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생활 경험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36초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 (The Experience of Cancer Survivor's Return to Everyday Life)

  • 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7-336
    • /
    • 2020
  •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의 이해를 통해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와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암 치료 후 5년이 경과되어 완치 판정을 받은 19명을 암 생존자 환우회 및 인터넷 카페에 연구목적과 방법을 공지하여 모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18일부터 2월 25일까지로 심층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론적 표출을 시도하였다. 1회 면담 시간은 90분에서 1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인터뷰 이후 불충분한 내용은 추가 면담을 통해 내용을 확인 받았다. 면담 횟수는 1~3회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복귀 경험은 '고달픈 현실', '육체적 소진', '심리적 소진', '경제적 소진'이라는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벗어날 수 없는 현실', '내일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현실'이라는 중심현상이 발견되었다. '가족의 지지부족', '노동 취약계층으로의 이동', '미비한 지원시스템', '사회적 지원체계 희망', '위축된 성', '암/암환자에 대한 편견', '찾기 힘든 완치 이후 삶에 대한 정보' 등의 맥락적 조건에 따라 '적극적 건강관리', '긍정적 경험',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기' 전략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략 수행 과정은 중재적 조건인 '든든한 울타리', '효과적인 암보험'의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는 '새로운 삶 구축하기' 또는 '견디기'로 나타났다. 암 생존자의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일상생활 복귀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과 관련된 포괄적인 정보 제공 및 보건·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며, 향후 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시 암 생존자의 요구를 반영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뇌병변장애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Brain Disorder)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42-552
    • /
    • 2019
  • 본 연구는 뇌병변장애인의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17명이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카이스퀘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는 장애건강 요인, 취업관련 요인, 가구관련 요인으로 구성된다. 첫째, 뇌병변장애인 취업집단은 미취업집단에 비해 중증장애,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일상생활 도움제공자가 없는 경우, 보조도구가 없는 경우, 고학력, 유자격증, 공공취업서비스 경험이 있는 경우, 주변인 취업알선 받은 경우, 직접 구직 문의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배우자, 비수급자, 가족 취업지지가 높은 경우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뇌병변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상생활 도움제공자, 학력, 주변인 취업알선 경험, 배우자, 기초생활보장수급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하여 일상생활, 교육제도, 사회관계망의 강화와 기초생활보장수급제도의 수정에 대해 제시하였다.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용 웹 코스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evelopment of the web courseware for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mildly mental retarded children)

  • 장유순;김창근;김병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51-254
    • /
    • 2002
  • 정신지체학생은 주의 집중의 문제, 느린 학습속도, 기억력, 저조한 흥미와 관심 등으로 인하여 전통적 수업방식으로는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멀티미디어와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집중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개인차가 심한 정신지체학생들에게 개별학습을 함으로써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한 수 있다. 다양한 경험과 생환중심의 교육이 필요한 정신지체아동들이 실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내용을 가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코스웨어나 학습한 후에 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생활중심 코스웨어, 인터넷 환경의 웹 기반 코스웨어 등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멀티미디어와 컴퓨터를 통하여 다양한 경험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학습하여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웹 기반 코스웨어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와 적용 -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on Highschool Student's Daily Life : A Case Study of Migration and Population Change Unit in Highschool)

  • 옥한석;장현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3-5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얻는 지리적 경험에 기초한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교수학습의 실제사례로 고등학교 2학년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대상으로는 강원도 춘천시 C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 2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2개 반 모두 4개반의 122명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교수할 개념들을 체계화된 지식 구조로 교수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재구성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의 지리개념은 상위개념인 이동에서, 기본개념인 이주, 하위개념인 이주 요인으로 위계화하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일상적 지리경험을 알아보았다. 둘째, 지리과 생활 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실제 사례로 학생 자신의 가족 이주사 및 가족수의 변화를 조사하는 과제학습지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형은 암기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반응도 검사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수업내용의 활용성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수업모형에 의한 학습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탐구력 신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노인의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낙상경험유무, 만성질환유무, 거주지역별 비교- (A study on the Fear of falling,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 강기선;양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93-19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정도를 낙상경험유무, 만성질환유무, 거주지역별로 비교분석하여 결과를 지역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낙상방지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J시의 시내 경로당 4곳과 농촌지역 주민 센터 4곳에서 지역 노인 185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15일부터 2016년 9월 17일까지 시행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낙상경험유무별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비교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만성질환유무별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비교에서는 낙상 두려움과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거주지역별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비교에서는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낙상두려움,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낙상두려움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r=-.386, p<.000),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과의 관계는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513, p<.000). 따라서 노인의 낙상두려움을 낮추기 위한 안전한 환경을 마련이 중요함을 인식하여 환경개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낙상관련 필수적인 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되어야하며,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삶의 질이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 이윤신;박성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29-24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문적 지식 습득 외에도 임상실습이라는 상황으로 인해 사회적 노출을 일찍 경험하게 되어 대학생활 적응에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을 향상시키는 일환으로 이에 영향을 주는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4개 간호대학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7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2일에서 3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만족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변수는 대학생활 만족에 대한 경로를 26.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활 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고 셀프리더십,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과과정의 실시가 요구된다.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and Ego 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 임경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217-233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아 탄력성이 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남과 대전의 4-6학년 초등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경험,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및 생활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경험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은 낮았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등학생의 교육과 상담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 Freshmen's University Entrance and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At a crossroads before taking a leave of absence)

  • 최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6-50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의 S대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치고, 현재 휴학을 고려하고 있는 3명의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7월 동안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진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입학 후 학교생활 경험은 무엇인가? 이며, 연구결과 "캠퍼스생활의 설렘과 대학생이라는 이름", "부모의 권유", "안마사 말고 다른 무엇", "누구나 들어가는 곳 인가? 특별한 곳인가?","대중 속의 고독", "모든 것이 장애물","포기한건 아니지만 여전히 애매한 시간 속으로", "또 다시 갈등 시작", "대학재학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한 것". 이라는 10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에 진학한다는 것, 그 의미(범주1), 대학생활 적응과 현실(범주 2), 입학 1년후: 대학 재학의 의미(범주 3)라는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이 시각장애인학생들의 초기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