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균물질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3초

Paenibacillus polymyxa JB115로부터 생산된 항균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Paenibacillus polymyxa JB115)

  • 정희경;박승춘;박병권;김상달;남두현;홍주헌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65-69
    • /
    • 2008
  • 가축 질병의 제어를 위해 면역증강제인 베타글루칸 생성균으로 분리한 Paenibacillus polymyxa JB115의 배양액이 가축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보임에 따라, 배양액의 동결건조 분말을 대상으로 항균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다기능 가축 사료첨가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 결과, P. polymyxa JB115에서 생산된 항균물질은 E. coli, S. aureus, S. choleraesuis 및 P. aeruginosa 등 가축 병원성 세균들에 대해 살균 또는 정균 활성을 보였으며, 항균범위도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 물질은 높은 내열성과 pH 안정성을 지녀 배양액의 제형화에도 적합하였으며, 인공 담즙산 및 인공 위액에서도 안정하여 사료첨가제로 투여시 가축의 장내 병원세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P. polymyxa JB115의 배양액은 베타글루칸 이외에도 가축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을 지니고 있어서, 다기능 사료첨가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가 생성하는 iturin isoform의 분리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ree Isoforms of Iturin Produced by Endophytic Bacillus sp. CY22)

  • 조수정;윤한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05-1012
    • /
    • 2005
  •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는 식물병원균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및 Phythium ultimum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많은 Bacillus속 균주들은 iturin, fengycin, mycosubtulin과 같은 항균 물질을 분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내생균 Bacillus sp. CY22의 배양액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MALDI-TOF mass로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MALDI-TOF mass spectrum분석 결과 분리된 항균물질은 Bacillus 속 균주가 생성하는 항균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는 iturin의 분자량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m/z 1043.4, 1057.4, 1071.4에서 molecular ion peak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각각 m/z 14차이를 가진 iturin의 isoform으로 추정되며 이 것은 iturin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탄소수 차이로 생각되며 m/z 1065.4, 1079.4 peak는 sodium adduct로서 추정된다. 또한 항균물질 iturin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transacylase 유전자를 크로닝하여 ita22 유전자로 명명하고, 그 특성으로 ita22 유전자는 400 개의 아미노산을 인지하는 1,200 bp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가지며, 아미노산의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subtilis 168의 FenF (BAB69697)와 가장 유사하였다.

일본의 수입돈육에 대한 항생.항균물질 검사방법과 우리의 대응방안

  • 박종명
    • 월간 양돈
    • /
    • 제11권2호통권114호
    • /
    • pp.45-49
    • /
    • 1989
  • 식육중의 잔류물질 대책은 실제에 있어서 매우 간단한 일이다. 가축은 사육주가 만들어 준 환경속에서 주어지는 사료에 의하여 사육되어 진다. 따라서 환경을 정결히 하고 규제하는 약제가 첨가된 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부득이 사용하였을 경우 충분한 휴약기간을 주어 가축의 잔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 PDF

Optimization for the Cell Growth and Antibiotic Production of Xenorhabdus nematophilus Kor-A1 at Bioreactor

  • Ho, Nam-Uk;Kim, Chang-Hoon;Lee, Sung-Min;Synn, Dong-Su;Park, Jae-Su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723-72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양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Kor-A1에서 분리된 공생박테리아 X. nematophilus Kor-A1 균주를 이용하여 액체 배양을 통해 생산조건에 따른 균주의 성장과 항균활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항균물질의 생산조건 최적화를 검토하고 하였다. Flask 상에서 배양시간에 따른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growth associated form을 보여 주었으며, 공생박테리아의 성장의 정지기에 최대 활성을 타나내었다. 또한 5L jar fermentor 상에서 최적 배양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교반속도와 DO의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교반속도는 400rpm에서 DO는 50%일 때 X. nematophilus Kor-A1의 균체 성장 및 항균물질 분비에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Korean Leek (Allium tuberosum))

  • 홍정화;이미형;강민철;허성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5-240
    • /
    • 2000
  • 식품의 항균물질 분리에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오차와 손실이 많아 실용화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분리법으로 유기용매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으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시료에 따라 항균활성이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전편의 '부추의 미생물학적 항균활성 특성과 가공식품에의 응용'에 이어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정립하고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 분리를 위하여 ultrafiltration, liquid-liquid extraction, TLC, HPLC 순으로 정제하였다. Ultrafiltration 결과 항균물질은 분자량 5,000 dalton 이하의 저분자 물질이었고, TLC로 분리된 8개의 spot중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개의 spot을 추출하여, HPLC로 유효 peak 2개를 얻었고 각 peak성분을 GC/MS로 확인한 결과 cis-propenyl methyl disulfide, 5-methyl methylthiosulphonate, dimethyl disulfide등의 황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로 확인되었다.

  • PDF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PF01 균주 유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Substance of Lactobacillus johnsonii PF01)

  • 김상훈;박혜균;황인찬;강대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53-57
    • /
    • 2020
  • 장관 흡착능 등을 비롯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johnsonii PF01의 배양상등액을 황산암모늄으로 70% 농축한 후에 항균능을 조사한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PF01 균주가 분비하는 항균물질은 단백질분해효소 proteinase K에 의해 항균활성이 소실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항균물질이 박테리오신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L. johnsonii PF01 유전체에서 박테리오신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검색한 결과, helveticin과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의 항균물질 분리 (Isolation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 이상호;이영춘;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3-487
    • /
    • 2003
  • 오미자 essential oil에 존재하는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hexane-ether 용매계를 이용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6개 획분의 S. aureus에 대한 항미생물성을 조사하였고, 항미생물성이 큰 획분의 GC-MS를 통하여 9개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한편 오미자 정유, citronellol 및 terpineol을 첨가한 배지에서 S. aureus와 E. coli의 생육억제 효과를 관할한 결과 E. coli 보다는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미자 정유를 농도별로 첨가한 배지중에서 S. aureus와 E. coli에 대한 경시적 생육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S. aureus의 경우 오미자 정유 첨가군에서 $6{\sim}12$시간까지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E. coli의 경우에는 생육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citronellol과 terpineol이 오미자 정유성분 중에 존재하는 중요 항균물질임을 확인하였다.

Bacillus subtilis 168 균주가 분비하는 5 kDa 크기의 Bacteriocin (A Bacteriocin of 5-kDa in Size Secreted by Bacillus subtilis 168)

  • 권건희;이황아;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3-167
    • /
    • 2010
  • B. subtilis 168 균주는 배양중 항균물질을 배지중으로 분비하며 배양상등액은 몇몇 그램 양성균을 저해한다. B. cereus와 L. monocytogenes의 저해 정도가 가장 컸었다. 배양상등액을 proteas와 proteinase K로 처리할 경우 항균력이 상실되어서 항균물질은 단백질성(박테리오신) 임을 알수있었다. Tricine SDS-PAGE에 의해서 박테리오신 분자량은 5 kDa으로 확인되었다. 박테리오신은 민감한 균을 죽임으로써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 결과들에서 B. subtilis 168은 청국장과 같은 B. cereus 오염이 문제되는 발효식품들의 종균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