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고대사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Study on Author's Determination Supporting System Design to Ancient Literature (고문헌 저작자의 진위판별을 지원하는 시스템 설계)

  • Rhee, Kun-Moo;Rhee, Kun-W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1.04b
    • /
    • pp.775-778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현재 그 진위가 한국 고대사 연구의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는 화랑세기 등 고대사 저술의 진위를 판단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런 방법론의 전통은 성서의 바울서한의 저자의 진위 논쟁, 세익스피어 작품의 진위논쟁 등 세계적 관심이 되는 것에서부터 정치적 사건 및 개인의 송사에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논구될 수 있으며 이런 결과들은 현재 우리의 인문학계 특히 고대사학과 민족 정체성에 대한 거대 담론들에 대한 여러 형태의 유용한 실증적 전거를 마련해주게 될 것이다. 또한 다학문적, 학제적 연구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n Ancient India (고대 인도수학의 특징)

  • Kim, Jong-My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1
    • /
    • pp.41-52
    • /
    • 2010
  • Ancient Indian mathematical works, all composed in Sanskrit, usually consisted of a section of sturas in which a set of rules or problems were stated with great economy in verse in order to aid memorization by a student. And rules or problems of the mathematics were transmitted both orally and in manuscript form.Indian mathematicians made early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the decimal number system, arithmetic, equations, algebra, geometry and trigonometry. And many Indian mathematicians we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in Ancien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developments in ancient India and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We have found that the Indian mathematics is quantitative, computational and algorithmic by the principles, but the ancient Greece is axiomatic and deductive mathematics in character. Ancient India and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mathematics should be unified to give impetus to further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future times.

History of modern mathematics (현대 수학의 역사)

  • Park, Choon-S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9 no.1
    • /
    • pp.55-64
    • /
    • 2006
  • The thesis is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starting from the old Greece and the old Babylonia. The modem mathematic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et theory in the axiomatic method since the 19th century. The primary impetus of this thesis will be to summary the development of topology.

  • PDF

A Study on Pinakes Catalog of Callimachus (Callimachus의 Pinakes 목록 연구)

  • Jung, Mi-Kyung;Kim, Hae-Kyoung;Nam, Tae-Woo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3
    • /
    • pp.81-110
    • /
    • 2007
  • This current article is about the Pinakes catalog by Callimachus tha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first library catalog in Western civilization. Although many people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Pinakes catalog in the field of the history of ancient catalog,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ecause of the lack of groundwork in the field. This research comprehend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in the field so that it can contribute as one of the groundworks in the field of the ancient catalog.

청대 피령의 조형적 특성

  • 박현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34-38
    • /
    • 2004
  • 복식사 연구의 의의 중 하나는 고대 복식 자료를 현대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는데 있다.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은 전통 복식의 스타일, 소재, 색, 문양 등에서 디자인 영감을 얻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대 아시아 북방 민족들에게서 시작되어 중국 본토에 보편화되었으며 청조에는 관복의 구성품목으로 제도화된 피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중략)

  • PDF

SEM-EDS를 이용한 고대문화의 해석 - 고대의 유리구슬 -

  • Kim, Gyu-Ho;Heo, U-Yeong
    • 한국전자현미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5a
    • /
    • pp.40-44
    • /
    • 1999
  • 기록이 없는 과거 역사에 대한 연구는 문화재라는 간접적인 자료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화재 연구는 외형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고고학이나 미술사의 분야만으로 국한하였으나 점차 내형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분석기술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문화재의 특성적 성분을 분석하여 원료, 제작방법, 시대, 그리고 지역으로 그룹화한다면 문화재의 특성과 함께 지역, 시대에 따른 문화적 형태와 수준, 그리고 문화의 유입 경로 등에 대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분 연구에서는 유리나 도자기 유약 등의 문화재를 분석할 경우에 대한 SEM-EDS의 정량분석 조건들을 설정하고 경남 김해 양동리고분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구슬에 대하여 직접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매장되었던 고대 유리에서는 풍화층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분석조건과 정량분석의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적용한 양동리고분의 유리구슬은 알칼리계 유리로 칼리계 유리는 AD 1C, 소다계 유리는 AD 2C말$\sim$3C초부터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유리의 색상은 전이금속 동(Cu), 철(Fe), 그리고 망간(Mn)의 함유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이 분석 결과에 따라 고대 유리구슬의 성분 함유량이 원료, 색상, 유구편년, 그리고 지역에 따라 그룹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Review and Interpretations of Plimpton 322 (고대 바빌로니아 Plimpton 322의 역사적 고찰)

  • Kim, Min-Kyeo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1
    • /
    • pp.45-56
    • /
    • 2007
  •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review the transcriptions of the famous cuneiform tablet 'Plimpton 322' and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numbers. Since the tablet was found, many scholars tried to interpretate the relation among numbers. Neugebauer & Sacks, Buck, and Robson's finding are reviewed. This tablet must be the most well known and taken as an important role to complete a proof of the Pytagoras' theorem before the development of Greek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