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곱 신경망 모델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omparison Study of RNN, CNN, and GAN Models in Sequential Recommendation (순차적 추천에서의 RNN, CNN 및 GAN 모델 비교 연구)

  • Yoon, Ji Hyung;Chung, Jaewon;Jang, Beakcheo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3 no.4
    • /
    • pp.21-33
    • /
    • 2022
  • Recently, the recommender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ovies, music, online shopping, and social media, and in the meantime, the recommender model has been developed from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e Apriori model,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irst-generation model in the recommender system field. In 2005, many model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deep learning-based models, which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within the recommender model. The recommender model can be classified into a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a content-based method, and a hybrid method that uses these two methods integrally. However, these basic methods are gradually losing their status as methodologies in the field as they fail to adapt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rapidly changing user-item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big data.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deep learning methodologies in recommender systems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advantages such as nonlinear transformation, representation learning, sequence modeling, and flexibility. In this paper, among deep learning methodologies, RNN, CNN, and GAN-based models suitable for sequential modeling that can accurately and flexibly analyze user-item interactions are classified, compared, and analyzed.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Forecasting Daily Demand of Tourists Using Domestic Foreign Visitors Immigration Data (국내 외래객 출입국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 일별 수요 예측 인공지능 모델 연구)

  • Kim, Dong-Keon;Kim, Donghee;Jang, Seungwoo;Shyn, Sung Kuk;Kim, K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35-37
    • /
    • 2021
  • Analyzing and predicting foreign tourists' demand is a crucial research topic in the tourism industry because it profoundly influences establishing and planning tourism policies. Since foreign tourist data is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factors,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re are many subtle changes over time. Therefore, in recent year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sign a prediction model by reflecting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 variables to predict the demand for tourists inbound. However,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and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model, mainly used for time series prediction, did not show good performance in time series prediction reflecting various variables. Therefore, we design a foreign tourist demand prediction model that complements these limitation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predicts foreign tourists' demand by designing a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at reflects foreign tourist data for the past ten years provid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additionally collected external factors as input variables.

  • PDF

Developing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model with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강우예측모델 개발)

  • Choi, Suyeon;Sohn, Soyoung;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5-185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돌발 강우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강우예측의 중요성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강우예측의 경우 기상수치모델 또는 외삽법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강우예측 기법을 이용하며, 최근 머신러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활용한 레이더 자료기반 강우예측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우예측 모델의 경우 주로 시계열 이미지 예측에 적합한 2차원 순환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Long Short-Term Memory, ConvLSTM) 또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Encoder-Decoder)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기법(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이용해 미래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GAN 방법론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자와 이를 실제 이미지와 구분하는 구별자가 경쟁하며 학습되어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AN 기반 모델은 기상청에서 제공된 2016년~2019년까지의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학습시키고, 2020년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해 단기강우예측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존 머신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델들의 강우예측결과와 GAN 기반 모델의 강우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강우예측모델이 단기강우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RNN-Based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with CTC Algorithm (CTC를 적용한 CRNN 기반 한국어 음소인식 모델 연구)

  • Hong, Yoonseok;Ki, Kyungseo;Gweon, Gahgen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3
    • /
    • pp.115-122
    • /
    • 2019
  • For Korean phoneme recognition, Hidden Markov-Gaussian Mixture model(HMM-GMM) or hybrid models which comb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HMM have been mainly used. However, current approach has limitations in that such models require force-aligned corpus training data that is manually annotated by experts. Recently, researchers used neural network based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combines recurrent neural network(RNN)-based structure with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CTC) algorithm to overcome the problem of obtaining manually annotated training data. Yet, in terms of implementation, these RNN-based models have another difficulty in that the amount of data gets larger as the structure gets more sophisticated. This problem of large data size is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lacks refined corpora. In this study, we introduce CTC algorithm that does not require force-alignment to create a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Specifically, the phoneme recognition model i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hich requires relatively small amount of data and can be trained faster when compared to RNN based models. We present the results from two different experiments and a resulting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which distinguishes 49 Korean phonemes. The best performing phoneme recognition model combines CNN with 3hop Bidirectional LSTM with the final Phoneme Error Rate(PER) at 3.26. The PER is a considerable improvement compared to existing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s that report PER ranging from 10 to 12.

Semi-automatic Expansion for a Chatting Corpus Based on Similarity Measure Using Utterance Embedding by CNN (합성곱 신경망에 의한 발화 임베딩을 사용한 유사도 측정 기반의 채팅 말뭉치 반자동 확장 방법)

  • An, Jaehyu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95-100
    • /
    • 2018
  • 채팅 시스템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양질, 대량의 채팅 말뭉치가 굉장히 중요하지만 구축 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화 자막, 극대본과 같이 대량의 발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팅 말뭉치를 반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채팅 말뭉치 확장을 위해 미리 구축된 채팅 말뭉치와 유사도 기법을 이용하여 채팅 유사도를 구하고, 채팅 유사도가 실험을 통해 얻은 임계값보다 크다면 올바른 채팅쌍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길이가 매우 짧은 채팅성 발화의 채팅 유사도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것은 형태소 단위 임베딩 벡터와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발화 단위 표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기본 발화 단위 표상 생성 방법인 TF를 이용하는 것보다 정확률, 재현율, F1에서 각각 5.16%p, 6.09%p, 5.73%p 상승하여 61.28%, 53.19%, 56.94%의 성능을 가지는 채팅 말뭉치 반자동 구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A Statistical Downscaling of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합성곱 신경망(CNN)기반 한반도 지역 대상 기후 변화 시나리오의 통계학적 상세화 기법 개발)

  • Kim, Yun-Sung;Uranchimeg, Sumiya;Yu, Jae-Ung;Cho, Hemie;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6-326
    • /
    • 2022
  •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에어로졸, 토지이용 변화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복사강제력 변화를 지구시스템 모델에 적용하여 산출한 미래 기후 전망정보(기온, 강수량, 바람, 습도 등)를 생산하는데 활용된다. 또한, 미래에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선제적인 정보로 활용된다. GCM과 RCM은 구조 및 모수화 과정, 불확실성 등의 한계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큰 시공간적 규모를 가지며, 실제 관측된 기상인자들을 재현하는데 시공간적 차이 즉 편의(bias)가 발생하며. 실제 관측된 기상인자의 시간적 변화 특성을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후모델에서 생산된 정보를 수문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상세화와 편의 보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재해석 자료를 편의보정 한 뒤.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합성곱 신경망(CNN)을 기반으로 상세화 과정을 진행하여 고해상도 자료를 생산하였으며, CNN 기반 상세화 기법 적용성은 지상 관측자료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hand motion recognition-based rock-paper-scissors game using ResNet50 transfer learning (ResNet50 전이학습을 활용한 손동작 인식 기반 가위바위보 게임 구현)

  • Park, Changjoon;Kim, Changki;Son, Seongkyu;Lee, Kyoungjin;Yoo, Heekyung;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77-82
    • /
    • 2022
  •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대신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서 NUI(Natural User Interace)에 기대가 모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본 연구는 NUI의 손가락 관절을 포함한 손동작 전체를 인식시키기 위해 웹캠과 카메라를 활용하여 다양한 배경과 각도의 손동작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처리를 거쳐 데이터셋을 구축하며, ResNet50 모델을 활용하여 전이학습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분류기를 설계한다. 구축한 데이터셋을 입력시켜 분류학습 및 예측을 진행하며, 실시간 영상에서 인식되는 손동작을 설계한 모델에 입력시켜 나온 결과를 통해 가위바위보 게임을 구현한다.

  • PDF

Automated classification of clay suspension using ultrasonic backscattered signal with convolution neural network (초음파 후방산란 신호와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점토 현탁액 자동 분류 시스템)

  • Yeongho Sung;Incheol Joo;Jang Keon Kim;Jongmuk Won;Hae Gyun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65-666
    • /
    • 2023
  • 미세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광산 폐기물의 디워터링 과정(dewatering process)은 작은 입자들의 침전속도가 낮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운 과정이다. 따라서 광산 폐기물이 안정적으로 침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디워터링 과정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kaolinite, illite, bentonite 3 종류의 점토를 3 가지 농도(0.1g/L, 1g/L, 5g/L)로 나눠서 초음파 음향 감지를 이용해 후방산란 신호를 측정했다. 그리고 측정된 신호를 활용하여 합성곱 신경망(CNN) 모델을 개발하여 점토의 분류 모델을 만드는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CNN 의 높은 정확도는 광산 폐기물의 디워터링 과정에서 미세 광물과 미세 농도 분류 모니터링에 적합한 저렴하고 측정하기 쉬운 음향 감지의 사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Development of an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Ultrasound Signa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음파 신호와 합성곱 신경망 기반 자동 적조 모니터링 시스템)

  • Daehun Kim;Hyeon-Ju Jeon;O-Joun Lee;Hae Gyun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62-664
    • /
    • 2023
  •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은 유해적인 적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국가의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상황이다. 적조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식물플랑크톤 미생물의 증가를 예방하고 통제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적조 모니터링 기술은 날씨, 시간 제약 및 실시간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적조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자동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을 보여준다. 개발한 시스템은 음향 반사파 데이터 처리를 통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을 활용하여 식물플랑크톤 농도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특히, 이 CNN 모델은 음향 신호의 변환된 주파수 스펙트럼과 Cochlodinium polykrikoides (C. polykrikoides)의 농도 간의 상관 관계를 수립하는 데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이 CNN 은 C. polykrikoides 를 감지하는 데 0.90 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모니터링과 CNN 분류의 활용은 실시간 측정의 중요한 잠재력을 보여주며, 추가적인 절차가 필요 없는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rediction of overall survival for patients with malignant glioma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악성 뇌교종 환자 예후 예측)

  • Kwon, Junmo;Park, Hy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97-299
    • /
    • 2022
  • Malignant glioma has a poor prognosis with the reported median survival of between 6 months to 14 months. Thus, it is crucial to predict the accurate survival of patients with malignant glioma.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predict the overall survival and age of the patients. A total of four MRI modalities, T1, T1-contrast enhanced, T2, an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which effectively captur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glioma, were used as input images. Age is an important factor impacting the overall survival, thus incorporating it into the model will thereb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Our model successfully predicted overall survival and age of the patients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1748 and 0.3056,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