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서해 대조차 퇴적환경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Copper and manganese in the Anoxic Sediments banweol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서해 경기만 반월 조간대 퇴적물의 망간과 구리의 함량 특성)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8 no.1
    • /
    • pp.1-8
    • /
    • 1994
  • 한국서해 경기만 남부 반월조간대 퇴적층에서 망간과구리의 함량특성을 밝히기 위 하여 총 3개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물의 입자와 유기탄소(organic carbon)함량을 일차 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중요 시료에 대하여 망간과 구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러 한 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망간함량이 연근해역 퇴적물의 망간함량에 비해 낮고 구리함량은 상대적으로 높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환원환경인 중부와 하부조간대에서 망간함량이 낮고 구리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이 반월조간대 퇴적물의 망간 함량이 낮은 이유는 환 원환경에 공급괸 망간 산화물이 수 mm 깊이의 퇴적층에서 용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 망간이 퇴적층과 해수와의 경계면(interface)으로 이동 제거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리- 유기물 결합체는 퇴적물내에서 분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구리는 황화물로 재 침전 되기 때문에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같은 결과는 반월 조간대 퇴적층의 초 기속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 최진용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idal Sand Ridge Deposits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서해 경기만 조석사주 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 및 퇴적환경)

  • Choi, Jae-Yong;Kwon, Yi-Kyun;Chung, G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1
    • /
    • pp.1-10
    • /
    • 2012
  • Analysis on high-resolution seismic and core data reveals that the sedimentary strata in Gyeonggi Bay consists of four sedimentary units (Unit I-IV, from top to bottom) formed during the late Quaternary period. Unit I is interpreted as sediments of tidal flat and channel-fill deposits, formed during the Holocene transgression. Unit II is divided into shallow-marine facies unit in offshore area and channelized fluvial to estuarine facies unit in nearshore sand ridge and tidal flat. Unit III is considered as tidal flat deposits with the uppermost severely weathered and oxydized layers. This unit is composed of shallow marine sedimentary successions formed during the MIS-5 highstand. The lowermost Unit IV rests on Mesozoic basement rocks, considered as the shallow marine and shelf deposits formed before the MIS-5 lowstand.

Study of the Cheonripo Intertidal Beach Sands and Coastal Dune Sands, Cheonripo, the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천리포 사질 조간대 해빈층과 해안 사구층의 연구)

  • 박용안;최경식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7 no.1
    • /
    • pp.93-101
    • /
    • 1993
  • A sedimentation study of the Cheonripo intertidal beach sands and its related coastal dune sands, Cheonripo, Seosan Gun, Choongcheong Namdo, Korea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a series of several summer time field surveys. Each subenvironment in the Cheonripo coastal zone, that is, intertidal sand beach and coastal sand dune, could be differenciated in terms of textural parameters. The coastal dune sands are finer than the intertidal beach sands in mean grain size, and the sorting of dune sands is relatively poorer than that of intertidal beach sands. However, the skewness of intertidal beach and dune sands is commonly positive. Such textural parameters ar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iated on scatter diagrams. A series of megaripple bedform observations for 6 tidal cycle periods(August 13, 14 and 15, 1990) are interpreted to find out migration pattern of bedforms and its related sand migration. Such migration natures are shown on the tables and figures.

  • PDF

Depositional Environment of Sandy Tidal Flat in Anmyeondo, Western Coast of Korea (서해안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환경)

  • Oh, Jae-Kyung;Han, Ch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2
    • /
    • pp.139-15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area of Anmyeondo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142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and leveling survey was conducted as well in 12 transects at the sandy tidal flat in the area. The surface sedime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types (slightly gravelly Sand, Sand, slightly gravelly sandy Mud, etc.) and they show fining-distribution toward the offshore. Textural parameter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arse, well sorted, positively skewed in the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whereas being finer, poorly sorted, negatively skewed in the subtidal flat. According to the C-M diagram, the sediment transport modes are characterized by the mixed mode of bedload and graded suspension in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and by graded suspension or uniform suspension in the subtidal flat. Histogram shows a bimodal distribution in the lower subtidal flat which is indicative of two sediment transport modes.

Stratigraphic Sequenc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Unconsolidated Deposits in the West Seacoast (서해안 미고결 지층의 퇴적이력 및 퇴적환경)

  • Lee, Yong-Mok;Choi, Eun-Kyeong;Kim, Sung-Wook;Lee, Kyu-Hwan;Yoon, Yeo-Jin;Lim, Heui-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8 no.10
    • /
    • pp.55-68
    • /
    • 2012
  • The west seacoast has approximately 83% of tidal flat in Korea. Gyeonggi-do and Inchon has 35.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properties of tidal deposits that distributed in the Gyeonggi bay. On the basis of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n mineralogical, geochemical, physical properties, detailed sedimentary unit has been respectively distinguished Based on. stratigraphic position, facies and unconformity, the intertidal zones are classified into four sedimentary units, and bedrock over the units has been developed in the order of Unit 4${\rightarrow}$Unit 3${\rightarrow}$Unit 2${\rightarrow}$Unit 1. The intertidal sediment deposits of Gyeonggi Ba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est coast. In Cheongra area all strata of Unit 4-Unit 3-Unit 2-Unit 1 appear. In Yeongjong-do Unit 2-Unit 1, in Incheon Bridge and Songdo area Unit 4-Unit 3-Unit 1 are observed. In Daesan area Unit 4-Unit 3-Unit 1 are observed. Average clay mineral content ratio is 8.2% in Cheongra area, 2.9% in Yeongjong Island, 18.4% in Incheon Bridge, 24.6% in Songdo area.

Sediment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ent Intertidal Flat Environment,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 Chung, Gong Soo;Park, Yong Ahn
    • 한국해양학회지
    • /
    • v.13 no.1
    • /
    • pp.9-18
    • /
    • 1978
  • The intertidal flat depositional environment of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has been studied to understand textural,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two subenvironments, that is, the mud flat and the sand flat due to the sediment textures. From thd outer sand flat to the inner mud flat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decreases and the mud content increase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is in the progradation of marsh deposits in the mud fl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diments is related to the sediment textures. The chemical index of maturity of the mud flat sedim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nd flat sediments. The clay minerals of the sediments are chlorite, illite,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 PDF

Sedimentary Facies Characterization of Hwangdo Tidal Flat in Cheonsu Bay by IKONOS Image (IKONOS를 이용한 천수만 황도 조간대 퇴적상 특성)

  • 유주형;김창환;우한준;박찬홍;유홍룡;안유환;원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29-233
    • /
    • 2004
  •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간대 표층퇴적상의 분류가 가능하다면 현장조사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간해상도 30 m 급의 Landsat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0.0625 mm 입자 기준에 의한 조간대의 표층 퇴적상 분류를 한 연구가 몇 차례보고 된 바 있지만, 스펙트럴 값만으로 퇴적상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첫째는 점이적으로 변하는 조간대에서 입도와 위성자료 공간해상도와의 스케일 차이로 인한 mixed pixel(mixel)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이고 두 번째는 입도 요인 이외의 조간대 환경요인을 어떻게 고려해야 되느냐 하는 것이다. mixel에 대한 대안으로 4 m 공간해상도의 IKONOS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입도 이외의 다른 환경 요인은 조간대 지형과 조류로 (tidal channel)를 파악하여 퇴적상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IKONOS를 이용한 조간대 퇴적상 분류 결과는 현장 조사 자료와 잘 일치하였으며 지형적으로 높고 조류로가 발달한 부분에 이질 퇴적상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IKONOS와 같은 공간해상도를 갖는 KOMPSAT II 위성이 2004년 진수되어 서해조간대 지역에 대해 다시기의 많은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면 조간대의 지형변화와 생태계 변화 등의 조간대 모니터링 연구에 활용되어 연안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