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산의류 평가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on American Consumers'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원산지 표시가 미국소비자의 한국산 의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Ann Fairhurs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5
    • /
    • pp.704-715
    • /
    • 1994
  • 본 연구는 원산지 표시 (country-of-origin)가 미국 소비자의 한국산 의류상품 평가와 제품 이미지 (product image)에 비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과 원산지 표시의 영향, 의류 상품의 제품이미지와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였다. 미국 전역의 성인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여 284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과 중국, 한국산 의류제품과 중국간 의류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의류와 중국산 의류는 모두 저가의 위신성이 낮고 대량 생산되어 부분처리가 떨어지는 평범한 제품이라고 인식라고 있었다. 한국산 의류는 유행색의 사용이나 유행성에서는 많이 뒤떨어지지 않으나, 위신성과 부분처리에서 특히 낮게 평가를 받았다. 라이프스타일, 점포유형에 따른 쇼핑빈도, 성별, 교육정도, 소득수준, 인종에 따른 제품 이미지 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50세 미만의 연령층이 50세 이상치 연령층보다, 결혼한 사람이 걸혼하지 않은 사람보다(독신, 이혼 등) 좀 더 긍정적인 제품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전업주부의 제품이미지가 더 긍정적이었다. 의류제품이 다주 어떤 제품보다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나타나서, 한국산 의류제품의 이미지 향상은 섬유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산업계와 정부, 단체가 모두 힘을 모아서 노력하여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 PDF

Changes in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toward Korean Apparel Products: A Longitudinal Study (한국산의류제품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인식 변화: 종단적 연구)

  • Yu, H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12
    • /
    • pp.1878-1890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nese consumers' perceptions toward Korean apparel products have changed over the years. Specifically, motives for purchasing Korean apparel products, information sources, purchase criteria and evaluation on Korean apparel products were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in 2002, 2003, 2005, and 2007 from young female Chinese in Beijing, China during the months of June and July. A total of 60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578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wo-way analysis of variance by year and purchase experience indicated that in overall, purchase motives and importance of various information sources changed greatly over the years, while evaluation on Korean apparel products have remained relatively stable. In comparison to the longitudinal changes in Chinese perception toward Korean apparel products,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toward Korean apparel produc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most of variables according to purchase experience.

A Study on Construction of Quick Response Distribution System for Fashion Products in China (중국 패션 유통업체의 시장대응형 프로세스 구축)

  • 염인순;이창호;신용산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51-355
    • /
    • 2003
  • 유행에 민감한 의류업계의 생명은 빠른 대응이다. 특히 중국은 인구가 많고, 국토 면적이 넓어서 동북부와 남부 및 서부지역에서 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온도 차이가 큼으로 하여 같은 시점에서 서로 다른 계절의 의류가 요구되거나 유행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 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특성에 맞추어 중국현지의 의류유통회사(약칭 S사)의 생산과 판매중심의 시장대응형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상품기획에서부터 상품발주, OEM생산, 입하, 배분, 출하, 판매, 실적집계, 판매평가, 보충출하, 보충생산, 히트상품 및 유사품 재발주 등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정보망을 구축하여 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더 빠르고 더 정확한 영업의사결정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Treatment of Tencel Blended Fabrics (Part I) - Surface Structure Analysis and Hand Value Assessment - (텐셀 혼방 직물의 키토산 가공처리를 통한 감성기능 소재의 개발 (제1보) - 표면구조 분석 및 태 평가 -)

  • Park Youn-Hee;Bae Hy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9 no.7 s.144
    • /
    • pp.987-996
    • /
    • 2005
  • For cationization, if chitosan, which has the affinity for a human body and reacts easily without inducing any pollution, is used, cationization of Tencel blended fabrics can be expected and further expansion of its use as a new susceptible material can be expect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a Tencel/cotton and a Tencel/Cotton/PET as Tencel blended fabrics with a Tencel single fabric, the fabric samples were used and processed with chitosan after NaOH pre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thereof, and then its adherent efficiency was enhanced by using a crosslinking agent, and then it was got to be finished with a softener. The fibril of Tencel fabric was controlled by enzyme treatme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got to be smooth. Chitosan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in the form of particles through its processing with chitosan. Chitosan treatment caused little change in the crystal structure thereof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Tencel/Cotton/PET fabric was slightly improved. The total hand value(THV)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due to chitosan treatment was increased in all samples.

Evaluation of Colour Difference Between Cotton Dyed Fabrics and Reflection Print Images Using CAD Systems (CAD 시스템을 이용한 면염직물과 스캐닝 프린트 이미지간의 색차 평가)

  • Kim, Jeong-hwa;Song, Kyung-hern;Baek, Mi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81-1389
    • /
    • 2003
  • 컴퓨터와 첨단영상매체의 발달로 디자인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사용하여 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소프트웨어가 도입되고 있으나 영상정보의 색채 재현성과 영상입출력 장치의 다양화로 인한 색채 불일치에 대한 문제들이 극복해야할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색채 영상정보 입출력장치의 색채구현 성능과 인간의 색채인지 원리이론을 바탕으로 색보정 알고리즘이 발전하여 색보정 엔진의 개발이 국제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 연구사례가 상대적으로 극히 미비한 실정이며, 더욱이, CAD 시스템을 이용한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색 직물의 색을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soft-copy로 재현하고 이것을 다시 hard-copy로 출력하여 물리적 측정치와 주관적 색채 인지도간의 일치도를 비교하고, 물리적, 주관적 색차의 한계치를 제시함으로써,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CAD시스템 운용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 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객관적 측정과 주관적 평가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직물은 7가지 색상의 면 염직물로써,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직물당 5개의 soft-copy를 재현하고, 이것을 다시 hard-copy로 출력하여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물리적 측정(ΔE, ΔL, Δc, Δh)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평가에는 20명의 의류학 전공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에는 분산분석과 Friedman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색차 측정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1차 주관적 평가치 사이의 일치도는 90.5%로 나타났으며, 2차 주관적 평가치와의 rank order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평가에서 피험자들은 색차인지에 있어 CIELAB 색채공간의 각각의 색요소 차이보다는 전체 색차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녹색콩풍뎅이의 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유충의 피해를 받은 금잔디는 황화되거나 시들음 증상이 있었고, 이듬해 봄에는 잔디의 회복이 지연되었다.ic conductivity. The changes of $varepsilon$′ and $varepsilon$" were well estimated with this modified Havriliak-Negami model.05).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성장과 전어체내 지방산조성에 있어서 뱀장어 치어의 사료내 EPA와 DHA의 첨가효과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며, 사료내 LNA (n-3)와 LA(n-6) HUFA을 각각 0.35%, 0.65% 첨가했을 때 WG, SGR, FE, PER이 가장 높았으나, 이전의 실험(Takeuchi, 1980)과 동일한 수준인 n-3와 n-6를 각각 0.5%씩 첨가한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뱀장어 치어의 필수지방산은 LNA (n-3), LA (n-6)이고, 그 적정수준은 각각 0.35-0.5%, 0.5-0.65%임을 보여준다.George W, Bush)가 새로운 지도자로 취임하여 얼마 되지 않은 2001년 9월 11일 사상 초유로 본토에서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 조직에 의해 공격받게 되었다.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빌딩 2개가 완전히 붕괴되고, 펜타곤에 민간 여객기가 충돌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 당하고, 전체적으로 세계 80여 개국으로부터의 6천여 명이 살상되었다. 전 세계와 미국은 국제 테러리스트들의 야만적 행위에 대해 경악하고 이제 미국은 그 대외정책의 최우선순위를 국제 테러를 발본색원하는 것에 두게 되었다. 본 논문은 1998년 한국에서 새로이 출범한 김대중 행정부가 북한에 대해 실시한 포용정책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어떠한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대북 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on the MRSA by the Shake Flask Method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Shake Flask Method와 개량 Shake Flask Method에 의한 키토산의 MRSA 향균성 평가)

  • Choi, Jeong-Im;Jeon, Dong-Won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5 no.1
    • /
    • pp.64-70
    • /
    • 2003
  • Water-insoluble chitosan with molecular weight of 2,000,000, 580,000, 80,000, and 40,000 and more than 90% of degree of deacetylation were prepared to test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gainst a pathogenic bacteri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s experimental method, the Shake Flask Method (SFM) and Modified Shake Flask Method (MSFM) were applic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cetic acid aqueous solution is consistent irrespective of Mw of chitosan. MIC value of SFM measurement was 0.2 ppm, and MIC value of modified SFM measurement was 25 ppm. But MIC value of chitosan/acetic ad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as equally 5 ppm.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 were different in different test measurements employ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acetic acid solution and chitosan treated cotton filter paper were also different. Therefor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the test measurements of anti-microbial activity have some problems.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itosan Treated Fiber Waddings (키토산 가공 솜의 향균성능의 평가)

  • Yoo, Hye-Ja;Lee, Hye-Ja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3 no.3
    • /
    • pp.277-282
    • /
    • 2001
  • The effect of chitosan on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tton, wool and polyester fibers was investigated by shake flask method. Chitosan was treated in 0.1%, 1% and 2% $NaBO_3$ solution to reduce the molecular weight in 4 steps, wadding of cotton, wool and polyester were treated in 0.1%, 0.3% and 0.5% of chitosan solution which were dissolved in 2% acetic acid aqueous solu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fiber wadding treated and untreated by chitosan against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and Stephylococcus aureus were measured by shake flask method. On the untreated waddings, cotton showed better antibacterial activities than wool, but on the treated ones, wool showed better than cott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olyester was better than that of cotton or wool which preserved before and after the chitosan treatment against the three kinds of bacteria. When the chitosan treated cotton waddings was retreated in NaOH aqueous solution, their bacterial activities decreased. After laundering,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treated cotton and wool waddings kept good, but that of the treated polyester reduced by almost half.

  • PDF

Fabric Dyeing with Lichen Parmotrema austrosinence and Improvement of Dyeability by Chitosan Treatment (Parmotrema austrosinence(지의류)를 이용한 직물염색과 키토산 처리에 의한 염색성 향상)

  • Yoo, Hye-Ja;Lee, Hye-Ja;Rhie, Jeo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6
    • /
    • pp.882-889
    • /
    • 2008
  • Three fabrics, 100% silk, nylon and cotton each, were dyed with a lichen dye solution prepared by a fermentation method under conditions of varying dyebath pH and temperature. To verify the effect of chitosan on fabric dyeing, the 100% cotton fabric was treated with a chitosan solution before dyeing. The K/S, CIE $L^*$, $a^*$, $b^*$, ${\Delta}E$ and Munsell values of the dyed samples were measured. Colorfastness of each sample was also investigated. The maximum K/S value was measured at 520nm wavelength for the dyed silk fabric and at 480nm for the dyed cotton and nylon. The K/S values for the dyed silk fabric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 fabrics. The dyed silk fabric showed a red tone on the Munsell color system, and the dyed nylon and cotton fabrics a yellowish red tone. Dye affinity to fabrics was better in a neutral or acidic dyebath. As dyeing temperature increased, K/S values increased for the dyed nylon and cotton fabrics but not for the silk. Dyeability of cotton fabrics could improve by Chitosan treatment. As for most natural dyes, colorfastness of all dyed samples was poor. The silk fabric showed an excellent dry cleaning fastness of Grade 5.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WangDungJae wetland type at Chiri National Park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유형분류와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on;Kim, Yong-Sik;Cha, Yoon-Jung;Lee, Byung-Hee;Ko, Kwan;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4-164
    • /
    • 2000
  •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하여 미국야생생물보호청(US Fish & Wildlife Service)에서 개발한 습지 유형 분류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분류와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왕등재 습지는 계(System), 아계(Subsystem), 강(Class), 아강(Subclass), 수영역(Water Regime), 수문지형 단위 (Hydrogeomorphic Units), 저질/우점유형 (Substrate/Dominants Type)의 계층적 분류체계에 따라 소호소습지생태계(Palustrine wetland system), 정수습지생태계 강, 영속형 정수식물 습지생태계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범주성 수화학(pH 6.1), 산악의 영구적인 초원 수문지형,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사초과와 고랭이속이 우점하는 습지로 분류되었다. 지리산 왕등재 습지와 비교하여 대암산 용늪의 분류체계는 이끼/지의류 강, 이끼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산성의 수화학,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물이끼가 우점하고 관속식물이 혼재하는 유형으로 분류되어 많은 차이가 난 반면, 무제치늪은 매우 유사한 습지유형으로 우점유형(진퍼리새 우점)과 특정 종에서만 차이가 났다.

  • PDF

A Study on the Women's Bodysuit Sleeve Block Construction Using Stretch fabrics (Stretch 소재를 사용한 여성용 Bodysuit Sleeve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 Park Gi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9 no.12 s.148
    • /
    • pp.1535-1545
    • /
    • 2005
  • The study aimed firstly, to develop the women's bodysuit sleeve block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the appropriate pattern reduction rates according to the fabric stretch property. Secondly, the details applied to the bodysuit sleeve block drafting (Dr the educational and industrial usage were proposed. For these, several distinguishing bodysuit sleeve pattern making methods(i.e. Joseph-Armstrong: T1, Shoben & Ward: T2, Esmod: T3 and Mixed Joseph-Armstrong: T4)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at adopt 1) the equally (i.e., T1) and 2) the differently(i.e., T2, T3 & T4) distributed front and back armhole length measurements. Women's sleeve samples were made for the research using the same stretch fabric($50\%\;and\; 70\%$ in wale and course each) to the previous research. A group comprising 5 relevant experts evaluated the fit and comfort features of the samples. Experiments analyzed the appearance of sleeve samples focused on total 13 evaluation parts(including the front/side/back fit tolerance, sleeve centre line, sleeve length, appropriateness of the sleeve appearance balanced with the bodysuit and etc.): and performed the comfort test evaluating three kinds(vertical-front/vertical-side/ horizontal) of arm movements. The most appropriate bodysuit sleeve to fulfil the original aims of the study was suggested.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throughout the study were: 1) the measurements and required reduction rates for the bodysuit sleeve block developed: outer sleeve length (with 1.0 RR), crown height(with 0.7 RR), front and back armhole lengths measured on the bodysuit blocks ($0\%$ ease amount), elbow width(0.9/0.95 RR), wrist girth measurements(from $12\%\;to\;18\%$ tolerances can be given to): and 2) the differently distributed front and back armhole length measurements resulted in the better fit and comfort through th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