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식당 방문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한류인식이 치즈닭갈비선호도와 SNS, 한식이미지, 한식당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recognition on preference of cheese chicken rib, SNS, image of Korean food, intention to visit Korean restaurant)

  • 정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9-128
    • /
    • 2019
  •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한류 인식이 치즈닭갈비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치즈닭갈비 선호도가 높은 외국인의 경우 한식 이미지와 한식당 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지 그리고 한류 인식과 치즈닭갈비 선호도 사이에 SNS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 분석하여 한식 세계화, 한식 메뉴 개발 및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한류인식이 치즈닭갈비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으며, 한류 인식은 SNS 영향을 통하여 한식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 영향은 한류인식과 치즈닭갈비 선호도 간 매개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외국인의 경우 다양한 매체 중에 SNS 영향이 한류인식과 한식 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이 확인 할 수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 선호도 및 단일 메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만한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와 한식 세계화가 가능한 한식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식당 선택 시 인지된 위험 지각이 고객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in Choosing a Korean Restaurant on Customer Behavior - Based o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

  • 안현애;변광인;김동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1-65
    • /
    • 2010
  • 본 연구는 외국인이 한식당을 선택 시에 인지하는 위험 지각이 외국인 고객의 구매 의도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한식당 이용 시 인지하는 위험 지각은 부정적 측면 보다 긍정적 측면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외식 동기적인 측면에서는 신체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 양자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외식 동기별로 고객 행동 의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한 결과,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에서 외식 동기와 선호하는 한식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위험 지각 요인들이 고객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경제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고객 만족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위험 지각 요인과 고객 행동 의도 간의 정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 지각 요인과 고객행동 의도는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적, 기능적 위험 지각 요인과 추천 의도, 재방문 의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한식당을 선택 시에 인지하는 경제적, 기능적,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시간 손실 위험요소를 최소화하여 한국의 한식당 뿐 만 아니라 외국 현지의 한식당의 선택에 있어서 고객 만족이 이루어져 재방문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전략 설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서울지역 음식점 주방 및 식당의 청결도 평가 (Evaluation for Cleanness of Kitchen and Hall of Restaurants in Seoul)

  • 이애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7-405
    • /
    • 2003
  •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에서 추천한 모범음식점 546개소 중 업태별로 한식(292개소), 중식(46개소), 일식(114개소), 양식(94개소) 음식점의 식당 및 주방의 청결도를 영양사 실무 경력 5년 이상인 현직 영양사가 직접 방문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및 지표는 주방 영역이 6개 (주방의 공개 여부, 주방내부설비, 살균$.$소독, 종업원의 작업환경, 급 배수설비, 식기 및 조리기기 보관상태), 식품 취급영역 이 3개(식재료 보관상태, 식자재 창고 유지상태, 불량부정식품 사용 여부), 조리원 위생영역이 1개, 음식폐기물 처리영역이 2개(남은 음식 폐기 또는 재사용 여부, 음식폐기물 위생적 폐기정도)와 식당의 청결상태 영역 2개(식당 내부청결, 식당 집기 청결 등)로 총 14지표를 조사하였다. 1. 음식점 유형별 청결도의 결과를 보면 한식당의 청결도 14개 지표 총점은 20.65점(지표 평균 1.48 점), 중식당은 20.67점(지표평균 1.48점), 일식당은 20.75점(지표평균 1.48점), 양식당은 21.84점 (지표평균1.56점)이었다. 한식당. 중식당과 일식당의 청결도는 지표평균으로 환산하면 ‘보통’수준이었고 양식당이 이들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양식당이 모든 평가지표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중식당은 식기 및 조리기구의 보관 상태를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한식당은 급수 및 배수설비 상태에서, 일식당은 급수 및 배수설비 상태와 식기 및 조리기구의 보관 상태에서 낮은 점수이었다. 2. 식품 취급은 냉장$.$냉동보관온도 유지(지표7)는 음식점별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식재료 창고의 유지상태(지표 8)와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는 양식당과 중식당이 한식당이나 일식당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3. 조리원의 위생상태는 한식당, 중식당, 일식당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음식점 유형별 남은 반찬의 폐기 여부는 우수하였으며, 음식폐기물 처리상태에 대한 결과는 양식당과 중식당이 높았고, 한식당과 일식당은 1.56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5. 음식점 식당내부 청결상태 평가는 한식당이 중식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식당이나 양식당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음식점 유형별 청결도에 대한 종합평가에 미치는 지표별 영향은 한식당의 경우지표 2, 12, 14, 7로, 중식당은 지표 4, 12, 2로, 일식당은 지표 4,10, 2, 7로 나타났다. 음식점 전체로 보면, 주된 지표는 4(72.6%), 11(11.4%), 6(5.3%), 13(3.4%)으로서 이들 4개 지표로서 전체의 927%를 설명할 수 있다. 7. 자치구별 평가는 모든 음식점에서 식재료 보관시설(냉장, 냉동), 불량부정식품 사용여부, 남은 반찬의 폐기, 식당상태 등에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주방의 청결상태, 식재료 창고의 관리 및 주방 근무직원의 위생상태는 열악하였다. 평가 지표 14개의 총 평가결과가 가장 우수한 자치구는 동작구였으며, 다음으로 서대문구, 금천구, 성동구, 마포구의 순서이었다. 나머지 20개 자치구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평가되었다. 8. 음식점 업태 별로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방의 내부설비(바닥, 벽면, 천장, 환풍기, 기구 등) 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 환경(주방의 환기설비, 설치 및 쾌적한 환경상태유지)이었다. 그러나 음식점 유형에 관계없이 주방과 식당의 청결도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주방종업원의 근무환경이었다. 우리나라의 2002년도 섭취장소별 식중독 발생현황)을 보면 총 발생건수 78건 중 29건(37.2%)이 음식점에서, 16건(20.5%)이 집단급식소에서 발생되어 음식점의 개인위생을 포함하여 청결도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식당, 일식당 및 중식당의 경우 주방의 환기시설과 근무환경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음식점을 대상으로 시설 위생, 개인 위생 및 식자재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위생교육과 체계적인 음식점 관리가 제도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통한 외국인관광객의 한식QSR 방문의도 예측: 관여도의 조절효과와 함께 (Predicting Foreign Tourists' Visit Intention toward Korean QSR Applying a Model of Goal-oriented Behavior: with a Moderating Effect of Restaurant Involvement)

  • 남민정;양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1-183
    • /
    • 2016
  • 한식당에 대한 외국인관광객들의 불만사항들이 제기됨에 따라, 본 논문은 목표지향적 행동모형(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을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한식당인 한식QSR에 대한 외국인관광객의 방문의도를 예측하고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MGB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측정항목들을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방한 외국인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275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MGB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고, 다중집단 분석을 통하여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및 태도는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긍정적 예상정서와 부정적 예상정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관여도는 긍정적 예상정서와 열망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식당 이용특성에 따른 메뉴 선택 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Menu Cho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Korean Restaurants -Centering on foreign tourists-)

  • 신승미;유향주;정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229-4236
    • /
    • 2014
  • 오늘날 한식의 세계화가 이루어지면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인지도와 기대감이 크다. 본 연구는 한식당 이용특성에 따른 메뉴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식의 메뉴선택속성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한식이 편안한 이미지로 다가가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한식당 이용특성에 따른 메뉴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들이 메뉴를 선택하는데 있어 속성을 알고 고객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는 한식 메뉴에 대한 설명과 특성의 부족한 부분은 개선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식레스토랑에서의 환경단서와 체험요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명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vidence and Experiences on Brand Attitude: Focused on a Moderator Role of Brand Reputation in Korean Restaurant)

  • 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88-50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당에서 환경단서와 체험요인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브랜드명성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의 한식당 중에서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상위 20위 안에 드는 H와 B 외식업체를 방문했던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53부의 설문지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한 4가지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환경단서 중 공간성, 심미성, 청결성, 쾌적성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험유형에 속하는 행동, 관계, 인지, 감성 모두가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명성은 환경단서 중 심미성차원과 브랜드태도 간에만 조절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명성은 체험 중 행동과 브랜드태도 간에만 조절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식당 마케터들은 환경단서와 체험을 강화시키고,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 브랜드명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DINESERV를 이용한 전주한식당의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for the Korean Restaurants in Jeonju City using DINESERV)

  • 김기진;이보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2-337
    • /
    • 2009
  • 본 연구는 DINESERV 품질이 고객 만족,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DINESERV 품질과 재방문 의도간에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DINESERV 품질과 구전 의도 간의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전주지역의 27개 한식당에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42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 16.0을 사용하여 2단계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DINESERV의 잠재요인 중 서비스접점, 분위기 그리고 음식품질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DINESERV 품질과 재방문 의도간의 영향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DINESERV의 잠재요인 중 편리성이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 만족은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비스 접점, 분위기, 음식 품질은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에 의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외국인의 한식당에 대한 가격민감성 분석 (Analysis of Foreign Customers' Price Sensitivity on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Using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 이민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4-13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식당에 대한 외국인 고객의 가격민감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한식당 유형별로 가격민감성이 다르게 측정되어 가격이 각 외식업체의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과 가치를 특징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서로 다른 요구에 의해 준거 가격이 복잡해지며, 소비자의 구매 목적에 따라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외국인 국적별로 가격민감성을 비교한 결과, 각 세분 시장별로 가격민감성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전반적으로 일본인이 다른 세분시장에 비해 가격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가격민감성측정 모델은 다른 타겟 시장의 민감성과 각각의 수용가격범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외식업체 운영자들은 어떤 시장이 얼마의 최소한의 가격으로 구매 행동을 하지 않으며, 어떤 시장에 그 가격에 맞는 가치를 제공하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또한 가격과 품질사이의 단순한 상관관계에 의해서만 소비자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엔 너무 많은 변수들과 상황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구매 동기,사회적 환경 등의 요인, 시간제한, 계절적 효과, 물리적 환경, 구매 주체, 분위기 등의 상황적 변수들이 가격 민감 행동과 상호 작용 가능한 잠재적 요인들이므로 가격민감성과의 상관관계 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가격은 동질적인 제품 또는 동질적인 상황에서 소비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이 떨어지고, 브랜드가 품질의 지각과 가치의 지각, 그리고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외식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순간에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 될 수 있는 한식 브랜드 요인들을 강조하여 경쟁적인 이익과 이윤을 증가시켜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기호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격과 가치 부여만이 고객 만족과 재 방문, 나아가 충성 고객을 이끌 수 있으며, 외식기업의 이를 활용한 가격전략 수립이 우선되어야 한다.

한류가 중국관광객의 한식당 방문전 서비스기대와 방문후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Korean Restaurant Service Expecta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among Chinese Tourists)

  • 유영진;최용석;천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1-58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basic data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by evaluating the experience that Chinese tourists have at Korean restaurants.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the common dining out style of Chinese tourists and how their expectations were influenced by the Korean culture and movies and dramas. We then compare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before and after visiting Korean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fore and after visiting Korean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vertising of the Korean culture and movies and dramas to Chinese who dine out on a regular basis should be accelerated. In addition, the Korean food industry must develop distinct marketing strategies and improve the food menu and service to satisfy Chinese tourists who visit Korea often.

중국 산동성내 한식당 이용 중국인의 서비스품질속성에 대한 인식이 고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nese Perceptions of Quality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Korean Restaurants in Shandong, China)

  • 한용;이영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43-95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customers that have dined at Korean restaurants in China and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quality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January 31~March 1, 2016 in China. The 293 questionnaires (97.7%) were analyzed using SPSS(Ver. 23.0) and AMOS(Ver. 21.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Customers that dined at a Korean restaurant in China were composed of 157 women and 136 men. Regarding the reason for preferring Korean cuisine, taste, hygiene and nutritional value of Korean food were the most significant quality factors. Regarding complaints about Korean food, Chinese people placed much emphasis on freshness of ingredients when dining out, based on the majority of complaints about ingredients that were not fresh. The main reason for leftover food were personal eating habits and that of customers revisiting food taste and nutrition. Path model among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revealed the factor of menus and attributes of menu items regarding customer's age that had an impa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association with custome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