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균실험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38초

Kumazasa로 염색한 면직물의 항균성 (Antibiosi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Kumazasa)

  • 정미지;박순지;이은정;구강;박윤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144-146
    • /
    • 2008
  •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환경오염이나 자연파괴 등을 유발시킴으로써 이에 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여된 소재들이 개발 되고 있어 천연성분을 이용한 패션상품들이 고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Kumazasa를 충분히 건조시켜 키토산을 젖산 수용액에 용해시켜 면을 처리 하고 욕비 1:10으로 Kumazasa를 24시간 80$^{\circ}C$에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으로 염색하여 수세 및 건조하였다. 항균성은 황색포도당구균과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99.9%로 매우 우수한 항균성이 나타났다.

  • PDF

이팝나무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 이영남;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0.1-110
    • /
    • 2003
  •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육도목, 유소수라고도하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잎을 차대용으로 사용한다고 하여 다엽수라고도 부른다. 지사, 건위, 중풍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고, 강장제, 해열제, 이뇨제 등으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이팝나무 잎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여 유용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메탄을 추출물을 각종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후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항균 활성 등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reducing power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그리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특히, Escherichia coli와 Bacillus cereus 균주에 대해 각각 16 및 18mm 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다목적용액에서 천연보존제로서의 Allyl 유도체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yl Derivate in Multi-purpose Solution as Natural Preservative)

  • 이지영;서승교;성덕용;육도진;이군자;정재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마늘 allyl 유도체의 안질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이를 다목적용액(MPS)에 응용함으로써 천연물유래 마늘성분을 이용하여 MPS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cus aereus)에서 마늘유래 allyl 유도체인 diallyl sulfide(DAS)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없는 MPS에 DAS를 함께 처리하여 세균의 생육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50%의 생육저해($IC_{50}$)를 나타내는 DAS농도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각각 0.25%와 0.64% 였다. MPS의 항균활성 실험에서 A사의 제품은 효과가 없었으며 B사의 제품은 두 균 모두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B사 MPS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과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DAS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을 위해 처리된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A사의 MPS를 사용하여 A사의 MPS에 DAS를 첨가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한 바 DAS의 항균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살균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마늘의 allyl 유도체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녹농균에서 더큰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성분과 같은 천연물유래 항균활성물질이 MPS의 보존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오미자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Related with Obesity)

  • 정은지;이운종;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73-6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원인 중 하나인 장내균총의 변화를 개선하고자 in vitro 상에서 천연소재를 탐색하였고 선발된 소재인 오미자로 항균활성과 기능성을 분석하고 세포에 대한 독성 및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나아가 풍미증진과 기능성 가미를 위한 오미자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96 well plate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한 결과, 유익균인 B. fragilis와 B. spp.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유해균인 E. limosum과 C. perfringens을 억제시키는 오미자를 선발하였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E. limosum, B. fragilis, C. perfringens, C. difficile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고 B. bifidum에 대한 항균력은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IC를 측정한 결과, E. limosum, B. fragilis, C. perfringens, C. difficile를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u}g/mL$의 농도에서 최소 저해 하였다.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음료로의 제품화를 위해 과채류 주스의 살균온도인 $96^{\circ}C$, 15초를 기준으로 $60-100^{\circ}C$에서 $10^{\circ}C$씩 변화를 주어 10분씩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항균활성의 경우 대체로 안정하였고 큰 항균력을 위해서는 $80^{\circ}C$ 이상 살균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력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체로 안정하였다. 이는 음료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이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항균활성과 항산화를 나타내는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을 비교해봤을 때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의 함량이 항균활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장상피세포에 대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소장상피 정상세포인 Caco-2에 대한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독성 영향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인 $5\;{\mu}g/mL$에서도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미루어 볼 때 동물 실험하기 전, in vitro 상에서 오미자 추출물이 세포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으로 다음 진행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오미자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동물 실험은 high-fat-diet rats에 오미자 열수 추출물을 0.5 mg/kg/day 투여한 경우 체중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내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control군과 extract 투여군을 비교한 결과, in vitro 실험결과와 같이 Bifidobacterium spp.를 7.62% 증진시키고 Clostridium spp.를 12.39% 감소시켰다. 또한 비만과 관련된 Eubacterium을 억제시켰다. 이는 오미자가 유익균을 증진시키고, 유해균은 감소시키는 장내 균총을 유익한 균총으로 개선시키는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인체 내에 부족하기 쉬운 미량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자작 나무수액에 장내 균총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오미자 추출물과 기능성 올리고당인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관능평가한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자작나무수액 100%, 오미자추출물 5%, 자일리톨 5%을 첨가한 sample C가 6.68로 다른 sample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그러므로 5% xylitol, 5% 오미자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sample C가 관능적으로 우수함을 보여 앞으로 맛과 기능성, 풍미를 가미한 음료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콩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 Protein Hydrolysate with Asp. saitoi Pretense)

  • 주정현;이상덕;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9-235
    • /
    • 2004
  • 콩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였을 때 생성되는 항균활성 Peptide를 조사하고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를 이용해서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리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igh p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취한 항균성 peptide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Aspergili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여과 한계량 10,000, 3,000, 1,000 membrane filter로 cut-off하여 한외여과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 1,000∼3,000인 fraction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 범위 가수분해물의 MIC는 0.5∼0.8 mg/mL였으며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 saitol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121$^{\circ}C$, 1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도 그 항균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는 열에 대단히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한외여과하여 얻어진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범위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HPLC의 결과 얻어 진 peak 별로 분획 수집을 반복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retention time 16.02(IV)의 peak에서 최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버섯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 검색과 특성 (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hibitory Activity of Mycelial Extracts from Several Korean Mushroom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이재경;윤정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4
    • /
    • 2004
  •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열수추출물에서는 Fomitopsis pinicola가 15 mm의 생육저해환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odyceps militaris, Coriolus versicolor, Phellinus linteus, Fomitella traxinea가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열수 추출물들의 pH가 낮았으나 항균력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버섯추출물의 수소이온 농도는 항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Methanol 추출물에서도 Fomitopsis pinicola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44 mm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버섯의 주성분은 당과 단백질이며 주로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다. 이를 구성하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른 기작을 보이는 갓으로 추정되며 결합하고 있는 형태도 기작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을 통해 Fomitopsis pinicola methanol 추출물이 DEAE-Sepadex의 초기 분획에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이 분획은 당과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Fomitopsis pinicola, Codyceps militaris는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기능성식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편백나무 정유를 처리한 면섬유의 항균성 (Antibiosis of Cotton Fabric finished by Chamaecyparis Obtusa oil)

  • 류중재;김정곤;김영운;박용완;고정안;임지혜;김의화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80-80
    • /
    • 2011
  • 최근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천연 섬유를 소재로 사용한 최종 제품 역시 고급화 및 고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섬유항균가공분야에 있어서도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가공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항균가공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는 일반적으로 합성항균제를 사용하고 있고 이는 거의 대부분 자극성 화합물로써 인체에 잠재적 유해요인이 될 수 있고 제조 및 가공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반면 천연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합성물질에 비해 포름알데히드 검출 등의 인체 안정성의 불안이 적어 건강차원에서 그 인식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항균물질에는 chitosan이나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항균물질 등이 있는데 특히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항균물질은 피톤치드(phytoncide)라고 표현되고 있으며 이는 수목들이 해충이나 미생물 등으로부터 자기방어를 위해 공기 중으로 발산하는 방향성의 항생물질을 뜻하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중에서 피톤치드 정유의 함량이 많다고 알려진 측백나무과의 편백나무 정유를 이용하였으며 편백나무 정유가 식물성 천연 오일형태이므로 가공 처리 시 물과 계면이 발생되기 때문에 HLB(Hydrophilic Lipophlic Balance) 조건에 따른 최적 유화조건을 선정하였으며 편백나무 정유를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 기능 부여를 위한 시험으로 편백나무 정유 처리 농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편백나무 정유는 HLB 15이상 계면활성제 사용 시 물에 용해성이 좋고 안정된 에멀젼 상태를 보였으며 제조된 편백나무 정유 가공액 5%이상 처리 시 Staphylococcus aureus과 Klebsiella pneumoniae의 99.9% 정균감소율을 나타내었다.

  • PDF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과 열매의 열수(熱水)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효능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Ricinus communis L. Leaves and Fruits)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53-361
    • /
    • 2018
  • 천연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의 일환으로 선택한 피마자 열매의 열수 추출물(RFW)과 에탄올 추출물(RFE)은 각각 15.8%와 18.4%의 수율을 나타냈다. Paper-disc method을 통한 항균활성 측정 결과, 피마자 열매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서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캔디다균에서도 배양 16시간까지 1.5mm 정도의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에는 캔디다균의 증식이 다시 관찰되었다. 피마자 열매 에탄올추출물(RFE)의 MIC실험 결과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각각 96%와 93%의 항균력이 나타났다. 피마자 잎 열수추출물(RLW)과 피마자 잎 에탄올추출물(RLE)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효능 결과는 $1000({\mu}g/m{\ell})$에서 각각 $1.8{\pm}0.6%$, $2.1{\pm}0.7%$의 free radical 소거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가 향후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리라 사료된다.

항균제 도포에 의한 하수시설 콘크리트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Development of Sewage Concrete by Application of Antibiotics)

  • 김무한;김규용;길배수;조봉석;이의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71-378
    • /
    • 2006
  • 현대사회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사회기반시설인 하수시설은 대부분 주요 재질이 콘크리트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하수시설은 최근 황산화세균에 기인한 생화학적 부식에 의해 심각하게 열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황산화세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제를 개발한 후 황산화세균에 대한 항균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콘크리트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항균제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각종 물리적 성능 및 내구성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항균제의 항균성능은 유효하였으며, 항균제 도포에 의한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는 유의할 만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마모저항성, 흡수 및 투기 저항성, 중성화 염해 및 화학저항성은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韓國) 토양균(土壤菌)중 항생물질(抗生物質) 생성균(生成菌)에 관한 연구(硏究) 제 4 보(第4報) -스트렙토마이세스속(屬) 균주(菌株) DMC-42의 분리(分離) 및 그 항균작용(抗菌作用)- (Studies on Antibiotic Producers of Korean Soil Microbes (IV) -Isolation and Antibiotic Activity of Streptomyces Strain DMC-42-)

  • 김화기;김정우;김하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9-97
    • /
    • 1985
  • 한국 토양균 중에서 항균력이 있는 토양균을 분리하여 균 동정을 실시하였고 생성된 항균성 물질에 관해 실험하였던 바, 이 균주는 Streptomyces속 임이 확인되었고 동정 결과 type species와 일치하는 것은 없었으나 Streptomyces avellaneu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에 의해서 생성된 항균성 물질의 항균병위는 사용된 Gram-positive균 중에서 Staphylococcus aureus에만 항균력을 나타내며 사용된 Gram-no-gative균 중에서는 Escherichia에만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 균주에 의해 생성된 항균성 물질을 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등을 통하여 분리, 정제하였고, 여러가지 물리, 화학적 성질을 관찰해 본 결과 aminoglycoside계통의 항생물질로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