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자 분석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pth Image based Chinese Learning Machine System Using Adjusted Chain Code (깊이 영상 기반 적응적 체인 코드를 이용한 한자 학습 시스템)

  • Kim, Kisang;Choi, Hyu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545-55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online Chinese character learning machine with a depth camera, where a system presents a Chinese character on a screen and a user is supposed to draw the presented Chinese character by his or her hand gesture. We develop the hand tracking method and suggest the adjusted chain code to represent constituent strokes of a Chinese character. For hand tracking, a fingertip is detected and verified. The adjusted chain code is designed to contain the information on order and relative length of each constituent stroke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variation of sample points. Such information is very efficient for a real-time match process and checking incorrectly drawn parts of a stroke.

A study on the problem of library Chinese character searching system in korean libraries (국내 도서관 한자검색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Choi, Sejong;Park, Sunghyeok;Seo, Juri;Hwang, Seo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79-118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도서관의 한자검색의 문제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특히 간체자와 이체자의 문제점에 대하여 유니코드와 관련시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간체자와 이체자를 정자로 인식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나타나는데 이는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Functional MRI Study on Perceiving Orthographic Structure and Simplified Semantic Pictures (의미론적인 단순화된 그림 및 표의문자를 인지하는 과정에 대한 fMRI 연구)

  • Kim Kyung Hwan;Lee Sung Ki;Song Myung Sung;Kwon Min Jung;Chung Jun Young;Park Hyun Wook;Yoon Hyo Wo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7 no.2
    • /
    • pp.93-99
    • /
    • 2003
  • The different perceiving patterns of each picture, alphabetic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were widely investigated psychophysically. The more precise localisation can be done in terms of brain activity us-ing functional image technique such as PET and fMRI recently, Until now, there was no fMRI study to make direct comparison between perception of single Chinese character and simplified pictures (pictograph). We have made direct comparison of these two components using modern magnetic resonance techniques. We cannot confirm the right hemispheric dominance for perception of single Chinese character and pictographs. These two kinds of perceiving pattern can be underlying different mechanism.

  • PDF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a Term with Multiple Parts of Speech ("의미적 한 단어" 유형 분석 및 형태소 분석 기법)

  • Hur, Yun-Young;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128-131
    • /
    • 1994
  • 한국어 문서중 신문이나 시사지, 법률관련문서, 경제학관련문서, 국문학관련문서와 같은 전문분야 문서에는 한글, 한자, 영어, 문장부호와 같은 기호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나의 뜻으로 나타내는 "의미적 한 단어"가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어들은 이를 고려하지 못한 형태소 분석기의 분석률을 감소시키고, 오분석율을 증가시킨다. 본 논문은 "의미적 한 단어"의 유형과 분석과정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그에 적합한 형태소 분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유형 분류과 제사된 형태소 분석기법으로 구현된 형태소 분석기는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보다 분석률이 증가되었으며 오분석률은 감소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ultural Practicality of Hangul Calligraphy (한글 캘리그라피의 문화적 실용성에 관한 연구)

  • Moon, kyoung-hee;Lee, sang-hwa;Ko,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19-320
    • /
    • 2013
  • 본 연구는 한글 캘리그라피에서 보여지는 문자 형태의 감정적 표현, 문자 의미의 형상적 표현, 한자체와의 이미지 혼합의 표현등으로 분류하여 심미성과 차별성 있는 디자인 가치를 연구하고자한 것이다. 한글의 예술적 독창성과 한글 캘리그라피의 문화적 실용성이 결합된 창의적 생성물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의 전통글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실용과 미감이 풍부한 서체를 분석하고 문화원형의 대표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the Toponymic Data of Joseon Jiji Jaryo : Chungcheongbuk-do (필사본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충청북도편 지명 자료의 시론적 분석)

  • Kim, S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1
    • /
    • pp.31-44
    • /
    • 2013
  • The academic values of Joseon jiji jaryo (Geographical Documents of Joseon) are that native Korean toponyms corresponding with toponyms in Sino-Korean characters (hanzi 漢字) are abundantly recorded nationwide. Through analysing these documents, it is able to examine the linguistic features of toponymic changes while reasoning about geographical named source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as well as obtaining primary data. This article aims to preliminarily analyze these documents for encouraging academic studies which haven't been investigated sufficiently since they was introduced into the academic world. Noticing the toponymic values of these documents, I reexamined the bibliography and composing contents centering around the volume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in these documents. Consequently, I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regional differences of compilation times and mistakes in the contents of these documents. In addition to that, I proposed the toponymic values, referring to the transcription changes of village toponyms and the tendencies of loan transcription.

  • PDF

The Emergence of A New Pattern of Childbearing : Fertility in Korea During The 1980s (1980년대 한국 출산력의 변동추이 분석)

  • Han, Seung-Hyun;Griffith Feeney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6 no.1
    • /
    • pp.59-68
    • /
    • 1993
  • 본 연구는 1980년대 우리나라 출산력의 급격한 변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1988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규모의 출산력 및 가족보건조사자료를 기초로 출산순위진도 측정방법에 의하여 출산력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년도별 출산력과 출산순위분포, 출산순위별 진도율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80년 초에는 출산력이 2.8에서 1986년 이후에 대체수준이하인 1.8로 계속적인 하향추세를 보였다. 출산순위별 진도율에서는 둘째에서 세째아이로 진도한 비율이 1980년초에서 1986년사이에 약 71%가 감소하였고, 세째순위에서 네째순위로 33%가 감소하였다. 세째이상으로 진도한 비율의 감소율이 90%를 상회하고 이중 둘째에서 세째사이의 변동율이 50%를 나타내었다. 출산순위분포에서는 둘째아이에 64%가 집중되어 있으며 출산진도율은 결혼에서 첫째아이로 진도되는 확률이 90%, 첫째에서 둘째로 85%, 둘째에서 세째로는 18%가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한국부인의 82%가 둘째아이에서 단산하는 경향을 보이고 한자녀만 갖는 확률은 15%로 풀이되고 있다.

  • PDF

Analysis of Modern Astronomical Terminology in the Early 1900s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3.2-63.2
    • /
    • 2016
  •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천문학 서적 2권을 중심으로 사용된 천문학 용어를 현재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두 서적에 사용된 용어에서 천문학용어, 화학원소 용어, 인물 및 지명 용어로 나누어서 현재의 과학용어사전과 비교하였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용어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용어, 그리고 의미는 동일하지만 변화를 보인 용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 권의 천문학 서적에는 영어 색인이 포함되어 있어, 그 기준으로 현재와 비교하고, 나머지 천문학 서적은 본문에 나온 용어를 추려서 비교하였다. 용어를 통해서 두 권의 서적이 다른 경로로 수입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현재와 같이 용어의 통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당시 천문학 교육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당시의 천문학 서적이나 관련 서적을 연구할 때, 한자 표기 없이 영어 어휘를 음차하여 표기된 용어를 동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PDF

Study on Automatic Mapping Method for Reference of Scholarly Papers (학술논문의 참고문헌 자동매핑 방법에 관한 연구)

  • Han, Jeong-Min;Jang, Hyun-Chul;Kim, Jin-Hyun;Yea, Sang-Jun;Kim, Sang-Kyun;Kim, Chul;Song, Mi-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3
    • /
    • pp.155-173
    • /
    • 2010
  • With the advanced learning and the diversity of topics, researchers on each area keenly feel the need of precise and a quick discovery of required information at any time. This study presents a way of constructing the automatic mapping system that can compare and analyze duplicated data and that describes the result by building an effective reference extraction method and another way of correcting the wrong form of used Chinese characters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ictionary. With this innovation, data duplication on references and Chinese characters errors can be fixed. Under the situation that a number of references of newly published papers that can continuously be extracted.

A Study on the Use and Meaning of the '心' Letter in 『Hwangjenaegyeog』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사용된 '심(心)'자(字)의 용례 분석 연구)

  • Bak, Jae-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824-836
    • /
    • 2021
  • In this study, the use of '心' letter used in classic Chinese book of 『Hwangjenaegyeog』 and its meaning was examined. In Chinese letters, '肉' is a sign that symbolizes the body. The letters '肝', '脾', '肺', and '腎' expressing the five human organs all contain the form of '肉'. So they don't cause semantic confusion. However, the Chinese letter that means heart and mind are written as '心'.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心'. In addition, the contents of 『Hwangjenaegyeog』 cover various fields from disease to astronomy. For this reason, a total of 286 '心' letters used in it have various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means human heart. Second, it means the human chest. Third, it refers to mind. Fourth, it means a transcendent concept like spiritual enlightenment. Fifth, it refers to pericardium. Sixth, it refers to logical thought Seventh, it means center or core, and finally does constellation. in the eastern sky of ancient A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helpful in grasping the meaning of '心' in the classical literature as well as in 『hwangjenaegyeonglyeongc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