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2.681

The Ways for the Integrated Diversit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Korean Expression Activiti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Lee, Ran (숭실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 textbook published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in a trend of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s, and suggested the ways for the integrated diversity of culture education with expression activities. This study set up the final goal of strengthening 'cultural competence' which is the next stage of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literacy' in the goal hierarchy for culture education, and analyzed not only the theme distribution but the patterns of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textbook. It assumed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achieve the goal is the convergence with expression activities in order to strengthen 'cultural competence' which aims to the creative culture production as well as the simple comparison between learners' mother culture and the target culture. This textbook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visual materials, focus on the behavior culture and the information culture rather than the achieved culture. and media reading materials in diverse levels for utilization possibly in any proficiency levels. Also, it found out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expression activities that the question forms inducing learners' speech and writing are restricted to a few patterns. Lastly, this study proposed the ways to achieve the goal "cultural competence" as follows: diversity of question forms, extension of expression activities and creative application in integrating the related activities.
Keywords
Korean Culture Education; Sejong Korean Culture; Analysis of Culture Textbooks; Expression Activ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미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통합 교육-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통합 양상을 고려한 교육방안," 한국언어문화학, Vol.1, No.1, pp.143-163, 2004.
2 S. Krashen, (김윤경 역), 외국어교육 이론과 실제: 습득인가, 학습인가? 한국문화사, 2004.
3 곽지영, "한국어 표현 교육론,"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pp.205-277, 2016.
4 김수현, "외국인을 위한 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재 분석과 교재 구성의 방향," 한국어교육, Vol.16, No.2, pp.25-44, 2005.
5 정인아, 한국어 쓰기 교육론,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pp.203-243, 2018.
6 세종학당, 세종한국문화1,2, 세종학당재단, 2020. https://www.sejonghakdang.org/e-book/ecatalog5.jsp?Dir=397&catimage=&callmode=admin
7 V. J. Risko, D. W. Dalhouse, E. S. Bridges, and A. Wilson, "Drawing on Text Features for Reading Comprehension and Composing," The Reading Teacher, Vol.64, No.5, pp.376-378, 2011.   DOI
8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mtemporary culture, Poity, 2011.
9 김수리, 김소영,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현황 및 과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pp.79-81, 2019.
10 서종학, 이미향, 박진욱, 한국어 교재론, 한국문화사, 2020.
11 유홍주, "문화교육을 위한 현대소설의 활용 방안 연구," 인문사회 21, Vol.7, No.4, pp.133-147, 2013.
12 한상미,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육방안-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 방법론의 적용," 한국어교육, Vol.10, No.2, pp.347-366, 1999.
13 김혜영,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수의 연계," 제25차 국제학술대회 발표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14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 문화사, 2003.
15 김수현, "외국인을 위한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교재 구성의 방향," 한국어교육, Vol.16, No.2, pp.25-44, 2005.
16 임경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역락, 2015.
17 한상미, "한국 문화 교육론,"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pp.279-311, 2016.
18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 Vol.14, No.3, pp.169-188, 2003.
19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교육한글, No.10, pp.317-326, 1997.
20 김종수, "한국 문화 교육론," 한국어교육학, KnouPress, pp.305-330, 2016.
21 조해숙, 한국어 문화 교육론,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pp.409-434, 2018.
22 조항록,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Vol.9, No.2, pp.223-237, 1998.
23 민현식,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 Vol.7, pp.5-6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