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Cheonripo Intertidal Beach Sands and Coastal Dune Sands, Cheonripo, the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천리포 사질 조간대 해빈층과 해안 사구층의 연구

  • 박용안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최경식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A sedimentation study of the Cheonripo intertidal beach sands and its related coastal dune sands, Cheonripo, Seosan Gun, Choongcheong Namdo, Korea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a series of several summer time field surveys. Each subenvironment in the Cheonripo coastal zone, that is, intertidal sand beach and coastal sand dune, could be differenciated in terms of textural parameters. The coastal dune sands are finer than the intertidal beach sands in mean grain size, and the sorting of dune sands is relatively poorer than that of intertidal beach sands. However, the skewness of intertidal beach and dune sands is commonly positive. Such textural parameters ar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iated on scatter diagrams. A series of megaripple bedform observations for 6 tidal cycle periods(August 13, 14 and 15, 1990) are interpreted to find out migration pattern of bedforms and its related sand migration. Such migration natures are shown on the tables and figures.

한국 서해안의 특징적인 조간대 퇴적층의 종류로서 사립질 퇴적층(sandy deposit) 즉, 조간대 해빈층과 해안사구의 사질퇴적물의 분포를 구분할 수 있는데, 이번 연구는 충남 서산군 천리포의 사립질 퇴적층에 관한 표면 퇴적구조(bedform)로서의 메가 연흔(megaripple) 이동양식과 조직 매개변수(textural parameter)의 연구이다. 이 곳 천리포의 조간대 해빈층과 연속하여 발달한 해안 사구층의 조직 매개변수를 규명하므로서 조간대 환경과 해안 사구 환경을 각각의 환경적 단종(endmember)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