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어 통합 교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수행을 위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한국어교재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Components of Writing Tasks for Performance)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7-206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제시되는 쓰기 과제가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쓰기 과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이 설정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연구 대상인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과제의 유형에서 '자유 작문'과 '모방해서 쓰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는 21개 정도였다. 지시 내용의 대다수가 한 두 문장의 지시문으로 지시사항을 진술하는데 대부분이 주제 및 장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의 목적, 형식, 분량, 시간 등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텍스트의 유형은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설명문의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평가 준거와 기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시간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고급수준의 쓰기 과제에서는 글의 분량, 형식 등이 그나마 제시되는 편이나 초급과 중급에서는 이것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통합형 한국어교재에는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가 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채 학습자들에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통합 교재의 문법 예문 작성 원칙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Example Sentences for Grammar Description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양재승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197-22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nciples of making example sentences when describing grammar items and examines aspects of example sentences presented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The requirements of example sentences in grammar descriptions have been mentioned in several preceding research.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which focuses particularly on example sentences in grammar descriptions and examines the appropriacy of example sentences presented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sets up five principles to make appropriate example sentences and examine if these principles are in line with example sentence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recently. Comprehension and use of grammar items are two significant aspects when making sentences. Thus, example sentences should show meaning, form and pragmatic information unambiguously. The findings show that most textbooks follow the five principles. However, some example sentences do not meet the requirements to be effective examples.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textbooks need to include more example sentences related to the topic and the goals of the unit considering the role of grammar.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68-27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문화교육과 표현활동의 통합적 다양화 방안 - <세종한국문화>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The Ways for the Integrated Diversit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Korean Expression Activiti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81-692
    • /
    • 2020
  • 본 연구는 의사소통 교수법의 흐름 안에서 출판된 <세종한국문화>라는 한국어 문화교재를 분석하여 문화교육과 표현활동의 통합적 다양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인식, 문화 문식력을 넘어서 문화 능력의 신장이라는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교재의 주제 분포, 말하기 쓰기 등의 표현활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학습자가 속해 있는 두 문화의 단순한 비교를 넘어서 창조적 문화 생산 활동을 지향하는 문화능력의 신장은 표현활동과의 통합이 그 목표를 이루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안임을 전제로 하였다. 이 교재는 시각자료를 풍성하게 제시하면서 성취문화보다는 행동문화와 정보문화의 제시를 중점으로 삼고 있으며 초급 단계보다 높은 단계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수준의 매체 읽기 자료를 배열한 점을 그 특징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교재 속 표현활동 유형을 분석하여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질문형식이 학습자들의 표현활동을 몇 가지 유형에 제한시키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문화 이해와 문화 문식력 단계에서 문화 능력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질문 형식의 다양화, 표현 활동의 확장, 통합 활동의 창조적 적용 등을 제안하였다.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 이해영;방성원;박기영;박선희;이보라미;최은지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227-2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future developm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by conduct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 and evaluat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and the researche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In this study, we have the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total of 158 surveys that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ho teach Korean at King Sejong Institute and overseas university. The survey conducted about the Korean textbooks regarding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1) integrated and separated textbooks, 2) textbooks by learners' variables, 3) teaching materials by media type, 4)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5) diffusion and support of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urvey found that supporting for the separated textbooks is needed, and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calized textbook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King Sejong Institute has a high demand for textbook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web despite most of institutes are highly satisfied with paper textbooks. For the supplementary textbooks,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learning materials were needed for the King Sejong school students and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for overseas college learners needed to be developed. We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ut also smooth and efficient diffusion.

글쓰기 내용지식 구성의 세분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글쓰기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Content Knowledge Formation -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86-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내용지식으로부터 학생의 통합지식을 구성함에 있어 지식통합의 단위와 기준을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형성 있는 대학 글쓰기 교재 세 권을 분석하고 내용지식의 구성에 대한 제시방법을 텍스트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살폈다. 분석 절차와 제시방법은 Creswell의 질적 연구에서의 나선형 분석 모델을 따랐다. 이는 자료 수집부터 분석, 제시까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자료 분석 방법이다. 이를 통해 내용지식 구성단위에는 글 전체 단위, 단락 단위, 문장 단위의 세 가지 차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내용지식 구성의 체계화된 교육을 위해서 이 세 가지 단위 차원을 모두 다루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식통합의 과정별 기준과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지식의 선별 과정에서는 논지와의 적합성과 보충성의 기준을, 지식의 조직과 통합과정에서는 통일적 통합, 모순적 통합, 배경적 통합, 종합적 통합 등의 기준과 내용을, 지식의 표현과 인용 과정에서는 정확한 표현과 표기법, 출처표시 등의 절차 지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표현의 차원에서 일반 글쓰기 교재에서 빈번하게 연습되는 '바꿔 말하기' 과정도 '요약, 연계, 해석과 변용'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연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몇 차례 더 세분화의 과정을 거쳐야 대학 수준의 글쓰기 교재에 활용하기 적합하고 체계화된 지식통합의 요목들을 정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추후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