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vestigation of odor Release from Combined Sewer  

Gil, Kyung-Ik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Shin, Geon-Cheo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서울 시청 물관리국 물재생계획과 물재생환경팀)
Im, Ji-Yeo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v.10, no.6, 2010 , pp. 185-19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and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Monitorings are conducted in specific areas that hav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In combined sewer in urban area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sulfur, complex odor and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And in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the real-time monitorings on complex odor, specified odor are conducted. Odor from combined sewer in urban area is affected by the changes on floating population and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Also major odor-causing facilities are largely affected by the effluent of the septic tank. The major odor-causing substances are found to be hydrogen sulfide($H_2S$) and methyl mercaptan. To reduce the odor from combined sewer, improvement of effluent from the septic tank and reduction of sulfur compounds have to be done.
Keywords
combined sewer system; od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성우 (2005) 악취오염개론, 동화기술교역.
2 최의소 (2005) 상하수도 공학, 청문각.
3 서울시하수도통계자료 (2009).
4 서울특별시 통계연보 (2006).
5 서초구 (2009) 냄새저감시설설치 타당성 및 기본설계보고서.
6 환경부 (2003) 악취관리편람, 진선출판사.
7 김정웅 (2007) 서울시 물재생센터 부지경계 장기 악취조사를 통한 처리시설 개선.
8 김현욱 (2009) 서울시 하수관거 악취저감제 효과검증을 위한 제반 시험결과 및 평가.
9 박상진 (2005) 제2회 악취관리연찬회 자료, 환경부, 환경관리공단.
10 박충현 (2002) 환경위생공학, 동명사.
11 심화식 (2005) 발생에서 최종처리까지-오수.분뇨 정화조관리매뉴얼, 사단법인 한국환경청화협회.
12 심화식 (2009) 서울시하수악취저감 TFT 발표자료.
13 조용모 (2009)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하수관악취 저감방안 연구.
14 이장훈, 강선홍 (2007) 대규모 아파트 단지주변 하수관로의 악취 발생과 대책 I, II: 주거지역 하수관로의 악취원인과 대책, 대한상하수도학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 제21권 5호, pp. 621-629, 631-639.
15 김갑수 (2007) 도로변 빗물받이 악취해소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6 김갑수 (2007) 도로변 빗물받이 악취해소방안, 서울시립대학교환경 공학부 악취측정 시험성적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