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식물지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풍혈지의 관속식물상과 보전관리 방안)

  • Kim, Jin-Seok;Chung, Jae-Min;Kim, Jung-Hyun;Lee, Woong;Lee, Byoung-Yoon;Pak, Jae-H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6 no.2
    • /
    • pp.213-246
    • /
    • 2016
  • Algific talus slopes tend to occur on steep north-facing slopes with bedrock that retains ice and emits cold air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a suitable microclimat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altitude habitats in temperate z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f algific talus slopes through studies of the floristics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s and threat factors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of 15 major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As a result,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on 15 major algific talus slopes were recorded, with a total of 587 taxa, 109 families, 323 genera, 531 species, 7 subspecies, 47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Of them, endemic plants numbered 26 taxa, and threatened species according to the IUCN valuation basis numbered 8 taxa. Fourth (IV) and fifth (V) degree indicator species as specified by floristic subregions numbered 31 taxa. Peculiarly, several subalpine-native plant species, in this case Cystopteris fragilis, Gymnocarpium dryopteris, Huperzia selago, Rosa koreana, Vaccinium vitis-idaea and Woodsia hancockii, were distributed on algific talus slopes at 100-600 m above sea level.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to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An all-taxa biodiversity inventory should be survey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all biological species living on algific talus slopes. In addition,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gific talus slopes are discussed in detail.

Bryophyte flora of algific slope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 Kim, Jung-Hyun;An, Ji-Hong;Lee, Byoung Yoon;Kim, Jin-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7 no.4
    • /
    • pp.508-525
    • /
    • 2019
  •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microclimates suitabl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elevation habitats in the temperate zones.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and produce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n algific talus slopes. Therefore, we studied the floristics of bryophytes on 15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bryophytes on the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consisted of 59 families, 138 genera, 226 species, two subspecies, and five varieties, totaling 233 taxa. Peculiarly, many northern bryophytes, such as 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Besch.) Takaki., Buxbaumia minakatae S. Okamura, Racomitrium lanuginosum (Hedw.) Brid., Hylocomium splendens (Hedw.) Schimp., and Pleurozium schreberi (Willd. ex Brid.) Mitt. were found on the algific talus slopes. Of them, unrecorded species from south Korea numbered 14 taxa and unrecorded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numbered seven taxa. A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the bryophyte flora showed that the index of similarity between regions with similar environmental factors was high. This means that the bryophyte flora composition on each algific talus slopes was affected by topography and microclimate. Algific talus slopes are phytogeographically significant microhabitats where northern plant species that advanced southward during the latest glacial age have been isolated and adapted. However, algific talus slopes have constantly been destroyed or damaged by humans without consideration of conservation.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are discussed in detail.

Taxonomic report on un-introduced, goverment designated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I)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 보고 (1))

  • Yoon, Chang-Young;Park, Kwang-Woo;Jung, Joonhyung;Hyun, Jongyoung;Kim, Joo-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65-65
    • /
    • 2018
  • 외래종이라 함은 도입종, 귀화종, 침입종을 통칭하는 용어로 특정한 인위적 목적 여부에 관계없이, 본래의 자생지가 아닌 외부에서 들어와 다른 생물의 서식지를 점유하여 번식하는 생물종을 지칭하는 것으로, 침입외래종은 생태계에 도입되고 확산되면서 생물다양성과 연계된 생태계서비스를 위협하거나 또는 악영향을 미치는 외래종을 의미하며, 위해우려종이란 국내에 유입될 경우 생태계 등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어 환경부장관이 지정 고시하는 생물종 (살아있는 것으로서 개체의 일부 알 종자 등을 포함)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환경부고시에 따른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43종에 대하여 농업환경위해성 평가를 실시하고, 분류동정 기법을 개발하는 등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외식물표본 확인과 미국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우선적으로 8종의 미유입 식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Carduus acanthoides L. (Asteraceae), Carduus tenuiflorus W. Curtis (Asteraceae), Onopordum acanthium L. (Asteraceae), Chromolaena odorata (L.) R.M. King & H. Rob. (Asteraceae), Hydrocotyle ranunculoides L.f. (Apiaceae), Oenanthe pimpinelloides L. (Apiaceae), Ehrharta erecta Lam. (Poaceae), Paspalum conjugatum P.J. Bergius (Poaceae).

  • PDF

Disjunctive Distribution of Vaccinium vitis-idaea and Thermal Condition (극지.고산식물 월귤의 격리 분포와 기온요인)

  • Kong, Woo-Seok;Lim, J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4
    • /
    • pp.495-510
    • /
    • 2008
  • Vaccinium vitis-idaea or lingonberry, a typical arctic-alpine plant, is common on the circumpolar regions and alpine belts of the Northern Hemisphere, and also occurs on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Mt. Sorak and Hongchon. Vaccinium vitis-idaea at the elevation of c. 350m a.s.l. of Hongchon is found on the wind hole area with cool summer, and mild winter. Vaccinium vitis-idaea at Hongchon is regarded as the glacial relict of the Pleistocene period, and shows a disjunctive distribution, along with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the northern and central Korea since the Holocene period. Present vertical range of Vaccinium vitis-idaea between Mt. Sorak and Hongchon might indicates that the temperatures during the glacial epoch was colder than today, down to -6 to $-7^{\circ}C$ Vaccinium vitis-idaea at this fragile wind hole site could be endanger if current global warming trends continues, and anthropogenic activities become serious.

Estimating distribution changes of ten coastal plant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해안식물 10종의 분포 변화 추정)

  • PARK, Jong-Soo;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50 no.2
    • /
    • pp.154-165
    • /
    • 2020
  • Coastal regions are experiencing habitat changes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global warming. To estimate the future distribution of coastal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climate change,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en species of coastal plants was analyzed using the MaxEnt program. The study covered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We used the distributional data of coastal plants of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 19 climate variables of WorldClim 2.0. The future potential distribution was estimated using future climate variables projected from three general circulation models (CCSM4, MIROC-ESM, and MPI-ESM-LR), fou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2.5, 4.5, 6.0, and 8.5), and two time periods (2050 and 2070). The annual mean temperature influenced the estimation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the most. Under predicted future distribution scenarios, Lathyrus japonicus, Glehnia littoralis, Calystegia soldanella, Vitex rotundifoli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and Ixeris repens are expected to show contracted distributions, whereas the distribution of Cnidium japonicum is expected to expand. Two species, Salsola komarovii and Carex kobomugi, are predicted to show similar distributions in the future compared to those in the present. The average 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future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will be greater in the west and the south coastal regions than in the east coastal region.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baseline data to establish a conservation strategy for coastal plant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ive Conifers in Korea (국내 자생 구과식물의 분포 및 특성)

  • Jong Cheol Y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지리적 분포가 한정적인 한반도 구과식물들은 점점 서식지 내 생육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구과식물의 지속이용가능한 보전을 위해서는 각 종별 형질 특성 및 분포, 생육정보 등의 기초정보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구과식물(Pinidae, Conifers)은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Gymnosperms)의 3/5정도인 630여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rjon, 2008).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하고, 잎은 대부분 바늘형으로 단순하며, 상록성인 특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 분포 및 식재되고 있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이 구과식물에 속한다. 구과식물이 전 세계적으로 넓은 분포역을 갖지만, 종별로는 제한적인 분포를 갖는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과식물 대부분도 동북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종들이 대다수이다. 한반도 구과식물은 총 5과 12속 23종 5변종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과는 5속 12분류군으로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중복형질이 확인되었으며, 측백나무과는 3속 9분류군으로 눈향나무를 변종에서 종 수준으로 적용하였고, 어청도에서 해변노간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개비자나무과는 1속 3분류군으로 수형에 따라 큰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로 구분하였다. 주목과는 비자나무속을 포함하여 2속 3분류군으로 설악눈주목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나한송과는 1속 1분류군으로 신안군 가거도에서 나한송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구분형질이 모호함에 따라 집단별 유전정보 분석을 통한 계통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는 빙하기에 북부지역의 조상종이 남하하여 분화되고, 후빙기에 중부지역까지 분포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Life Resources in Jeju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

  • Eun-Young Y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24-24
    • /
    • 2022
  • 제주는 면적에 비해 생물종다양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한반도 자생 관속식물은 4,500여종으로 이 중 50%에 달하는 2,200종이 제주에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30년간 80여종의 미기록 식물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선태식물과 산림버섯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지리적 위치, 기후적 조건, 한라산으로 인한 수직 식생 분포, 특이산림생태계로 인한 입지 환경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제주는 희귀 및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보고이다. 제주에서 수집하여 종의 실체를 확인한 2,167종을 대상으로 희귀성과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제주고사리삼, 구상나무, 갯취 등의 희귀·특산 식물이 400종, 흑오미자, 제주백서향, 황칠나무 등의 유용식물이 781종에 달하였다. 또한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변화의 요충지로 전망되고 있다. 한라산의 구상나무가 쇠퇴하는 등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아열대 최북한계지로서 한반도 생물지리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기후위기로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주는 우선 연구 대상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절멸 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과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수집 및 탐색-빅데이터 기반 구축-증식기술 개발-현지내·외보존원 조성 및 관리 기술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20년 이상 수행해 왔다. 여기에서는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가치와 함께 보존과 활용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산림 바이오 소재 산업화와 관련된 학계와 임업인 및 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Geographical Distribution Range and Preliminary Conservation Assessment of Fraxinus chiisanensis Nakai, A Korean Endemic Plant, Using IUCN Red List Criterion B (한반도 특산식물 물들메나무 분포와 적색목록 평가 적용 가능성)

  • Jung, JI-Young;Park, Jeong-Geun;Pi, Jung-Hun;Park, Jeong-Seok;Son, O-Gyeong;Suh, Gang-uk;Lee, Cheul-ho;Son,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0-30
    • /
    • 2018
  • 한반도 고유 식물자원인 특산식물 물들메나무의 지리학적 분포 범위에 대한 고찰을 시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IUCN 적색목록 평가 자료 확보를 위해 IUCN Red List Criteria B의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와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을 측정하였다. 물들메나무 분포도 작성을 위해 분포가 언급된 관련 문헌자료, 국립수목원 표본관(KH) 소장 표본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Nature) 종발생정보 DB, 그리고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반도 특산식물 물들메나무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전라남 북도, 경상남 북도 및 충청북도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방한계지역은 경상북도 보현산으로 추정된다. 수집된 분포정보를 바탕으로 IUCN Red List Criteria B의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과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을 계산한 결과 각각 $25,183km^2$, $96km^2$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확한 보전지위 평가를 위해서는 점유면적, 분포범위, 서식지 면적, 개체군 크기에 대한 지속적인 하락과 극단적인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과 객관적인 자료가 요구된다.

  • PDF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상록활엽수 3종의 한반도분포 및 자생북한계지)

  • Lee, Jung-Hyun;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4
    • /
    • pp.267-273
    • /
    • 2010
  • The distribution of three typical warm-temperate evergreen trees, Quercus acuta Thunb.,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and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were surveyed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field and specimen investigations and the distribution maps of the three species were prepar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pecies correspond to the south coast floristic region in Korea, which includes the distributional areas of Jeju-do, Isl. Ulleung, the southern coastal areas, and the areas up to the islands around Incheon in the Yellow Sea. The northern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of Quercus acuta is Isl. Nap of Incheon in the west, and a new distribution was found at Isl. Ulleung in the East Sea; additionally, the limit of Neolitsea sericea is the Deojoek archipelago of Incheon. The northernmost limit of Machilus thunbergii is Isl. Daecheong of Incheon, which is the highest latitude among those of the three species. This distribution surve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limitation of floristic regions and as a bio-indicator of climatic change.

Korean Vegetation Types Using NOAA/AVHRR Data (인공위성(NOAA/AVHRR) 영상자과에 의한 한반도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 김동실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39-51
    • /
    • 2000
  •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북한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지역을 대상으로 식생활력도(vegetation activity)의 시계열적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지수의 연중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식생 분포도를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7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NOAA-14 위성에서 수신된 AVHRR 자료를 수집하여 정규 식생지수(No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구하고 이들을 MVC(Maximum Value Composite) 방법으로 조합하여 월별 NDVI 합성도를 작성하여 식생활력도의 시계열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생장시기인 5월부터 10월까지의 NDVI를 무감독 분류하여 한반도의 식생분포 유형을 도시.나대지가 4.49%, 초지 4.49%, 경작지 27.54%, 활엽수림 25.61%, 침엽수림 38.22%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