 625-630 https://doi.org/10.5394/KINPR.2003.27.6.625
  8. Park, Y. S. and Lee, H. K.(2003), 'A Study on Proposed New Consideration Factors in Channel Design Process',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7권 제6호 pp. 661-667
  9. Tsuji, T., Mori, N. and Yamanouchi, Y(1969), 'On the Force Acting on a Ship Oblique Flow', 일본선박기술연구소보고, 제16권 제5호, pp. 15-28
  10. 平野雅祥, 高井忠夫, 松本憲洋(1981), '조선설계에의 조종 운동 모델의 응용' 제3회 조종성 심포지움, 일본조선학회, pp. 101-136

Cited by

  1. A Study on the Ship's Speed Control and Ship Handling at Myeongnayang Waterway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837/kosomes.2014.20.2.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