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Sandy Tidal Flat in Anmyeondo, Western Coast of Korea

서해안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환경

  •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 한창희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area of Anmyeondo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142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and leveling survey was conducted as well in 12 transects at the sandy tidal flat in the area. The surface sedime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types (slightly gravelly Sand, Sand, slightly gravelly sandy Mud, etc.) and they show fining-distribution toward the offshore. Textural parameter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arse, well sorted, positively skewed in the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whereas being finer, poorly sorted, negatively skewed in the subtidal flat. According to the C-M diagram, the sediment transport modes are characterized by the mixed mode of bedload and graded suspension in supratidal and intertidal flat, and by graded suspension or uniform suspension in the subtidal flat. Histogram shows a bimodal distribution in the lower subtidal flat which is indicative of two sediment transport modes.

한반도 서해 중부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142점의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였고, 12개 측선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퇴적상은 소량역질사, 사, 소량역사질니 등 다양하게 나타났고 외해방향으로 세립해진다. 조직변수는 조상대와 조간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이고, 조하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세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음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인다. C-M도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조상대와 조간대의 퇴적물은 밑짐이동과 점이부유가 혼합된 형태로 이동하고, 조하대의 퇴적물은 점이부유와지속적부유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도표에서 하부조하대의 퇴적물은 밑짐과 뜬짐 2가지의 이동모드가 모두 나타나는 이중모드의 형태를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 2001, 충청남도의 해안사구.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학위논문, 142 p.
  2. 강대균, 2003,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4, 568-577.
  3. 국립해양조사원(KHOA), 1999, 천수만 부근 해도. NO. 322.
  4. 국토지리정보원, 항공사진, 1977, 아산, 2, 29-11, 29-15. 1989, 충남전남북, 18-5, 19-1, 21-2. 1992, 전주, 1-1. 1998, 예산, 16-6, 17-2, 19-1. 2007, 충청1, 7-8, 8-1, 10-3. (구매일: 2009. 10. 06)
  5. 기상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기상연보.
  6. 나기창, 1992, A study on the metamorph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한국암석학회지, 1, 25-33.
  7. 류상옥, 2003, 한반도 서해안과 남해안의 반폐쇄된 만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서해안의 함평만과 남해안의 광양만. 한국지구과학회지, 24, 578-591.
  8. 류상옥, 유환수, 전승수, 1997,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 표층퇴적물의 분포 및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8, 367-378.
  9. 류상옥, 유환수, 김민지, 문병찬, 1998, 한국 서해 남부 함평만의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19, 343-353.
  10. 류상옥, 장진호, 2005, 한반도 서해 천수만의 해안선 변화 및 조간대 해빈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84-596.
  11. 손영하, 2005, 서해안 사질조간대의 퇴적학적 특성. 인하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64 p.
  12. 송무영, 우영균, 1992, 한반도 중부권 지각물질의 구조와 물성연구 1, 한국지구과학회지, 13, 53-65.
  13. 오재경, 2003, 지질해양학. 인하대학교 출판부, 인천, 380 p.
  14. 오재경, 금병철, 1998, 서해안 몽산포 대조차 해빈의 퇴적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9, 310-317.
  15. 오재경, 금병철, 2001, 한반도 중서부 근.외해의 표층 퇴적물 특성과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77-387.
  16. 오재경, 금병철, 2002,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3, 565-574.
  17. 오재경, 김성은, 1999, 태안반도 연근해의 전이지대 퇴적물분포 및 조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0, 476-485.
  18. 오재경, 최규홍, 1999, 변산반도 연근해 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퇴적환경.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310-317.
  19. 이현복, 오재경, 김승우, 이성록, 1997, 비인만 연안 표층퇴적물의 퇴적학 및 광물학적인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8, 259-266.
  20. 장진호, 류상옥, 조영조, 2007,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8, 357-366. https://doi.org/10.5467/JKESS.2007.28.3.357
  21. Choi, P.Y., Rhee, C.W., Lim, S.B., and So, Y.S., 2008, Subdivision of the Upper Paleozoic Taean Formation in the Anmyeondo-Boryeong area, west Korea: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sedimentary organ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Geosciences Journal, 12, 373-384. https://doi.org/10.1007/s12303-008-0037-2
  22. Davies, J.L., 1964, A morphogenic approach to world shorelines. zeitschrift fur Geomorphologie, 8, 127-142.
  23.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24. Jago, C.F. and Hardisty, J., 1984, Sedimentology and morphodynamics of a macrotidal beach, Pendine Sands, SW Wales. Marine Geology, 60, 123-154. https://doi.org/10.1016/0025-3227(84)90147-6
  25. Komar, P.D., 1976, Beach processes and sedimentation. Prentice-Hall, NJ, USA, 429 p.
  26. Lee, H.J. and Chough, S.K., 1989, Sediment distribution, dispersal and budget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87, 195-205. https://doi.org/10.1016/0025-3227(89)90061-3
  27.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ions by CM patterns as a geological too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https://doi.org/10.1306/74D711A4-2B21-11D7-8648000102C1865D
  28. Shepard, F.P., 1973, Submarine Geology (3rd ed.). Harper and Row, NY, USA, 517 p.
  29. Visher, G.S., 1969, Grain size distributions and depositional proces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9, 1074-1106.
  30. Zheng, Q.A. and Klemas, V., 1982, Determination of winter temperature patterns, fronts, and surface current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from satellite imagery. Remote Sensing Environment, 12, 201-208. https://doi.org/10.1016/0034-4257(82)90053-0

Cited by

  1. Be Dating to Unravel the Antiquity of a Rocky Shore Platform on the West Coast of Korea vol.282, pp.1551-5036, 2012, https://doi.org/10.2112/JCOASTRES-D-11-00087.1
  2.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vol.35, pp.1, 2013, https://doi.org/10.4217/OPR.2013.35.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