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약재 추출물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6초

매실 식초 분말의 항산화 및 유방암 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Prunus mume Vinegar Powder on Breast Cancer Cells)

  • 박울림;김정호;허지안;원영선;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57
    • /
    • 2021
  • 매실은 주로 한국, 일본, 중국 같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매실 나무의 열매는 한약재나 식재료로 쓰여왔다. 그러나 매실 열매를 이용한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추출물 형태로 진행하였기에, 많은 식품학적인 활용을 위해 매실 열매의 다양한 가공형태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선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SPP)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SPP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당도, pH, 총산도 및 수분 함량은 각각 8.90 °Brix, 3.19, 1.05% 및 3.07%로 확인되었다. SPP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H2O2 소거활성에서 각각 65.55%, 1.48 및 48.07%로 양성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게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PP를 농도별로 처리함에 따라 MDA-MB-231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유의적인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형태학적 연구에서 MDA-MB-231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확인되었고, apoptotic body와 핵의 응축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9.58 ㎍/g과 57.56 ㎍/g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은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천연 의약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2C12 myotube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HME)의 Akt/FoxO3 신호 조절을 통한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Medicinal Herbal Mixture (HME) through Akt/FoxO3 Signal Regulation in Oxidative Damaged C2C12 Myotubes)

  • 김소영;최문열;이은탁;추성태;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38
    • /
    • 2022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protective effects of medicinal herbal mixture (HME) including Mori Ramulus (MR), Acanthopanacis Cortex (AC), Eucommiae Cortex (EC), and Black soybean (BS) in C2C12 cells, mouse myoblasts. Methods : Effects of HME on cell viability of C2C12 myoblasts were monitored by MTT assay. Anti-atrophic activity of HME was determined in myoblasts and myotubes under oxidative stress by H2O2.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in a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for 6 days. After that, we measured that expression of MyoD and myogenine, the myogenic regulatory factor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inhibiting muscle atophy after HME treatment. In addition, suppression of phosphorylation of Akt, FoxO3a and MARF-1, transcription factors of degradation proteins were analyzed via western blotting. Results : As a result of MTT, HME there was no show cytotoxicity up to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 cyto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stressed myoblast and myotube was better in HME extract than those of MR, AC, EU, and BS, respectively. HME treatment in Myotube induced by oxidative stress after H2O2 treatment increased Myo D, Myogenine activation, and Akt, FoxO3a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expression of MuRF-1. As the results, HME has synergistic effects on protection against proteolysis of C2C12 myotubes through activation of the Akt signaling pathway under oxidative stres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ME may also be useful as a preventing and treating material for skeletal muscle atrophy caused by age-related diseases.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 증상 개선에 미치는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Herbal Medicine-added Cheonggugjang extract on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창숙;김소영;최문열;김미형;고경아;김미려;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57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chunggugjang with medicinal herbal complex (CJ)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animal models. Method : STZ (65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induce diabetes. Then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G (normal diet + 0.9% saline), COS (STZ +saline 5 mL/kg), COB (STZ + fermented soybean(100 mg/kg), CJ 100/200 (STZ+CJ(100 and 200 mg/kg), CJ 300/600 (STZ+CJ(300 and 600 mg/kg). 4 weeks lat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After sacrificing rats, serum levels of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total cholesterol (TC), and triglyceride (TG) were measured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Result : Body weight chang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water intake. Serum levels of glucose, AST, ALT and BUN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lso, TG, TC, and creatinine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ccording to OGTT, 120 minutes postprandial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CJ extracts restored histopathological damag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CJ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diabetes treatment as it has the effect to improve pathological symptom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한약재 함유 대두발효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흰쥐의 혈당 및 조직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Soy Bean Extract Containing Herbal Medicines (Godjang) on Blood Glucose Levels and Histomorpholog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 조창숙;김소영;최문열;김미형;김미려;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fermented soy bean extract with herbal medicines (Godjang) in diabetic rat models induced by streptozotocin (STZ) injection. Method : Changes in body weight, drinking water, and food intake were observed for 4 weeks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diabetes mellitus in rats. The anti-diabetic capacity of Godjang was analyzed by fasting blood glucose (FBG) every week. Also, after 4 weeks of administrati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and then blood levels of insulin were checked.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determined. Histomorphological changes of liver, kidney and pancreatic tissues were also observed 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Godjang administered rats. Result : In Godjang administered group, body weight and water intake were more lower than that of STZ-induced diabetic rats. FBG was decreased in the Godjang administered group than STZ-induced diabetic group. According to OGTT, blood glucose levels at 30 minutes and 60 minut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odjang administered group than in STZ-induced diabetic control group. Administration of Godjang extract for 4W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serum glucos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in diabetic rats. In histomorphological analysis of kidney, liver, Godjang administrated groups showed the inhibition of pathological damag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djang extract has an anti-diabetic action through decrease in serum glucose, TC, TG levels and recovery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kidney and liver in STZ-induced diabetic rats.

UV 조사시간에 따른 원목표고당화물의 유용성분 및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and useful contents of saccharification extract powder using hot water extract from log cultivation Lentinula edodes by different UV irradiation)

  • 윤경원;임승빈;진성우;김경제;고영우;하늘이;정희경;정상욱;김승주;김복선;김기만;최유진;송다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4
    • /
    • 2020
  • 원목표고는 수확시기, 재배지역 같은 요인들에 의하여 품질과 가격의 차이가 다양하다. 가을에 생산되는 표고는 수량은 많지만 화고로 불리는 고품질의 표고 생산량이 적고, 등급이 낮은 표고 생산량이 많아, 주로 표고가루로만 가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을에 생산되는 등급이 낮은 표고 가공품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원목표고당화물의 𝛽-glucan, vitamin D2 함량은 UV 조사시간을 7분 적용한 원목표고당화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UV 조사 7분 시험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원목표고당화물의 환원당 함량은 62.4 mg/L~68.2 mg/L로 확인되었다. 원목표고당화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원목표고 열수추출물에 비하여 원목표고 당화물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UV 조사시간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목표고당화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500 ㎍/mL 농도에서도 90%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대조구로 사용한 원목표고 hot water 추출액과 원목표고당화물 모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원목표고당화물의 항염증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UV 조사 7분 시험구에서 100 ㎍/mL이상의 농도에서는 90% 이하의 낮은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UV를 7분 조사한 원목표고당화물이 ergosterol을 제외한 유용성분 함량과 항염증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원목표고당화액 제조 최적 UV 조사 시간은 7분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UV를 7분 조사한 원목표고당화물들은 안전성과 버섯의 유용성분 함량이 높아, 향 후 천연감미료 및 건강식품 소재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대계근에서 분리한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이용한 밀 이삭마름병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Head Blight on Wheat by Polyacetylenes Derived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 김지인;김기현;박애란;최경자;박해웅;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45-151
    • /
    • 2016
  • 이삭마름병은 지금까지 화학살균제에 의해 방제되어 왔지만 잔류농약 문제로 인하여 합성농약의 사용은 곡류 수확 30일 전까지로 그 처리기간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수확 직전까지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농약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하여 F. graminearum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총 85과에속하는 225 한약재시료의 ethanol 추출물을 대상으로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억제활성을 가진 대계근을 선발한 후, 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생물검정을 거쳐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활성을 가진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두 물질은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ciryneol C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polyacetylene계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F. graminearum의 포자발아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IC_{50}$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이 $3.17{\mu}g/ml$, ciryneol C는 $28.14{\mu}g/ml$로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저해활성이 ciryneol C보다 더 높았다. 또한 온실에서의 대계근 EtoAc 추출물 분말수화제의 밀 이삭마름 병방제효과는 250배와 500배희석액처리시각각 78.92%와 31.56%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도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계근의 조추출물이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물 살균제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AGS 위암세포에서 Akt/GSK-3β/p53 신호경로 조절을 통한 벌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의 G1 Cell Cycle Arrest 유도 효과 (Ethanol Extract from Cnidium monnieri (L.) Cusson Induces G1 Cell Cycle Arrest by Regulating Akt/GSK-3β/p53 Signaling Pathways in AGS Gastric Cancer Cells)

  • 임은경;김은지;김보민;김상용;하성호;김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7-425
    • /
    • 2017
  • 벌사상자는 여성의 생식기 질환이나 화농성 피부염에 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최근 들어 암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짐에 따라 벌사상자의 항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벌사상자의 대표적인 성분인 osthole, xanthotoxol 등은 벤젠고리 화합물로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에 잘 용해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GS 위암세포에서 벌사상자 에탄올 추출물(CME)에 대한 세포주기 정지 유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ME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 유도 효과 및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와 LDH release assay를 실시한 결과,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인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CM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AGS 위암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세포증식 억제 유도 효과가 세포주기 정지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CME를 농도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주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1기의 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ME의 처리가 세포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실시하여 G1기 세포주기 정지와 관련된 신호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CME의 처리가 세포 증식과 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Akt와 p-GSK-$3{\beta}$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p53의 발현과 활성이 증가하여 p21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21의 증가에 따른 cyclin E의 발현 감소와 CDK2의 비활성화 상태인 p-CDK(T14), p-CDK(Y15)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CME의 세포주기 억제 유도 효과가 일어나는 신호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LY294002(PI3K/Akt 저해제), BIO(GSK-$3{\beta}$ 저해제), Pifithrin-${\alpha}$(p53 저해제)를 CME와 각각 또는 병행 처리한 후 MTT assay, 세포주기 측정, western blot analysis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LY294002의 처리는 CME 처리군과 유사하게 세포생존율을 저해시키고 G1기 정지를 유도했으며, 세포주기 단백질을 조절하였다. 또한, GSK-$3{\beta}$와 p53 저해제를 처리하였을 때 CME를 병행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세포증식 억제나 G1기 정지와 같은 항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련 신호경로 단백질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ME의 처리가 Akt/GSK-$3{\beta}$/p53 신호경로를 조절하여 cyclin E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DK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G1기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약재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 조재용;최일;황의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5-631
    • /
    • 2003
  • The extracts from 40 different traditional medicinal herb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Among them, the extracts from Paeonia suffruticosa (PS), Siegesbeckia orientalis (SO), Schizandra chinensis (SC), Caesalpinia sappan (CS) and Rhus javanica (RJ) exhibited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the RJ extract against E. coli were 0.8 mg/ml. After heating treatment of thes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ase of the CS extract. After alkaline or acid treatment of thes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S extract but reduced in both SO and RJ extract. Since extracts from RJ and CS exhibit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bacterial growth-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E. coli by these two extracts were further examined. Optical density at 620 nm after 24 hours incubation of E. coli in the presence of 100, 300 or 500 ppm of RJ extract ranged from 0.1 to 0.2 compared to 0.35~0.65 in the absence of RJ extract, indicating that growth of E. coli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in 24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100 ppm of RJ extract. Optical density at 620 nm after 24 hours incubation of E. coli in the presence of 300 or 500 ppm of CS extract ranged from 0.01 to 0.25 compared to 0.5~0.55 in the absence of CS extract, indicating that growth of E. coli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within 24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300 ppm of CS extrac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 from RJ and CS may play important roles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causing various animal diseases.

TDU-GC/MS를 이용한 한국품종 참당귀 국산 판별 기법 (Geographical origin discrimination of Korean variety, Angelica gigas Nakai by using TDU (Thermal Desorption Unit)-GC/MS)

  • 이미나;김윤석;김원일;김정규;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29-33
    • /
    • 2020
  • 한약재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 정확한 원산지 판별방법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TDU-GC/MS를 이용하여 한국품종 당귀와 외국품종 당귀를 판별함과 동시에 한국품종 당귀의 재배지가 한국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당귀추출물을 열탈착 시킨 후 냉각응축시스템에서 응축시켜 일시에 GC/MS로 분석한 결과 국산 품종 당귀(참당귀)는 TIC의 RT 26.9-27.2에서 coumarin 유도체인 decursin과 decursinol peak가 확인되었다. 중국 품종 당귀(중당귀)의 경우 RT 17.2 부근에서 ligustilide의 peak가 검출되었다. 국산 품종 참당귀 원산지에 따른 휘발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ister로 흡착하여 TDU-GC/MS로 m/z 40-400 amu 범위에서 mass spectrum을 측정하였다. 참당귀의 국내 및 중국 재배 시료 TIC는 전반적으로 같은 경향을 냈으나 TIC를 부분 scan한 결과 RT 15.4-16.1에서 국내 및 중국 재배의 peak pattern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Peak A (RT 15.54)과 B (RT 16.05)의 비율은 국내 재배는 0.0-0.2, 중국 재배의 경우 0.5-2.8으로서 TDU-GC/MS의 TIC peak pattern 비교를 통한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통식품 및 천연물에서 천연보존료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 김희연;이영자;홍기형;권용관;이주연;김소희;하상철;조홍연;장이섭;이철원;김길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67-1678
    • /
    • 1999
  • 식품원재료 171종과 한약재 190종의 met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균활성은 식품의 부패, 변질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그람양성세균인 Micrococcus luteus,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그람음성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및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곰팡이 Penicillium citrinum,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niger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산수유, 오수유, 감초, 단삼, 오미자, 황련, 명일엽, aroma hop와 bitter hop는 그람양성세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Aroma hop와 bitter hop는 그람음성세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그람양성세균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단삼으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그 구조를 결정하였다. 단삼의 methanol 추출액을 농축하여 ethylacetate로 extraction,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보존활성물질(T-1)을 분리, 정제하고 UV, $^1H-NMR,\;^{13}C-NMR$, DEPT 및 EI-MS 등의 기기분석한 결과, 단삼의 항균활성물질은 cryptotanshinone으로 결정되었다.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MIC는 $3.91{\sim}62.50\;{\mu}g/mL$ 범위에서 강한 보존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Bacillus subtilis에 대하여 MIC는 $3.91\;{\mu}g/mL$로 가장 강한 보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단삼의 cryptotanshinone은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