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지리학자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1920{\sim}1930$년대(年代) 독일(獨逸) 지지학(地誌學)의 연구(硏究) 동향(動向) (The Trend of Regional Geography in Germany in the 1920s and 1930s)

  • 김재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9-89
    • /
    • 2000
  • 20세기 전반기는 리터, 홈볼트로부터 시작된 근대 지리학이 꽃 피던 전성기였다. 19세기말 답보 상태였던 지리학이 20세기 들어서면서 지지학(地誌學)을 중심으로 유럽 각국에서 눈부신 발달을 보였다. 특히 독일의 헤트너와 쉬뤼터, 프랑스의 비달 드 라 블라쉬, 영국의 허버트슨 등을 지도자로 하여 각기 독특한 지지학(地誌學) 방법론(方法論)이 발전하였고, 경험적 연구도 많이 쏟아졌다. 그리하여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지지학(地誌學)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본고는 1920년대와 1930년대 독일에서 논의된 지리학자들의 지역 개념과 지지 방법론을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독일(獨逸)의 지지학(地誌學) 동향(動向)은 일본 지리학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영향으로 당시 일본의 대표적인 지지자(地誌學者)인 전중계이(田中啓爾) 지형, 기후, 식물대, 인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본의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그는 당시 일본 지리학자들과 일본에서 공부하던 한국의 지리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 PDF

한국의 제4기 환경연구 - 최종간빙기~홀로세 환경연구를 중심으로 -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Research Trend of the Korea and Future Issues -Focused on Last Interglacial~Holocene Environmental Study of Physical Geographers-)

  • 박지훈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7-126
    • /
    • 2011
  • 본 고는 자연지리학자들이 중심이 된 우리나라 제4기 환경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 성과들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이 한반도와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간빙기~홀로세' 동안의 지형-기후-식생-해수면-토양환경 등을 복원하는 연구주제로 수렴되는 것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성과만으로 우리나라의 제4기 환경을 종합적으로 복원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향후, 젊은 자연지리학자들이 제4기 환경연구에서 있어서 보다 폭 넓고 심도 깊은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분석기법등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의 제4기 환경연구를 타분야의 연구자들 보다 주도적인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바란다.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Geography Textbooks of Secondary and High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 김재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3-168
    • /
    • 2003
  • 해방 이후 남북한 지리 교과서는 정치체제의 차이에 기인하여 각기 상이하게 발달하였다. 본 연구는 남한의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 교과서 그리고 북한의 1995년 발간 지리 교과서를 자료로 남북한 교과서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한 교과서는 탐구활동을 유도하는 학습자료, 표, 그래프, 사진 등을 수록한 반면에, 북한 교과서는 단순히 주제를 설명하는 내용과 스케치 및 다이어그램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한의 지리교과서는 인문지리와 지시 내용을,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자연지리, 경제지리, 지도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지리 용어에서 남한 교과서는 한자어와 영미식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에, 북한 교과서는 상대적으로 순우리말로 된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일 후 지리교육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리 교과서의 기술 체계와 내용 및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남북한 지리학자들과 지리교육자들의 접촉이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의 지리교육 연구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서태열;김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25-64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지리교육 연구 상황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한국의 지리교육 관련 연구가 출판되는 주요 저널을 소개하였다. 둘째, 주요 저널에 출판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지리교육 연구의 최신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Bednarz(2000)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지리교육 연구의 주요 경향을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1) 지리 지식, 학습, 교육과정의 본질, 2) 지리 교사 교육, 3) 지리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주요 지리교육 논문들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가 세계 여러 나라의 지리교육학자들에게 한국의 지리교육 상황을 알리고 상호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사면붕괴지역 예측방법 연구 및 비교 (Comparison of Methods in the Identification of Land Slide Prone Areas using GIS)

  • 장훈;윤완석;신동준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105
    • /
    • 2004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면붕괴 연구는 국내외 많은 연구논문과 보고서를 통하여 보고되어 왔다. 반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 다수의 학자들에 의하여 발표되고 있으나, 그 결과에 대한 비교와 국내 실효성에 대하여 언급한 논문은 다소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료의 실용가능성을 감안하여 사면붕괴지역 가능성예측 산정 모델 중 두 가지 방법, 이변량 통계분석과 결정론적 분석을 통하여 동일지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선정된 대상지역은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하여 피해가 규모가 큰 강원도 강릉시이고, 두 모델을 이 지역에 적용하였다. 결과 비교는 동일지역에 동일 자료를 사용하더라도 모델에 따라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모델 또한 자료의 질적, 양적인 성질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밝혀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성호사설(星湖僿說)에 나타난 지리관 일고찰 -천지문(天地門)을 중심으로- (A View Geography in 'Sunghosaseol')

  • 손용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2-407
    • /
    • 2006
  • 본 연구는 성호의 대표적 저서인 '성호사설' 천지문(天地門)을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지리관을 도출하기 위해 지리관련 주제와 내용을 발췌하여 분석한 것이다. 전공 지리학자의 저술이 아닌 만큼, 주제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이 구조적이거나 심오하다고는 볼 수 없다. 백두산-태백산-두류산의 맥을 따라 흐르는 기(氣)가 영남 지역의 풍속과 인물배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단정하는 서술은 풍수지리사상에 매몰된 듯한 인상을 준다. 방어기능의 중요성만을 강조한 입지설명도 지적할 만하다. 그러나 기후요소, 수리(水利), 지도(地圖)작법 등의 설명, 유래와 정보가 정확한 지명(地名) 명명의 필요성 주장, 제주도와 울릉도 및 이웃나라 일본에 대한 상세하고 치밀한 지지적 기술 등은 지리내용과 주제(topics)들의 훌륭한 포착이다. 생활에 필요한 지리적 내용들을 분석적,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점, 실용적인 시각에서 이들 지리관련 정보들을 유용한 지식으로 활용하여야 한다는 묵시적 권고, 기저에 짙게 깔려있는 향토와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등은 매우 높이 살만하다.

  • PDF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 현황과 지리학의 기여 가능성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Geography to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 전제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9-392
    • /
    • 2014
  • 한국에서 동남아 지역연구는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연구기관의 조직화, 학문후속세대 육성을 위한 학자들의 전략적 노력 덕분에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다. 특히 '기관 형성자'로서 정치학계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연대 형성자'로서 인류학계의 리더십도 발휘되고 있다. 지리학은 해외지역연구와 분리할 수 없는 학문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지리학계의 기여는 아직 미진하다. 앞으로 지리학계는 동남아연구의 미개척 주제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인문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분절현상을 극복하는 교량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는 이러한 지리학의 역할을 해외지역연구의 '지평 확장자'라 부르고자 한다.

  • PDF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Scale of Regions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5
    • /
    • 2014
  •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대한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 면 스케일(1)과 시 군 스케일(2)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 도 스케일(3), 시 도보다 큰 스케일(4), 국가 스케일(5)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 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근대 사회이론의 접합을 통한 지역지리학의 새로운 방법론 (Modern Social Theories and New Regional Geography)

  • 손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0-160
    • /
    • 2002
  •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주로 영어권 국가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지리 연구의 새로운 논의들을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그 윤곽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새로운 지역지리 논의는 지리학자들과 사회이론가들과의 활발한 지적 교류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신지역지리학을 주창하는 사람들은 공간이 수행하는 역할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공간은 그 속에 온갖 사상(事象)(things)을 담고 있는 용기(容器)(containers)가 아니다. 그것은 한낱 어떤 존재의 외부환경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존재를 존재이게 하는 본질적 차원이다. 신지역지리학은 크게 네 갈래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구조화 이론에서 출발하여 시간지리학으로 연결되는 연구 흐름, 공간적 분업론을 기반으로 지역문제에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연구들, 그리고 세계체계론을 공간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연구들, 마지막으로 탈-후기구조주의 시대에 인간주체를 강조하려는 연구가 그것이다. 그러나 신지역지리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비해 아직 경험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지 못한 편이다. 그 이유는 신지역지리 연구이념을 구체적인 경험적 연구로 이어주는 중범위 수준의 개념들이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 PDF

중국의 한국지리 연구동향 (Trend of Research on the Korean Geography in China)

  • 김석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24-832
    • /
    • 2004
  • 본문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중국학자들의 한국에 대한 연구논문과 단행본을 토대로 학문 일반의 연구동향과 지리학 분양의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문일반의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기관이 많이 신설되었다. 둘째, 연구 간행물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셋째, 새로운 연구 성과가 속출하고 있다. 넷째, 학술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지리학에 관한 연구에서는 자연지리학보다 인문지리학에 대한 연구가 많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지질과 지진 및 자연자원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인문지리학에서는 경제지리학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연구 주제가 적고 이론에 입각한 연구가 적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앞으로 중국 지리학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력하는 한편 한국 지리학계에서도 중국에 한국의 지리학을 알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