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콘크리트 학회

검색결과 17,693건 처리시간 0.04초

고유동 콘크리트를 사용한 22 m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기둥의 시공성능실험 (Mock-Up Test for the Concrete Filled Rectangular Steel Tube Columns of 22 m height with Flowable Concrete)

  • 안종문;신성우;전상우;김진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8-95
    • /
    • 2002
  • 최근 국내에 60층을 초과하는 초고층 구조물들이 많이 건설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품질의 향상 특히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에 힘입어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고층 구조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초고층, 초대형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고축력, 고연성의 기둥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가장 적합한 구조요소라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s : CFT Columns)의 설계 및 시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은 콘크리트가 강관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축하중 저항 능력이 증가되는 장점과 동일한 단면으로 H형강을 사용한 순수 철골조 H형강 기둥의 강축(strong axis)과 약축(weak axis) 문제해결과 동시에 강성 (stiffness)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화 성능이 향상되고 거푸집 대체 재료로 사용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충전 강관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은 대부분 콘크리트가 부담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전강관 기둥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보통강도 콘크리트보다는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은 불가피하게 된다.(중략)

강섬유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재료적 에너지감쇠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Material Damping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강보순;정영수;이우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9-149
    • /
    • 1998
  • 동적하중하에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는 유연도 및 균열억제에서 우수한 재료로서 최근에 각종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내진설계를 위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의 재료적 감쇠에 관한 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SFRC)보의 재료적 감쇠효과증진을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SFRC)보의 감쇠거동은 인장철근비, 강섬유의 혼입량과 형태, 콘크리트의 강도 그리고 응력의 크기에 좌우된다.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감쇠비는 보의 균열상태 변화에따른 동적실험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증가된 에너지감쇠능력으로 인장철근이 소성전 상태에서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향상된 감쇠거동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의수치해석적인 입증을 위하여 curvature(곡률)와 감쇠값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유한요소프로그램 (TICAL)을 개발하였으며, 결론적으로 0.44%인장철근비을 갖고 있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감쇠비는 하중상태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보의 경우보다 약 5%에서 35%정도 향상된 감쇠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체건조를 고려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수분확산 (Moisture Diffusion of Concrete an Early Ages Considering Self-deseccation)

  • 김진근;이칠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89-195
    • /
    • 1998
  • 콘크리트 구조물이 초기재령에서 외기에 노출될 때, 수부확산으로 인하여 수분의 이동이 일어나고, 또한 자체건조도 발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확산과 자체건조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위치에 따라 상대습도가 변호한다.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에 단위 시멘트량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 초기재령에서 콘크리트 단면의 수분분포는 자체건조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에서 외기에 노출된 콘크리트 내부의 여러 위치에서 상대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체건조로 인한 콘크리트의 상대습도 변화를 측정하여 초기재령에서 수분확산과 자체건조가 콘크리트 내부의 각 위치에서 상대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코하였다. 그리고 수분확산 이론에 의하여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ulcorner재령에서 수분확산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저강도 콘크리트 단면의 수분분포는 주로 수분확산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며, 자체건조의 영향은 매우 작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고강도 콘크리트는 수분확산 뿐만 아니라 자체건조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았다. 또한 수분확산 이론에 의한 해석결과는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다.

경량콘크리트 보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of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Beam)

  • 이호경;곽윤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9-22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경량콘크리트보의 거동을 연구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비선형해석이 나타나있다. 콘크리트에 대한 2축 실험 자료를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의 구성모델을 만들었다. 구성모델에서 콘크리트의 비선형성은 주응력비에 따른 강도증감계수와 탄성계수의 변화에 따른 비선형저감계수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유한요소 모델해석에서 콘크리트는 8절점을 가진 사각형요소로 하고 철근은 1차원 선형요소로 가정하여 해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얻어진 수치해석결과와 실험실에서 행한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화성능(고강도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Fire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High Strength Concrete & Fiber Reinforced Concrete))

  • 소양섭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7-44
    • /
    • 2002
  •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1970년대부터 원자로의 안정성 확보차원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취성파괴(brittle failure)등에 대한 연구가 많다. 콘크리트의 내화성이란 화재로부터 보호되고 고열환경에 견디는 재료적 특성 즉 화재온도 1,00$0^{\circ}C$ 정도의 고온을 30분에서 3시간 정도를 받은 경우 콘크리트 중에 매립된 철근 등 철강을 소정의 온도 이하고 유지하기 위한 피복 역할을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큰 변형이나 붕괴 등을 막기 위한 소요 압축강도 및 영계수 등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성질을 말한다.(중략)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착거동에 관한 해석모델 (A Theoretical Model for the Bond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 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6
    • /
    • 1991
  •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착거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역학적 거동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을 서술할 수 있는 이론모델을 유도하여 제시하였다. 본 해석모델은 철근 콘크리트부재의 위치에 따라 다랄지는 국부 부착응력과 부착슬립의 관계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잘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부착해석모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좀더 정확한 해석과 설계를 가능케 할 것으로 사료된다.

휨재의 인성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Ductility of Flexural Members)

  • 정일영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5-132
    • /
    • 1993
  • 콘크리트의 인성개선을 위하여 횡보강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보통강도으 철근ㅇ르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조속한 철근의 강상으로 인한 콘크리트으 인성개선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고강도 횡보강도에 의한 압축인성 개선효과를 이론 및 실험으로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각 공시체의 변형능력을 비교해 보면 보통강도근의 경우 콘크리트 응력블록계수가 최대일 때 콘크리트의 압축단 변형도가 1%내외인데 비하여 고강도근으로 횡보강하였을 경우가 콘크리트의 압축변형도는 2%로서 충분한 휨압축 인성개선용으로 콘크리트의 충분한 인성개선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