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광학

Search Result 5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ynthesis and Charaterization of Photoluminescent and Electrochemical Property for Diruthenium Complex with Diimine Bridge (디이민 가교제를 갖는 이핵 루테늄 착체의 광발광 및 전기화학적 특성)

  • Kim, Dong-Hwan;Kim, Hwa-Seon;Kwak, Ji-Hoon;Lee, Jee-Hoon;An, Ho-Guen;Woo, Myung-Woo;Ruimao, Hua;Jung,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96-297
    • /
    • 2006
  • 유기EL의 발광재료로 쓰일 수 있는 이핵 루테늄착체는 $Ru(bpy)_2Cl_2$와 새롭게 디자인한 가교체 (Bis(-2,2'-dipyridyl ketenylidene)-N,N-1,6-diphenylene diamine)의 반응으로부터 합성하였고, FT-IR, $^1H$-NMR, $^{13}C$-NMR, UV-vis, P.L, C.V를 이용하여 착체의 구조분석, 광학적 특성과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측정하였다.

  • PDF

Optical Properties of Undoped and $Co^{2+}$-doped $\alpha-Ga_2S_3$Thin Films by Spray Pyrolysis (분무합성법으로 제작한$\alpha-Ga_2S_3$$\alpha-Ga_2S_3:Co^{2+}$ 박막의 광학적 특성)

  • 김형곤;김남오;박태형;진문석;김미향;오석균;김화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4 no.7
    • /
    • pp.539-545
    • /
    • 2001
  • Undoped and Co$^{2+}$ $\alpha$-Ga$_2$S$_3$ thin films were grown by spray pyrolysis method. It has been found that these thin films have a monoclinic structure and direct optical energy gap and indirect were located to 3.477eV and 3.123 eV at 10K respectively. In the photoluminescence due to a D0A(donor-acceptor) pair recombination were observed at 502 nm and 671 nm for the $\alpha$-Ga$_2$S$_3$ thin film, where is excited by the 325 nm-line of He-Cd laser. These peaks are identified to b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 transition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Co$^{2+}$ ion sited a the T$_{d}$ symmetry point in the $\alpha$-Ga$_2$S$_3$;Co$^{2+}$ thin film. film.

  • PDF

Growth,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c-axis Oriented ZnO Nanorods Array by Hydrothermal Method (수열합성에 의한 c축 배향 ZnO 나노로드 배열의 성장과 구조, 광학적 특성)

  • Kim, Kyoung-Bum;Kim, Chang-Il;Jeong, Young-Hun;Lee, Young-Jin;Paik, Jong-H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23 no.3
    • /
    • pp.222-227
    • /
    • 2010
  • ZnO nanorods array have been grown on the seed crystal coated Si(100) substrate by hydrothermal method. The growth,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nanorods array were investigated with a variation of precursor concentration from 0.01 M to 0.04 M. The array density of grown ZnO nanorods per same area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recursor solution. Vertically aligned ZnO nanorods with hexagonal wurtzite structure have highly preferred c-axis orientation along (002) lattice plane. Especially, ZnO nanorods array developed from 0.04 M precursor solution showed a diameter of about 85 nm and length of 1.2 {\mu}m$ without any crystallographic defects.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ZnO nanorods from heavier precursor concentration exhibited stronger UV emission around 380 nm corresponding with near-band-edge emission.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Y_3Al_5O_{12}:Eu^{3+}$ Nano-Phosphors by Combustion Method (연소합성법으로 제작한 $Y_3Al_5O_{12}:Eu^{3+}$ 나노형광체의 광학적 특성)

  • Kwak, Hyun-Ho;Kim, Se-Jun;Park, Yong-Seo;Choi, H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06-407
    • /
    • 2008
  • For this study, Yttrium aluminum garnet (YAG) particles doped $Eu^{3+}$ ions were prepared via the combustion process using the 1:1 ratio of metal ions to reag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nano powder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photoluminescence (PL). The various YAG peaks, with the (420) main peak, appeared at all sintering temperature XRD patterns. The YAG phase crystallized with results that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JCPDS diffraction file 33-0040. The SEM image showed that the resulting YAG:Eu powders had larger sizes with the increse in the sintering temperature. The grain size was about 50nm at $1000^{\circ}C$. The PL intensity of $Eu^{3+}$ has the line peaks of 598, 610, 632nm and has main peak at 591nm.

  • PDF

유도결합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 박막 물성변화 연구

  • O, Gyeong-Seok;Kim, Ga-Hyeon;Kim, Dong-Seok;Lee, Heon;Lee, J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23.2-423.2
    • /
    • 2014
  •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는 1970년대 중반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대면적의 용이성 및 재료 사용의 효율성 등 산업적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재료 특유의 무질서(disorder)로 인한 Voc의 한계 및 광 열화 현상 등의 문제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 중 하나로 나노입자를 포함한 실리콘 박막 제작을 통해 재료의 무질서도를 낮추고 전기광학적 물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사용하여 제작한 실리콘 나노입자 박막으로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실리콘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조밀한 박막을 제작하는데 중요한 변수로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반응기 상, 하부의 압력차 및 이로 인한 제트분사의 속력, 그리고 나노 입자의 크기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합성된 입자의 크기와 물성의 변화는 유입되는 반응 가스의 양, 공정압력과 파워에 의존한다. 실리콘 나노입자 박막을 다양한 플라즈마 조건에 따라 제작한 후 XRD, Raman, SEM, TEM을 이용하여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박막태양전지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효율 색소결합 유-무기 하이브리드 레이저 재료의 제조와 특성평가

  • Gwak, Seung-Yeon;Yang, Seung-Cheol;Kim, Jae-Hong;Lee, Gang-In;Lee, Jong-Hun;Bae, Byeong-S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57.1-57.1
    • /
    • 2010
  • 레이저 색소 분자간의 회합을 막음으로써 높은 레이저 효율을 갖는 고체 색소 레이저를 제조하기 위해 레이저 색소인 DCM을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켰다. 수산화기를 기능기로 갖는 DCM을 합성하여 이를 솔-젤반응의 전구체로 활용하였다. 유기실란을 DCM과 함께 솔-젤반응을 시킴으로써 DCM이 결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제조하였다. DCM이 결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특성을 각각 갖고 있기 때문에 용액공정을 통해 고체 색소 레이저를 단시간에 제작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적 및 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Nd:YAG 레이저를 여기광으로 이용하여 DCM이 결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의 레이저 효율을 측정하여 DCM을 유기용매에 녹인 색소 레이저의 레이저 효율과 비교하였다. DCM이 결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는 DCM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유기용매를 이용한 색소 레이저에 비해서 더 높은 레이저 효율을 가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DCM이 결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에 각각의 DCM 분자가 실록산 망목구조와 화학적으로 결합이 되어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재료에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되고 망목구조에 둘러쌓여 분자간의 회합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 PDF

인광 물질 $Ir(ppy)_3$를 mCP와 TPBi 혼합 호스트에 도핑하여 인광 유기발광소자의 전하 주입 메커니즘

  • Kim, Jeong-Hwa;Kim, Dae-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73-473
    • /
    • 2012
  • 유기발광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등의 장점으로 소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며 차세대 조명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고효율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다양한 유기 인광물질 합성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호스트 물질을 사용하여 전자와 정공의 주입을 향상하여 고효율의 인광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발광층에 N,N'-dicarbazolyl-3,5-benzene (mCP)와 1,3,5-tri(phenyl-2-benzimidazole)-benzene (TPBi)를 혼합 호스트로 사용하였으며 tris(2-phenylpyridine)iridium ($Ir(ppy)_3$)청색 인광물질을 도핑하여 고효율의 인광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 단일 호스트와 혼합 호스트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전자 및 정공 수송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혼합 호스트 TPBi의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준위와 엑시톤 저지층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BCP)의 LUMO 준위와 비슷하여 전자의 주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혼합 호스트 mCP는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와 정공수송층 N,N'-diphenyl-N,N'-bis(1-naphthyl)-1,1'-biphenyl-4,4'-diamine (NPB)의 HOMO와 비슷하여 정공의 주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여, $Ir(ppy)_3$에 전자와 정공의 주입이 향상되어 고 효율의 인광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인광 유기발광소자의 호스트 물질에 따른 전하주입 메커니즘을 설명 하였으며 고효율의 인광 유기발광소자 제작에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y of a TiOF2 Powder via an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을 이용한 TiOF2 분말의 합성과 광학적 성질)

  • Hwangbo, Young;Lee, Young-In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
    • v.23 no.4
    • /
    • pp.307-310
    • /
    • 2016
  • $TiOF_2$, which has remarkable electro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i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Li-ion batteries, electrochemical displays, and photocatalys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template which is allowed to synthesize fluorine doped $TiO_2$ powders with hollow or faceted structures. However, common synthesis methods of $TiOF_2$ powders have some disadvantages such as the use of expensive and harmful precursors and batchtype processes with a limited production scale. In this study, we report a synthetic route for preparing $TiOF_2$ powders by using an inexpensive and harmless precursor and a continuous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under a controlled atmosphere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e synthesized powder has an average size of $1{\mu}m$, a spherical shape, a pure $TiOF_2$ phase, and exhibits a band-gap energy of 3.2 eV.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y of BaTiO3 Nanoparticles Using a Salt-assisted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염 보조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을 이용한 BaTiO3 나노입자의 합성과 광학적 성질)

  • Hwangbo, Young;Lee, Young-In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
    • v.24 no.4
    • /
    • pp.326-331
    • /
    • 2017
  • The structural formation of inorganic nanoparticles dispersed in polymer matrices is a key technology for producing advanced nanocomposites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optic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arium titanate ($BaTiO_3$) nanoparticles are attractive for increasing the refractive index and dielectric constant of polymer nanocomposites. Current synthesis processes for $BaTiO_3$ nanoparticles require expensive precursors or organic solvents, complicated steps, and long reaction tim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a simple and continuous approach for synthesizing $BaTiO_3$ nanoparticles based on a salt-assisted ultrasonic spray pyrolysis method. This process allows the synthesis of $BaTiO_3$ nanoparticles with diameters of 20-50 nm and a highly crystalline tetragonal structure. The optical properties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the nanoparticles show that they are suitable for use as fillers in various nanocomposites.

Blocking Effect of Natural Hemp Fabrics on Mouse Skin (쥐의 피부에 미치는 천연 대마 섬유의 UV-B 차단 효과)

  • Lee, Sang-Eun;Lee, Gyeong-Hwan;Kim, Eun-Su
    • 한국전자현미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71-74
    • /
    • 2007
  • 천연 대마섬유의 UVB 차단 효과를 조사하고자 mouse를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뒤 외이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 실험군[U], 대마섬유로 차단한 뒤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H],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차단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P],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C]으로 나누어 실험한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피부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C] 외이조직의 상피세포층 두께는 $16.3\;{\mu}m$이었지만,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U]군의 상피세포층은 $65.4\;{\mu}m$, [H]군은 $33.3\;{\mu}m$, [P]군은 $41.0\;{\mu}m$의 두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정상적인 외이의 상피세포의 단면적은 $22.0\;{\mu}m^2$이었으나,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 [U]군의 상피세포층은 $37.7\;{\mu}m^2$, [H]군은 $30.1\;{\mu}m^2$, [P]군은 $30.2\;{\mu}m^2$이었다. 따라서 천연 대마섬유와 합성 폴리에스테르섬유 모두 UVB를 차단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전자가 후자보다 더 효과적으로 UVB를 차단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