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띄어쓰기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Composite Study on the Wri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 Focused on Syntax Production, Syntax Complexity and Syntax Errors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특성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 구문산출성, 구문복잡성 및 구문오류를 중심으로)

  • Lee, MI Kyung;Noh, Byu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315-324
    • /
    • 2018
  • For Korean learners, writing is a harder part than any other areas in Korean languages. But in the future, the ability to organize and write systematically is essential for future koran languages learners to take classes, do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at school, and then adapt to job situ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ise a direction for this. In general, writing characteristics are viewed in many ways, including writing productivity, writing complexity, and writing errors. Accordingly, the study provided drawings and A4 paper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before writing freely. Based on the their writing results, we looked at syntax factors (total C-units, total number of words), syntax complexity (number of words per C-unit and clause density), and writing errors (postposition, spell errors, and connective suffix, space errors) According to the study, Vietnamese an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yntax productivity and complexity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showed more writing errors than Korean students in postposition and clause den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writing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s learners. However, this study did not validate the differences in wri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level and length of residences for the study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in future research.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tandard Vocal Sound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한국어 음가를 한글 표기로 변환하는 표준규칙 제정)

  • 이계영;임재걸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1 no.2
    • /
    • pp.51-6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Standard Korean Vocal Sound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Standard VSCC Rule) by reversely applying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 that regulates the way of reading written Hangeul sentences. The Standard VSCC Rule performs a crucially important role in Korean speech recognition. The general method of speech recognition is to find the most similar pattern among the standard voice patterns to the input voice pattern. Each of the standard voice patterns is an average of several sample voice patterns. If the unit of the standard voice pattern is a word, then the number of entries of the standard voice pattern will be greater than a few millions (taking inflection and postpositional particles into account). This many entries require a huge database and an impractically too many comparisons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most similar pattern. Therefore, the unit of the standard voice pattern should be a syllable. In this case, we have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vocal sounds and the writing characters. The process of converting a sequence of Korean vocal sounds into a sequence of characters requires our Standard VSCC Rule. Making use of our Standard VSCC Rule, we have implemented a Korean vocal sounds into Hangeul character conversion system.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 consists of 30 items. In order to show soundness and completeness of our Standard VSCC Rule, we have tested the conversion system with various data sets reflecting all the 30 items. The test results will be presented in this paper.

Case Study on the Writing of the Papers of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 Han,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649-663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Automatic Word Spacing for Korean Using CRFs with Korean Features (한국어 특성과 CRFs를 이용한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

  • Lee, Hyun-Woo;Cha, Jeong-Won
    • MALSORI
    • /
    • no.65
    • /
    • pp.125-141
    • /
    • 2008
  • In this work, we propose an automatic word spacing system for Korean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s (CRFs) with Korean features. We map a word spacing problem into a classification problem in our work. We build a basic system which uses CRFs and Eumjeol bigram. After then, we analyze the result of inner-test. We extend a basic system added by some Korean features which are Josa, Eomi and two head Eumjeols of word extracting from lexicon.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we can se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previous methods.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ble to use mobile and speech applications because of very small size of model.

  • PDF

A Study on Effectively Detecting and Correcting POS-Tagged Errors (효율적인 품사부착 오류 검출 및 수정에 관한 연구)

  • Choi, Myung-Gil;Seo, Hyeong-Won;Nam, Yoo-Rim;Kwon, Hong-Seok;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132-13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세종형태분석 말뭉치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를 효율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오류 수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세종형태분석 말뭉치에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형태소 생성과 자동 띄어쓰기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출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하여 철자 오류 수정, 형태소 삭제 수정, 형태소 삽입 수정, 어절 재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대한 반복적인 작업은 수행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구현된 오류 수정 도구를 통하여 세종형태분석 말뭉치를 수정하였을 경우 텍스트 파일 형태의 말뭉치에서 오류를 수정하는 것보다 최소 9배 이상 빠른 작업이 가능하였으며, 사용자가 오류 수정 작업을 진행할수록 수정 속도가 빨라짐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 PDF

The Factors In Reading Hangul Text : font width-to-height ratio of a letter, line length (글자꼴, 글줄길이, 글줄모양과 한글의 가독성)

  • Lee, Soo-Jeong;Jung, Woo-Hyun;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193-205
    • /
    • 1993
  • 한글의 글자꼴과 장평율 그리고 글줄 길이와 글줄꼴 처리 방식이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글자꼴은 명조체, 고딕체, 샘물체를 사용하였고, 장평율은 글자의 가로 대 세로 비율을 1 대 1, 1 대 2 그리고 2 대 1로 변형시킨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글줄 길이는 60mm와 120mm의 두 가지로 하였고 글줄 끝에서 음절 단위로 끊어 쓴 문장과 어절 단위로 끊어 쓰되 띄어쓰기 여백을 조절한 문장과 조절하지 않은 문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글자꼴에서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이 샘물체보다 좋았고,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이 1 대 1이거나 1 대 2인 글자의 가독성이 2 대 1인 글자의 가독성보다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글 정보 처리 과정에서 자모보다 글자가 중요한 시각 정보로 사용되고 한번 응시하는 동안에 표집되는 글자수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글줄 길이는 120mm일 때의 가독성이 더 좋았고 글줄 끝처리 방식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grated Sentence Preprocessing System for Web Indexing (웹 인덱싱을 위한 통합 전처리 시스템의 개발)

  • Shim, Jun-Hyuk;Cha, Jong-Won;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216-223
    • /
    • 2000
  • 웹 문서는 일반 문서들과 달리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고, 원문에 태그나 코드 등 불필요한 내용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언어 처리에 바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인덱싱 대상 문서로 사용되는 웹 문서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문장 단위로 정렬된 문서로 제작, 관리하는 통합 전처리 시스템인 Web Tagger의 구조와 전처리 방법을 소개한다. Web Tagger는 문서 정제, 문장 분할, 띄어쓰기의 과정을 거쳐 웹 문서에서 표준화된 정보를 추출하고, 형태소 분석기를 포함한 응용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XML 형식의 원문 코퍼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한다. '정규문법(Regexp)', '휴리스틱', '품사 인덱스 참조', 'C4.5를 사용한 학습 규칙' 등의 다양한 전처리 기법은 형태소 분석 정확도 향상과 시스템 안정성 보장에 기여한다.

  • PDF

A Design of Efficient Automatic Indexing based on Dictionary Information (사전 정보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동색인기 설계)

  • Jin, Joung-Hwan;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47-550
    • /
    • 2001
  • 웹상에 공유되어진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색인어 추출은 정보 검색 시스템의 질을 좌우한다. 한국어의 자유로운 복합명사나 띄어쓰기 규약, 사전 미등록 어휘 등으로 색인어 추출시 질의어와 색인어 사이의 형태상의 불일치(Syntactic Term Mismatch)가 발생하여 검색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을 통한 형태소 해석을 통해 단위명사(Unit Noun)로 색인어를 추출하고 사전 미등륵어는 N-gram 기반 색인 방법을 이용하여 질의어와 색인어 사이의 부분 일치된 문서도 추출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색인어와 질의어 사이의 유사도 계산을 통해 문서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색인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Hangul Phoneme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한국어 음가/ 한글 표기 변환을 위한 표준 규칙 제정)

  • 이계영;임재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128-132
    • /
    • 2002
  • 한글 표기를 음가로 변환하는 규칙을 역으로 적용하여 음가를 한글 표기로 전환시키는 표준 규칙을 고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이러한 표준 규칙은 음성인식에 반드시 필요한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음성 인식은 표준으로 기록된 음성의 패턴과 입력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찾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표준 음성 패턴이 띄어쓰기 단위라면 수백만 개의 표준 패턴이 수록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표준 패턴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도 너무 커지고 비교회수도 너무 많아져서 실용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음절단위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절단위로 인식하면 인식된 음가가 한글 표기 문법에 맞지 않으므로, 인식 결과를 출력할 때에는 음가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표기로 변환하여 표기해야 한다 이때, 본 연구의 연구 결과인 표준규칙을 사용한다.

  • PDF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using Measuring Relationship between Words (단어 간 연관성 측정을 통한 문맥 철자오류 교정)

  • Choi, Sung-Ki;Kim, Minho;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62-1365
    • /
    • 2013
  • 한국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오류어의 유형은 크게 단순 철자오류와 문맥 철자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문맥 철자오류는 문맥의 의미 통사적 관계를 고려해야만 해당 어휘의 오류 여부를 알 수 있는 오류로서 철자오류 중 교정 난도가 가장 높다. 문맥 철자오류의 유형은 발음 유상성에 따른 오류, 오타 오류, 문법 오류, 띄어쓰기 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타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문맥 철자오류를 어의 중의성 해소와 같은 문제로 보고 교정 어휘 쌍을 이용한 통계적 문맥 철자오류 교정 방법을 제안한다. 미리 생성한 교정 어휘 쌍을 대상으로 교정 어휘 쌍의 각 어휘와 주변 문맥 간 의미적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측정하여 문맥 철자오류를 검색하고 교정한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3개의 교정 어휘 쌍 모두 90%를 넘는 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