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전통공간디자인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4초

임베디드 오디오 파일시스템의 클러스터 크기 연구 (Cluster Sizing for Embedded Audio File Systems)

  • 임창규;이인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523-15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파일시스템에서의 클러스터 크기들이 파일시스템의 입출력 처리시간 및 공간 사용률 등의 성능 요소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고 이를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특성에 맞게 개선함으로써, 임베디드 오디오 파일시스템의 클러스터 크기에 관한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농업경관의 디자인적 요소인 전통다랑논 조사연구 (A Study on Traditional Darangyi-Rice Terrace as Design Factors of Agricultural Landscape)

  • 손호기;김상범;김은자;이상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7-165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자원의 발굴 및 구축, 수정 등 농촌어메니티자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농업경관자원의 관리를 효율화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연구의 대상지는 농업경관자원의 디자인적 요소를 지닌 전통다랑논이며, 그 기준은 한계농지, 조건 불리지역 등 도입 가능한 유사한 기준과 일본의 다랑논 기준, 기 알려진 다랑논 특성을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한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많은 다랑논들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지거나 훼손, 소멸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농촌 디자인적 요소를 지닌 농촌경관자원으로서 다랑논을 보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다랑논의 의미나 가치, 효용이나 경제성 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락논의 현황과 변화에 대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공간영상자료를 활용한 결과, 최신의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한다면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대축척의 DB 구축은 물론 세밀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향후 DB의 현행화를 통한 활용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 콜로니알 주택과 실내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tyle of American Colonial Housing)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1-268
    • /
    • 2004
  • 지금까지 미국의 주택은 주로 현대 양식에 대해서 알려져 있고 전통적 주택과 실내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국의 전통적 주택인 콜로니알 시대 주택의 표현 특징과 실내의 요소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콜로니알 양식을 규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콜로니알 주택은 영국의 죠지안 주택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기보다 미국적 기후와 지역 특성에 조화하는 방식으로 정립되었으며 주택과 실내의 많은 요소가 유사한 표현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탕에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디자인이 배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택의 발전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자형의 2층 목조의 측면 박공 지붕 형태에 비늘판벽 마감을 하였으며 전면의 가장 중요한 장식 요소로는 현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은 일실에서 2실과 4실 구조로 발전하였고 실내는 초기에는 바닥, 벽, 천장이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하는 방식에서 점차 죠지안의 영향으로 패널, 벽지를 사용하였고 벽난로가 있는 면을 제외하고 플라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가구는 영국 영향의 치펜데일, 퀸 앤의 의자가 대표적이었으나 지방 특색이나 종교적 영향에 의해 등장한 소박한 형태의 가구가 배치되었으며 영국 영향의 가구에도 융통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pop아이돌 무대 퍼포먼스 디자인에 반영된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영향 (The Influence of Digital Animation on the choreography of K-pop idol)

  • 박유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129-165
    • /
    • 2014
  • 안무는 시간 안에서 일련의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각각의 시대가 시간과 공간,그리고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은 당대의 가장 첨예한 신체 퍼포먼스의 디자인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각 시대의 시공간 감각은 그 시대가 가진 종교, 철학, 기술적 발전 등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신체 퍼포먼스의 분석을 통해 그 시대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대중문화인 K-pop 아이돌의 퍼포먼스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인간-시공간 감각을 탐색한다. K-pop의 대표적 아이돌 '샤이니'의 2013년 발표곡인 의 뮤직 비디오 및 안무 디자인은 2010년대의 한국이 가진 시공간 감각이 다름 아닌 디지털 애니메이션적인 시공간적 감각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 퍼포먼스 디자인은 서구의 전통적인 자동인형 모티브의 예술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이와는 차별화된 안무에서의 시공간적 감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자동인형 모티브는 인간의 형상을 창조하겠다는 오랜 인간의 욕망, 즉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긴밀히 연계되어 발전되어 왔다. 자동인형, 그리고 기계가 실제로 인간을 대체하기 시작한 서구의 근대 역사에서 자동인형 모티브는 인간의 기계에 대한 소외와 매혹을 드러내는 중요한 예술 장르였다. 또한 발레와 같은 대중 무용 및 모더니스트 안무가들의 기계적 신체 퍼포먼스는 인간이 기계적 동작을 모방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을 하나의 기계로 바라보는 당대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K-pop 안무의 새로운 경향인 의 자동인형 퍼포먼스 디자인은 시각적 측면 뿐 아니라 움직임의 구성 등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적 특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러한 특성은 현재 한국 사회가 공간 뿐 아니라 시간 또한 통제하는 진일보한 디지털-애니메이션적 관점으로 인간을 바라보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사무 노구치 환경조각의 공간개념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pace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 by Isamu Noguchi)

  • 어호선;고웅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447-457
    • /
    • 2013
  • 노구치가 생각한 공간은 19세기와는 달리 고대 의식의 환경과 관련된 개념을 조각하고 이 개념을 조각적 공간에 포함시켰으며 또한 기술과 새로운 재료를 일상생활의 조각적 미학에 도입했다. 미술계뿐만 아니라 정원 조각, 무대 디자인 등에서도 공간에 대한 인식을 깨우쳐 주었다. 정원과 놀이터는 공간, 그 독특함을 보여주며, 그의 예술적 특성과 작품에 대한 연구의 결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노구치의 작업은 동양의 미학을 서양의 모더니즘 양식에 결합함으로써 동 서양 예술의 합류점을 이루었으며, 예술의 사회적인 기능과 실용적인 미학 그리고 기능이 통합된 합리적 형태를 조형적 특성으로 하고있으며, 조각에 대한 그의 접근법은 공간이 최고라는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노구치의 공간적 조각은 상징적 표현과 재료에 대한 민감함, 예술가의 끊임없는 공간의 창출에 대한 노력으로 탄생된 것이며, 노구치에 대한 연구는 공간개념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조형예술가에게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선(禪)생태학관점에서 본 전통사찰의 공간조형개념 연구 - 조선시대 선(禪)적 특성이 두드러진 전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Formative Concepts of Traditional Temple viewed in the Seon Ecology - Focused on Traditional Seon Buddhist Temple of Joseon Dynasty -)

  • 이고은;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8-67
    • /
    • 2013
  • Since environmental pollution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integration of academic discipline has been accomplished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thics. Combination of Buddhism and Ecology is the instance of this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the assumption that from Seon Ecology standpoint, Buddhist temple would define conception of Seon Ecology specifically. The study based on advanced study about Seon Ecology, the peculiarity of Seon Ecology was dependent originations, order, the nature of Buddha, moderation, and impersonated nature. In addition,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se peculiarity has relation with traditional temples. This attempt has a significance in that finding a new approach of interpreting traditional temple and possibility of Seon Ecology Seon Ecology space formative concepts of traditional temple is cyclical allness, transitory balance, Denial of perfection and natural void characteristics from Seon Ecological studies. This study examined how characteristic of Seon Ecology is reflected in traditional temple, through analyzing Buseoksa-Anyangru, Bongjeongsa-Yeonsanam, Seonamsa simgeomdang, Songgwangsa woohwagak, Hwaamsa woohwaru which hav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selection using above space formative concepts. traditional temple was filled with life coexisted with dynamics, independence, and equality within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태국 중부지방 전통주택 공간구성요소의 장식적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Decoration in Central Thai Traditional House)

  • 최한희;오혜경;주서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00-20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nique housing culture and decoration style in traditional Thai houses. Literature review and site visit were applied for the research method. A steep gable roof, a lifted floor structure on the pillars, a semi-enclosed central flatform(charn) and a outdoor staircase are important plastic elements of exterior decoration in Thai traditional houses. 'Panlom(windbreak on gable)' and 'fa loog fak(wall panel)' are the most unique elements which determine Thai traditional style. In Thai traditional style decoration, the beautifully carved wooden panels and decorations are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decorations can be analyzed in the aspect of following perspectives. ; The characteristics of Thai traditional house decor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evolved as result of influences from regional climate and local material. And also the social-cultural factors such as religion, social and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style controlled the forms and culture of traditional housing form and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summarises and defines the outstanding and unique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decoration in Thai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central region in Thailand.

싱글족을 위한 다기능 가구 디자인 컨셉연구 (A Study on the Multi-function Furniture Design Concept for the 'Singles')

  • 오시림;이보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2
    • /
    • 2014
  • 전통사회로부터의 발전 및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습관도 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가치관의 탈피와 결혼관 등의 변화로 인해 싱글족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싱글족의 행동방식, 생활환경, 소비습관 역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싱글족의 출현으로 전통 가구 역시 이미 이들의 수요를 만족할 수 없게 되었고, 때문에 싱글족의 특성에 맞춘 가구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싱글족의 발생배경 및 소비심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싱글족의 소비와 기호의 특성을 분석했으며, 가구수요를 조사해 싱글족의 거주형태, 가구종류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또한 SWOT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싱글족 가구의 장단점에 관하여 한층 더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더불어 싱글족의 가구 수요, 거주형태 및 싱글족 가구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싱글족을 위한 멀티형 가구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내놓았으며, 이를 기초하여 싱글족의 특징 및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가구 디자인으로 싱글족의 가구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멀티형 디자인 및 접이식 기능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켰으며, 새로운 제품 디자인 개발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erunobu Fujimori)

  • 서수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27-4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문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에 맞추어 일본의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작품 중 그를 대표하는 다실 공간 5곳을 선정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간의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로는 반드시 자연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마감 하고 건축물에 식물을 도입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의 전통방식을 차용하는 전략은 공상성과 일탈성을 나타내는 공간표현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 시대에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와 실현 가능한 대안의 친환경 건축 계획 시 또 다른 공간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질 클레망의 정원관(庭園觀)과 '움직이는 정원'에 대한 연구 - William Robinson의 Wild Garden과의 개념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illes Clement's Garden View and the 'Garden in motion' - Centering on Conceptual Comparison with William Robinson's Wild Garden -)

  • 권진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6-53
    • /
    • 2018
  • 본 연구는 동시대에서 요구되는 재생적 환경특성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정원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개념적 바탕과 적용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로빈슨의 자연주의적 가치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클레망의 정원이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며, 클레망의 정원에 구현된 자연주의적 차별특성을 로빈슨의 와일드가든과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클레망에게 있어서 정원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식물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대한 과정의 미학으로 대상지에 정착하여 가는 생태적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움직이는 정원'을 실현한다는 것은 자연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연에 순응하고, 식물들의 종자가 계획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적절한 생육환경을 찾아가도록 허용해야 하는 가능성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둘째, 야생(Wild)에 대한 가치관은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표현특성을 지니는데, 로빈슨의 경우 소규모의 정원으로서 기존 공간에 대한 연화(軟化) 기능을 담당하며 종속적인 특징을 가진다. 반면 클레망의 정원은 공간의 주체로서 거시적 안목에서의 전략이며, 생태적 역할의 중심이 되는 인프라스트럭쳐로서 구체화된 하향식 접근 특성을 가진다. 셋째, 로빈슨과 클레망의 정원에 대한 공간운용 관점은 자연의 자율성과 정원의 야생에 대한 불가분의 관계를 인정하며 자연에 대한 보존이 성립되어질 때 우리가 원하는 삶과 공존할 수 있다는 가치를 전달하며, 그들의 정원은 환경결정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식물이 매체가 된 환경가능론적 논지와 생태학적 입장의 중재로 유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