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내영, "중국의 항(抗)한류 현상 연구: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43권, pp.457-508, 2009.
|
2 |
김신동 "동아시아의 초국적 문화수용과 타자 인식: '한류' 담론에 대한 성찰적 비평",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pp.162-180, 2002.
|
3 |
김연식, 구종상 "TV 다큐멘터리 수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113-139, 2002.
|
4 |
문화체육관광부, "제 3차 해외 한류실태 조사결과 보고서: 아시아, 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대상", 2014(2).
|
5 |
서민수, 정태수, 주영민, 이해옥, "新한류 지속발전을 위한 6大 전략", CEO Information, 삼성경제 연구소 연구보고서, 제899호, 2013년 6월 19일.
|
6 |
오미영, "일본 내 한류 수용과 타자 인식의 변화: <겨울연가>붐을 중심으로", 현상과 인식, 제30권, 제1.2호, pp.34-56, 2006.
|
7 |
유세경, 고민경, "한국 TV드라마의 시청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연구: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6권, pp.46-76, 2006.
|
8 |
유재웅,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홍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6-158, 2007.
|
9 |
이와부치 코이치, 일본 대중문화의 이용가치,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
10 |
이은숙, "중국에서의 '한류' 열풍 고찰", 문학과 영상, 제3권, 제2호, pp.31-59, 2002.
|
11 |
이종님, "방송한류의 현황과 문제점: 국내 방송 시장환경 변화와 드라마 제작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pp.2-33, 2007.
|
12 |
이준웅, "중국의 한류 현상에 대한 '매개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검증 연구: 중국인의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문화상품 이용에 따른 신념, 감정, 태도의 형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277-323, 2006.
|
13 |
임형민, 박주연,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시청 동기와 문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과 일본 대학생을 중심으로", 경성대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4호, pp.371-395, 2011.
|
14 |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166-173, 201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
15 |
장궈랑, 리샹롱, "동북아시아 문화공동체 형성,그 가능성 분석: 한류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36-44, 2005.
|
16 |
최혜실, "한류 현상의 지속을 위한 작품 내적 연구", 인문콘텐츠, 제6권, pp.17-35, 2005.
|
17 |
치아오춘옌(喬春嫣), 중국의 한류에 대한 태도 및 전망에 관한 이론적 연구 : 드라마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8 |
허진, "중국의 '한류'현상과 한국 TV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1호, pp.496-530, 2002.
|
19 |
G. W. Allport,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 Addison-Wesley, 1954.
|
20 |
G. Devereux and E. M. Edwin M Loeb, "Antagonistic Accultur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8, No.2, pp.133-147, 1943.
DOI
ScienceOn
|
21 |
G. Gerbner, L. Gross, M. Morgarn, and N. Signorielli, "Growing Up with Television: The Cultivation Perspective," In J. Bryant & D. Zillman(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Hilldale, NJ: Erbaum, pp.17-41, 1994.
|
22 |
T. Pettigrew, "Generalized Intergroup Contact Effects on Prejudi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3, No.2, pp.178-185, 1997.
|
23 |
W. G. Stephan and C. W. Stephan, "The Role of Ignorance in Intergroup Relation," In N. Miller & B. Brewer(Eds.), Groups in contact: The Psychology of Desegregation, Orlando, FL: Academic Press, pp.229-256, 1984.
|
24 |
C. Stephan and M. Abalakina, "On the Relation between Stereotype and Prejudice: An International Stud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0, No.3, pp.277-284, 1994.
DOI
ScienceOn
|
25 |
H. C. Triandis, The Analysis of Subjective Culture, New York: John Wiley, 1972.
|
26 |
H. C. Triandis, Culture and Social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1994.
|
27 |
R. M. Williams Jr., The Reduction of Intergroup Tensions, New York: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1947.
|
28 |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