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어 단모음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어 장단모음의 음가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주변동화현상(contextual assimilation)에 대하여 (A study of contextual assimilation manifested in Korean long/short vowel contrast)

  • 공수진;문승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281-284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말 장단모음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쓰여져 있는 문장에서 장단 모음을 구별할 줄 사람들 중 남자 3명을 선정하여 7개의 모음(/ㅣ, ㅐ, ㅏ, ㅓ, ㅗ, ㅜ, ㅡ/)을 발음하게 한 후, 각 장단 모음 쌍의 길이, 피치, 음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장단모음이 사라졌다는 일부 주장과는 달리 모든 화자에게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길이의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피치와 음가(F2)도 유의한 차이가 남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관찰된 음가의 차이는 모음 자체의 음가의 차이가 아니라 다음에 따라오는 조사의 모음의 영향으로 인한 주변동화현상(contextual assimilation)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장모음은 길이가 긴 까닭에 자신의 음가를 충분히 실현한 반면 단모음은 다음에 나오는 모음의 음가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어 단모음 [이, 에, 아, 오, 우, 으]에 대한 성도 3차원 모델링 및 모음 판별 (A 3D Vocal Tract Modeling and Vowel Discrimination of Korean Monophthongs [이, 에, 아, 오, 우, 으])

  • 성철재;박종원;김귀룡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85-188
    • /
    • 2005
  • We presents a new method fo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volume of the vocal tract using 3D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relative ratios of volume A, B, and C, which are divided by the 2constriction points form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in vocal tract, take a decisive role indiscriminating Korean monophthong. Together with Fl-F2 and the minimum cross sectional area in the vocal tract, the relative ratios of the regional volume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parameter in statistic viewpoint.

  • PDF

구어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 용언활용에서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 추이 연구 (Transition of vowel harmony in Korean verbal conjugation: Patterns of variation in a spoken corpus)

  • 강희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1-29
    • /
    • 2023
  • 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 용언활용에서 모음조화 양상에서 보이는 변이(조화형과 비조화형의 공존)가 어떤 언어 내적/외적 변수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그 변화의 발동과 전파 과정을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발행 일상 대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42개 어간의 조화형 및 비조화형을 검색한 후 음운/형태적 특성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비조화형의 비율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ㅏ/-모음 어간이 단모음 종결 어미와 결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기존 연구들에서 거의 보이지 않던 연결 어미나 선어말 어미의 경우에도 비조화형이 소수 나타났다. 말뭉치에서 발견된 /ㅗ/-모음 어간의 비조화형을 자료로 삼아 청취실험을 실시하여 비조화형의 발동이 음운 감쇄나 과소 실현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전파되는 과정에는 모음의 변별도나 형태적 분석과 같은 인지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더 나음을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어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는는 조음적/인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었다고 본다.

한국어 8모음 자동 독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echreading about the Korean 8 Vowels)

  • 이경호;양룡;김선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73-182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 8단모음을 인식하기 위한 효율적인 파라미터의 추출과 자동 독화 시스템의 구축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얼굴의 특징들은 다양한 칼라 공간에서 다양한 값으로 표현되는 것을 이용하여 각 표현 값들을 증폭하거나 또는 축소, 대비시켜 얼굴 요소들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눈과 코의 위치, 안쪽 입의 외곽선, 윗입술의 상단, 이의 외곽선을 특징 점으로 찾았으며, 이를 분석하여 안쪽 입의 면적, 안쪽 입의 높이와 폭, 이의 보임 비율 코와 윗입술 상단과의 거리를 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2400개의 영상으로 분석하였고 이 분석을 바탕으로 신경망 시스템을 구축한 후 인식 실험을 하였다. 정상인 5명이 동원되었고, 사람들 사이에 있는 관찰 오차를 정규화를 통하여 수정하였으며 실험하여 파라미터의 유용성 관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어 음성의 스펙트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trum Variation of Korean Speech)

  • 이수길;송정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79-186
    • /
    • 2005
  • 음성학에서 음성이 가지고 있는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의 스펙트럼은 단모음의 경우 어느 정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만 음절. 단어 등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는 상당한 변화가 발생된다. 이는 음소단위 음성인식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영역과 청각적 인상을 고려한 멜 대역 그리고 멜 켑스트럼을 이용하여 각 자음과 모음이 가지고 있는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청각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의 변화를 체계화하여 음성을 음소단위로 분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PDF

20세기 초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A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 한정임;김주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1호
    • /
    • pp.31-38
    • /
    • 2014
  • The current study presents an instrumental phonetic analysi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eoul Korean, based on audio recording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otonghakgyo Joseoneodokbon (Korean Reading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The data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 list of the Korean mono syllables (Banjeol), and a short passage, recorded by one 41-year-old male speaker in 1935, as well as a short passage recorded by one 11-year-old male speaker in 1935. The Korean monophthongs were examined in terms of acoustic analysis of the vowel formants (F1, F2) and compared to those recorded by 18 male speakers of Seoul Korean in 2013. The results show that in 1935, 1) /e/ and /ɛ/ were clearly separated in the vowel space; 2) /o/ and /u/ were also clearly separated without any overlapping values; 3) some tokens of /y/ and /ø/ were produced as monophthongs, not as diphthong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observ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Korean vowels over 80-90 years such as 1) /e/ and /ɛ/ have been merged; and 2) /o/ has been raised and overlapped with /u/.

음성신호 전처리를 위한 에너지 의존 프리엠퍼시스 (Energy-Dependent Preemphasis for Speech Signal Preprocessing)

  • 김동준;박상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2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성문파에 의한 음원 특성과 입술에서 음성이 방사될 때 발생하는 방사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성문파의 음원 특성과 입술에서의 방사 특성은 근사적으로 음파의 에너지와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정규화된 단구간 에너지를 이용하는 에너지 의존 프리엠퍼시스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이용하여 비안정 구간인 발음의 시작 부분과 천이구간에 대하여 음성 신호 분석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제안된 프리엠퍼시스 기법을 이용하여 5개 한국어 단모음의 스펙트럼 및 형성음 주파수 추출 등의 음성 신호 분석을 수행하고, 기존에 널리 이용되던 두 가지 프리엠퍼시스 기법과 성능을 비교하여 본 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한 스펙트럼의 형태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되었고, 보다 더 정확한 형성음 주파수를 나타내며, 인접한 두 형성음 주파수가 증첩되는 현상이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어 단모음의 지각적 모음공간과 심적 표상 (Perceptual Vowel Space and Mental Representation of Korean Monophthongs)

  • 최양규
    •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87-3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ame vowel sounds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two local dialect speakers, Seoul dialect speakers (SDS) and Kyungnam dialect speakers (KDS), whose vowel systems differ each other. In the first experiment SDS and KDS heard vowels synthesized in vowel space with F1 by F2 and categorized them into one of 10 Korean monophthongs. The results showed that SDS and KDS perceived the synthesized vowels differently. For example, /$\varepsilon$ versus /e/ contrast, ${\o}$/, and /y/ are differentiated by SDS, whereas they are perceptually confused by KDS. We also observed that /i/ could not be perceived unless the vowel synthesis included F3 or higher formants. In the second experiment SDS and KDS performed the similarity rating task of 10 synthesized Korean monophthongs. Two-dimensional MDS solution based on the similarity rating scores was obtained for each dialect group. The first dimension can be named 'vowel advancement' and the second 'vowel height'. The comparison of the two MDS solutions showed that the overall psychological distances among the vowels are shorter in KDS than SDS and that especially the distance between /$\Lambda$/ and /i/ is shorter in KDS than SDS. The result suggested that perception or mental representation of vowels depends on the vowel system of the listener's dialect or language. Further research problems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 PDF

4세, 5세, 6세 정상 아동의 한국어 단모음 발달 (Korean Monophthong Development in Normal 4-, 5-, and 6-Years-Olds)

  • 강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9-10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vowels by acoustically analyzing whether children produce Korean vowel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between ages 4 and 6. Methods : A total of 104 children aged 4~6 years (56 males and 48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4, 5, or 6 years old. Vowel speech data was obtained by asking the subjects to pronounce meaningful words in which the vowel in question was located in the first syllable. Speec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ulti-speech 3700 program. Results : Age, gender, and vowel being pronounced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sity.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and the int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children than female children. Neither age, gender, nor the vowel being produced affected the fundamental frequency. The fundamental frequency produced did not differ by age or gender. The first and second formants had considerable effect on age and vowel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and did not have a gender differen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aged 4~6 have similar anatomical structures, but that maturity of speech motor skills required to pronounce vowels was correlated with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children's speech and develop speech therapy programs.

한국어와 일본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을 위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gree of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owels)

  • 권성미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3호
    • /
    • pp.47-66
    • /
    • 2007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degree of phonetic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owels in terms of acoustic features by performing the speech production test on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For this purpose, the speech of 16 Japanese speakers for Japanese speech data, and the speech of 16 Korean speakers for Korean speech data were utilized. The findings in assessing the degree of the similarity of the 7 nearest equivalents of the Korean and Japanese vowel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i/ and /e/ turned out to displa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1 and F2 with their counterparts, Japanese /i/ and /e/, and the distribution of F1 and F2 of Korean /i/ and /e/ in the distributional map completely overlapped with Japanese /i/ and /e/. Accordingly, Korean /i/ and /e/ were believed to be "identical." Second, Korean /a/, /o/, and /i/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F1 or F2, but showed a great similarity in distribution of F1 and F2 with Japanese /a/, /o/, and /m/ respectively. Korean /a/ /o/, and /i/, therefore, were categorized as very similar to Japanese vowels. Third, Korean /u/, which has the counterpart /m/ in Japane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1 and F2, and only half of the distribution overlapped. Thus, Korean /u/ was analyzed as being a moderately similar vowel to Japanese vowels. Fourth, Korean /${\wedge}$/ did not have a close counterpart in Japanese, and was classified as "the least similar vow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