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류 콘텐츠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2초

한류문화가 중국인 관광객의 한식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Wave on Chinese Tourist's Korean Food Recogni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 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15-5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와 한식을 연계하여 한식의 발전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한류문화가 한식인지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을 모집단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91부를 회수하였고, 18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한류문화'요인으로 하였고, 한식 인지도는 '한식의 기능성'과 '한식의 인지'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문화가 한식 인지도의 '한식의 기능성'요인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문화가 구매의도(한국음식을 집에서 직접요리, 한국음식점 방문, 주변지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식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이미지가 한국교육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대학생들의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Korean Wave Image Influenc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Educational Product -Focus on the Controlling Effects of Engagement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김성필;김송죽;이민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60-474
    • /
    • 2013
  • 본 연구는 중국에서 한류의 이미지가 국가이미지와 한국교육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한류이미지가 한국교육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가질 때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산동성 소재의 대학교에서 한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중국 국적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15개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류의 인지적이미지가 한류의 정서적 이미지, 국가이미지 및 교육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의 정서적 이미지는 국가이미지 및 교육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지적이미지는 정서적이미지 보다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가이미지향상과 더불어 한국교육산업의 대중국으로의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 내에서의 한류의 이미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적 차원에서의 전 방위적인 한국드라마 등과 같은 문화콘텐츠 육성정책이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한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호감도와 문화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hinese People's Viewing Degree of Korean Contents on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with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Liking for Korean Wave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 이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14-526
    • /
    • 2014
  • 본 연구는 한류 지속가능성에 한류 드라마 '시청정도'가 미치는 직접효과와 '한류호감도' 및 '문화유입수용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경쟁의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표본은 중국 광서성의 계림시와 하남성의 정주시에 거주하는 대학생(N=371명)이다. 분석 결과,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한 응답자들의 경우에는, '한류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경쟁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응답자들은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한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여 주목하게 되었고, '경쟁의식'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한류 드라마를 많이 시청할수록, '한류 호감도'도 증가시키지만, '문화유입 수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시청정도'가 증가할수록, '한류지속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은 '한류 호감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될 수 있어, '한류 호감도'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시사점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한류 콘텐츠를 위한 발음 기반 금기어 검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abooed words search system for Korea wave contents based on pronunciation)

  • 이종설;신사임;김다희;장달원;장세진;임태범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4-115
    • /
    • 2014
  • 최근 한류(韓流) 콘텐츠의 글로벌화로 인해 콘텐츠가 전 세계로 수출됨에 따라 글로벌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에서의 단어 선택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의 글로벌 단어 선택을 위해서는 각 나라의 비속어나 욕설 단어를 회피하고 오해하지 않을 말과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콘텐츠를 위한 금기 언어 검색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를 영어로 변환하기 위한 음소 변환 모델을 개발하고, 변환된 음소와 금기 언어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 PDF

신규시장 개척을 통한 한류 콘텐츠 활성화 방안 (Korean wave activation factors for finding a new market)

  • 김우민;조한상;정회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7-338
    • /
    • 2012
  • 일본, 중국, 대만 등 중화권 국가에 집중되어 있는 한류 콘텐츠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해외 각국 방송사의 프로그램 유통전문가 혹은 배급사의 외화 프로그램 수입담당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대체적으로 한국 다큐멘터리에 대한 평가가 높았으며, 한국 콘텐츠의 장점으로 우수한 품질, 탄탄한 스토리 라인, 감성적인 이야기 구성 등을 들었다. 앞으로 신규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맞는 외국어 더빙 서비스. 현자 국가와의 공동제작 등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 PDF

드라마 활용을 통한 한국어교육콘텐츠 개선방향 (Korean Education Contents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K-drama)

  • 이일수;주진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5-55
    • /
    • 2015
  • 한국의 K-drama, K-pop과 같은 한류콘텐츠가 국외에서도 큰 열풍을 일으키면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따라 한류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가 몇 가지 제작 및 개발 되었다. 한국어교육 콘텐츠는 대중들에게 익숙한 한류콘텐츠를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공부하는 대상이 흥미를 가지고 한국어를 공부하게 만들고, 한국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초적인 정보전달의 역할을 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치밀한 기획의도를 가지고 교육적인 콘텐츠로서의 방향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콘텐츠들은 아직 충분한 상태라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 글은 그 가운데 한국 드라마(K-drama)를 활용하고 있는 누리-세종학당의 '두근두근 한국어' 시리즈를 본격적인 분석대상으로 삼아, 한계점을 검토하고 결론적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효과적으로 K-drama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이 이루어진다면, 단순히 정보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와 전통까지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K-culture 자체가 또 하나의 상품으로서 국가 이미지 개선에 한 줄기를 담당하는 가치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중국 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수출과 한류 확산 (Format-Export of Korean TV Entertainment Program and Its Effect on the Spread of Hallyu in China)

  • 하정함;김상현;장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09-719
    • /
    • 2016
  • 본 연구는 중국 정부가 외국 프로그램의 방송을 규제하는 상황에서, 한국 프로그램의 새로운 수출 방식으로 대두된 한국 TV 예능프로그램의 포맷 수출의 현황과 한류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국 시청자 분석을 위해 중국 제일의 국제도시인 상하이와 지방도시인 정저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1명의 표본을 구하였다. 조사 결과 한류 콘텐츠의 선호도 순위에서 예능 프로그램은 K-POP과 거의 같은 정도의 인기도를 보여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포맷 수출되어 중국어로 제작된 한국 TV 예능프로그램의 영향력은 지역별로 달랐다. 정저우 응답자들은 상하이 응답자에 비해 중국판 프로그램 시청 이후 한국판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는 다양한 외국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하이와 달리 내륙의 지방도시인 정저우의 제한적인 외국문화 경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저우와 같은 중국 내륙의 도시에는, 포맷 수출된 한국 TV 예능 프로그램이 한류 확산의 촉매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