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류식 하수도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vestigation of odor Release from Combined Sewer (합류식 하수도의 악취발생 실태 연구)

  • Gil, Kyung-Ik;Shin, Geon-Cheol;Im, Ji-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6
    • /
    • pp.185-1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and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Monitorings are conducted in specific areas that hav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In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sulfur, complex odor and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And in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complex odor,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 is affected by the changes on floating population and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Also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The major odor-causing substances are found to be hydrogen sulfide($H_2S$) and methyl mercaptan. To reduce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mprovement of effluent from the septic tank and reduction of sulfur compounds have to be done.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 of Stormwater Treatment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Reservoir (초기우수처리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 수치모의)

  • Ye, Lyeong;Liu, Huan;Lee, Heung-Soo;Kim, Yu-Kyu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4-2068
    • /
    • 2007
  • 합류식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시공이 쉽고 건설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강우시 차집되지 않고 월류되는 유출량으로 인해 수체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관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는 강우 초기에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과 하수 및 관거내 오염물질 등을 동반하여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고 수질 악화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역에 설치된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으로 개선하고 강우시 초기 세척에 의해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을 삭감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M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를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의 수질예측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저수지 수리 및 수질모델인 CE-QUAL-W2를 사용하였다. 저수지 유입량은 군산기상대에서 관측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댐 방류량 자료는 M저수지의 2006년 일별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유입량과 수위-체적 곡선으로부터 산정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05년 5월과 8월에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저수지의 관측값과 모의결과는 저수지 중앙부 대표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델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모의 결과 M 저수지의 연평균 BOD농도는 합류식(1.25 mg/L)에 비해 분류식 하수 관거(0.91 mg/L)를 도입할 경우 27.2% 개선되었으며, 초기우수 처리시설(0.84 mg/L)을 추가 할 경우 32.8%까지 개선효과가 상승하였다. 기존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연간 유출부하량은 7,713 kg/yr이었으며, 분류식으로 전환할 경우 2,256 kg/yr, 초기우수처리시설을 추가할 경우 902 kg/yr로 삭감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분류식하수관거와 초기우수처리를 모두 이행할 경우, BOD와 COD 기준이 호수 수질 기준 II등급 이내로 유지되며, T-P 농도는 0.02mg/L 이하로 유지되어 6월 이후 여름철에 저수지내 조류성장 억제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통해 M 저수지는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의 목표수질뿐만 아니라, 친수공간으로써 적합한 II등급 수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s of Combined Sewer Overflows According to Drainage Basin Types (유역형상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부하량 추정)

  • Lee, Cheol-Kyu;Hyun, In-Hwan;Jeong, Jeong-Youl;Shim,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4 no.4 s.15
    • /
    • pp.21-26
    • /
    • 2004
  • It is muck important to determine the intercepting capacities as measures for reducing the load of contamination influenced by CSOs during wet weather period. Intercepting and treating the whole rainfalls can be best measured for reducing the contamination load, but it is not desirable in view of scale and preserv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water in the combined sewer by method of changing the type and size of drainage basin and intercepting capacities in rainfalls, estimate the influence the other CSOs at the change of planned intercepted quantity, and compare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load between the combined system and separate system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other CSOs at the change of planned intercepted quantity.

Hydrologic Cycle Simulation of Mokgam Watershed including CSOs (목감천 유역의 CSOs를 포함한 물순환 모의)

  • Lee, Kil-Sung;Hong, Won-Pyo;Chung, Eun-Sung;Kim, K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59-1463
    • /
    • 2007
  • 도시 유역의 하수관거는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천의 물순환을 모의하기 위해 수량적인 측면이나 수질적인 측면에서 강우시의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즉, CSOs를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모의가 가능할 것이다. 목감천 유역은 중 상류 지역의 대부분은 농경 또는 임야로 이용되고 있지만, 하구부에는 밀집된 시가지가 전체유역 면적의 약 35.2 %인 $18.66\;km^2$를 형성하고 있고, 이중 대부분이 합류식 하수관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목감천 유역을 PCSWMM의 TRANSPORT 블럭내의 flow divider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성하여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의 연속유출모의를 실시하여 물순환 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보면 10년 평균 강수량은 1537.9 mm이며, 직접유출량 비율은 1,263.0 mm, 침투량은 335.7 mm, 증발량은 415.7 mm이다. 또한 10년 평균 상수량은 909.10 mm, 하수량은 736.3 mm(CSOs 355.0 mm), 하천유입하수량은 170.3 mm, 서남 및 역곡하수처리장 이송량은 211.0 mm이다. 부하량 결과를 살펴보면 발생부하량은 10,108,554 kg/year이며 배출부하량은 834,533 kg/year으로, 이는 곧 점오염원을 의미한다. 유역 총 배출량은 1,575,200 kg/year, 비점오염원은 740,667 kg/year, 하수처리장 이송부하량은 1,220,000 kg/year, 목감천 출구지점에서는 355,200 kg/year(CSOs 62,531 kg/year)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eparation walls on reduction of suspended solids loading in a combined sewer system (합류식 하수관거내 우오수분리벽 설치에 따른 부유물질 제어효과)

  • Kwon, Chungjin;Lim, B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6 no.6
    • /
    • pp.787-79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control in the combined sewer with/without separation wall. There i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ewage velocity and suspended solid(SS) loading in the sewer without it. The SS/BOD ratio was about 3 times in the area with it, while it was about 5 times in the area without it. Therefore, the accumulated deposit within the sewer has influenced high SS loading in the sewer without it.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paration wall installed acquired an acceptable efficiency in controlling the accumulated deposit in the combined sewer. According to this study, the BOD control effect was about 38 % in the sewer with the separation wall, whereas it showed about 24 % in the sewer without it. In this case, it was anticipated that the high pollutant control effect would be expected if the separation wall was installed in the combined sewer.

Evaluation of Infiltration Trench Effects on Hydrologic Cycle in a Urbanized Watershed (침투 트렌치 시설이 도시유역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

  • Noh, Seong-Jin;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15-719
    • /
    • 2006
  • 청계천 유역에 침투 트렌치 설치시 영향을 분포형 모형인 WEP 모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침투 트렌치는 홍수 저감 보다는 물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으나, 갈수량 증가량이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에 의해 배제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물순환 개선을 위해서는 침투 트렌치 설치에 앞서 합류식 하수관 시설의 재정비 등 유역내 저류량이 하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우시와 청천시의 하수 특성의 비교 검토

  • 김부길;정현석;염기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55-58
    • /
    • 2003
  • 본 연구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강우시의 누적강우량에 따른 하수량 변화 및 수질 농도의 변화와 청천시 하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량 및 수질 분석 결과 강우시 하수량은 누적강우량에 좌우되었으며, 수질 또한 강우에 의해 희석되어 낮은 농도가 나타났다. 주거지역인 경우 청천시 하수량은 대부분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의 물 사용량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청천시 수질은 주거지역인 경우 하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