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여성 복식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4초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박태희;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구매시 백화점 및 시장에서 구매한 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교하며, 이들 변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의복 소비 가치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는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여성 364명이었다.

  • PDF

18세기 여성 염습의 의 일례에 관한 고찰 -안동권씨(1664~1722)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ble Lady's Costumes of 18 Centuries -excavated from Andong Gwon's(1664~1722) grave-)

  • 송미경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15-126
    • /
    • 2002
  • This study is regarding on the shroud of Jeonjoo Lee (Inpyoung clan's lady) excavated from the Andong Gwon's grave. who had passed away at 1722. Through this research, we understood the way of fetal ceremony by 18 centuries' royal family, and the costume style in those days. The style and size of shrouds were likely similar with ordinary dress. For the upper dress, Lady Andong Gwon wore a piece of undershirt (sosam), 3 layed jacket(Joggoli), an upper jacket (dangui) with patched badge as well as a gold brocade formal dress(wonsam). And for the lower dress, 2 layed underpants(dansokot) and 2 layed long skirts were worn. Especially, prototype of the waist band for shroud(gowdo) and a kind of headgear(gokdoli) was found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headdress for woman's shroud(yomo) and the shoes for woman's shroud(chahwea). In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costume of upper class at 18 centuries during Chosun Dynasty.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미적 특성 고찰 -조선 후기와 에도(강호(江戶))시대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Focusing on the late Joseon Period of Korea and the Edo Period of Japan-)

  • 이진민;김민자
    • 복식
    • /
    • 제56권5호
    • /
    • pp.132-14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view for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res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view for the aesthetic analysis of dres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spirit of human, culture and the external form of dress. Based on this consideration, the viewpoints for the analysis of dress formation were the 'Form'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external formation of dress and 'the Ornamentation' as the emphasis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ress. The common world view shared by Korea and Japan holds the thinking system that everything is created from 'not to bee(無)' to 'being(有)'. This view emphasizes the totality and circulation of energy called 'Ki(氣)'. According to this view, oriental culture has been developed by intuition and pleasure called 'Heung(興)'. Therefore, the form of the oriental culture includes ambiguity and emphasizes the total harmony.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dress as the design of ambiguity, asymmetry and concealment. The meaning of the ornamentation in oriental world was the unified harmony of diversity and the colors and patterns of oriental dress were used by the symbolic meaning of Yin-Yang & Wu-Shing (陰陽五行)s principles. On the basis of the world view of the Ki,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commonly shared the aesthetic values of concealment, emptiness, and symbolism. Also, their costumes expressed the difference, especially in the ornamentation. Korean costume expressed the beauty of simplicity and naivety, and Japanese costume expressed the beauty of ornamentation and nonornamentatIon.

한국 캐주얼 의류업체의 아웃소싱

  • 양재희;황춘섭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7-108
    • /
    • 2003
  • 경제 사정의 악화에 따른 의류 소비의 위축 및 치열한 경쟁 속에서 패션업체는 경영의 합리화와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경쟁력 향상 방안의 일환으로 아웃소싱에 많은 관심을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유행의 변화에 특히 민감한 여성캐주얼 의류업체의 국내외 아웃소싱 현황을 알아봄으로써 패션업체의 아웃소싱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다 효율적인 글로벌 소싱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중략)

  • PDF

문헌조사를 통한 복식사 연구에서의 양적 분석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in Historic Costume using the Documentary Evidence)

  • 임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6
    • /
    • 1996
  • 복식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문헌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 수집이 가능할 경우,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내용분석법을 도입하여 정보의 수량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1856년부터 1870년에 이르기까지 미국 여성의 평상복(daydress)중 재킷과 치마의 유행 경향을 당시의 대포적인 패션 잡지인 Godey's Ladies Book과 Perterson's Magazine의 패션 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1856∼1870년은 미국의 남북전쟁 발발 5년 전부터 남북전쟁 직후 5년까지 의 15년간의 기간을 이르며, 해당 15년은 전쟁 전, 전쟁 중, 그리고 전쟁 후의 5년간씩의 3 시기로 나뉘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평상복의 디자인이 위의 기간 동안 남북전쟁의 한 영향으로서 군복 '라일의 경향을 띄게 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군복 스타일의 경향은 몸에 꼭 맞는 실루엣(fitted silhouette), 에플렛(epaulet), 스텐딩 칼라(standing collar), 더블 여밈 (double-breastedness) 다수의 단추의 사용 및 장식(buttons)으로 정의되었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경향은 풍성한 실루엣 (full silhouette), 플라운스가 된 치마(flounced skirt), 그리고 러플/fp이 스/리본 (ruffles/lace/ribbons)의 사용 여부로 정의되었다. 연구의 초점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문헌 정보의 수집 방법을 수립하는 데 있었으며, 수집된 자로는 각 변수의 빈도 분포포에 의해 조사되었다. Fitted silhouette, epaulet, 그리고 standing collar는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제 1시기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있어서 full sihouette과 trounced skirt는 제 1시기에 가 장 많이 보였고 전쟁 당시와 전후에 점차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Buttons나 double breastedness 등은 제 2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고 제 3시기에는 오히려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반면에 ruffles/lace/ribbons는 fitted silhouette 등의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더불어 제 3시기에 가장 많이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유행의 경향에 있어서, 군복 스타일의 변수와 여성스러운 경향의 변수를 각각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제 2시기를 중심으로 전자의 유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후자의 유행은 감소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미국 패션은 유럽 왕실의 유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괴는 서양 복식의 역사의 선상에서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 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