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건설

검색결과 22,307건 처리시간 0.043초

현행 지목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지목의 설정과 변경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Improvement Method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nd Category System - Focused on Land Category Classification and Conversion Cases -)

  • 최대집;신만중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67-80
    • /
    • 2022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실제 토지이용현황과 지적공부상 지목 불일치에 대하여 지적소 관청인 시·군·구청의 행정적·관리적 입장에서의 법률적 한계와 토지소유자 등 민원인의 입장에서 지목제도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공부를 등록·관리하는 법령에서 토지의 용도에 따라 지목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와 토지의 용도와 이용을 제한하는 법률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법률에 의하여 지적공부상 지목과 현실에서의 사실 지목이 불일치하는 상황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지목의 통폐합과 세분화를 통한 지목체계 개편방안과 지목제도 운영에 있어서 지목설정 단일화와 지목변경 대상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토지소유자 등 국민의 재산권행사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법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횡등방성 암석에서 겉보기 탄성정수의 방향성 변화와 탄성정수 제약조건 (Directional Variation of Apparent Elastic Constants and Associated Constraints on Elastic Constants in Transversely Isotropic Rocks)

  • 이연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3호
    • /
    • pp.150-168
    • /
    • 2023
  • 암석의 이방성 거동은 조암광물들의 방향성 배열과 미세균열의 분포 특성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퇴적암과 변성암은 횡등방성 강도 및 변형 특성을 또렷이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암석역학적 설계과정에서는 횡등방성 암석의 변형 및 파괴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횡등방성 암석의 변형은 실내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5개의 독립된 탄성정수를 이용하여 기술된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에 보고된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횡등방성 암석의 겉보기 탄성정수의 방향성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임의 방향으로 회전된 직각좌표계에서 겉보기 탄성정수 값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Mehrabadi & Cowin의 구성방정식을 도입하였다. 문헌에 보고된 4개 횡등방성 암석을 선택하여 연약면의 방향 변화가 겉보기 탄성계수, 겉보기 전단 탄성계수, 겉보기 포아송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탄성정수 제약 조건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약 조건식을 만족하면 횡등방성 암석에서 겉보기 탄성정수의 방향성 변화는 직관적으로 예측되는 경향과 일치하게 된다.

운전자 인지도를 고려한 연속류 혼잡도 표출기준 (Freeway Congestion Information Display Criteria Considering Drivers' Recognition)

  • 조순기;김형수;이청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11-617
    • /
    • 2009
  • 다양한 첨단장비의 도입과 함께 도로의 실시간 소통 정보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도로의 관리자에게도 필수적인 정보로 자리 잡고 있다. 혼잡정도를 표현하는 기존의 방법은 소통원활/서행/정체 등 3단계로 관리자 측면의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각 단계를 구분하는 값들이 달라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상황을 표현하는 기존의 3단계 혼잡기준에 대한 운전자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운전자 설문으로부터 적정 교통상황 표현 단계수 및 기준 통행속도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속류인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운전자에게 다양한 소통상황에 대한 녹화 동영상을 보여주고 혼잡판정 단계와 통행속도 기준 값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운전자들은 고속도로의 현 3단계 혼잡판정보다 세분화된 4단계 혼잡판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단계별 표현 용어는 정체, 지체, 서행, 원활이 선정되었다. 4단계 혼잡판정에 대한 통행속도 경계는 22km/h, 48km/h, 74km/h로 분석되었고, 현실적인 운영을 위해 20km/h, 50km/h, 75km/h를 단계별 경계 기준 값으로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속도로 교통정보 제공기관들에게 보다 세분화된 혼잡판정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통정보 제공시 운전자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 박민규;유철상;김현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37-1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하여 측우기자료와 현대자료를 비교하였다. 측우기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빈도해석에서 필요한 특정지속기간의 연최대치 계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관측기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호우사상 개념을 이용해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작성하였다. 연최대호우사상은 이변량지수분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모수 추정을 위해 연도별 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절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연도별 모수를 이용할 경우의 결과가 모수의 경년별 변동성이 연강수량의 변동성과 비교해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독립호우사상을 비교한다면 현대기록이든 측우기기록이든 강우지속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현대보다는 측우기 관측기록의 경우가 총강우량과 강우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최대 호우사상의 비교에서는 측우기에 비해 현대의 경우가 강우지속기간이 현격하게 길어지면서 강우강도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총강우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최대호우사상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현대관측기간 동안에는 강우지속기간과 총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측우기 관측기록과 비교시에는 일정한 주기성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간 BIS자료를 이용한 간선도로의 버스도착시간 예측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Predictive Modeling of the Bus Arrival Time on the Arterial using Real-Time BIS Data)

  • 김태곤;안현철;김승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9
    • /
    • 2009
  •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은 지능형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의 일환으로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의 버스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첨단대중교통시스템의 하나이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지역인 울산광역시를 포함하여 버스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아직 적정의 버스도착시간 예측모형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버스위치, 이용자들의 버스 기다리는 시간, 버스 도착시간 등의 보다 정확한 버스정보가 버스 이용자들에게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간선도로에 대해 실시간의 버스교통특성 자료를 조사하여 버스운행특성을 확인하고, 연구대상구간을 버스 정류장, 교차로 및 순행구간의 단위구간으로 세분하여 각 단위구간에 대해 지수평활법, 가중평활법 및 Kalman Filter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단위구간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구축하며, 마지막으로 버스정류장에서 실시간의 버스도착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통합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HEC-HMS와 HEC-RAS를 이용한 댐 붕괴 해석 (Dam Break Analysis with HEC-HMS and HEC-RAS)

  • 홍승진;김수전;김형수;경민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B호
    • /
    • pp.347-35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EC-HMS와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소양강댐에 가능최대강수량이 발생하여 소양강댐이 붕괴할 경우 두 모형간의 소양강댐 직하류의 유출량을 산정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가능최대강수량은 태풍 루사의 호우사상을 사용하여 강릉지역의 면적별평균강우량과 수분최대화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능최대강수량은 지속시간(6 hr, 12 hr, 18hr, 24 hr)별로 각각을 비교하였으며, HEC-HMS 모형의 입력자료로 이용하였고, HEC-HMS로 산정되어진 유입량자료를 HEC-RAS에서의 유입량 자료로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두 모형의 댐 붕괴 조건은 동일하게 입력하였으며, HEC-HMS 모형으로 산정되어진 첨두유출량은 HEC-RAS 모형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HEC-RAS와 HEC-HMS의 댐 붕괴 해석을 이용해 두 모형의 적용성을 판단하였는데, HEC-HMS 모형보다는 HEC-RAS 모형이 댐 붕괴 해석에 대한 적용성에서 보다 실제에 가까운 모의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HEC-HMS 모형은 자료 구축이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신속한 댐 붕괴 모의를 필요로 할 때 적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두 모형의 경우 댐 붕괴 해석에 대한 정확한 자료와 함께 각기 다른 붕괴해석 개념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생성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두 모형이 모두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자세한 지형인자와 실제 하천과 비슷한 자료의 구축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서울지점 강우자료와 기후지표자료에 나타난 동아시아 기후의 종관적 변화특성 (Synoptic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 Climate Appeared in Seoul Rainfall and Climatic Index Data)

  •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건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B호
    • /
    • pp.409-4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ree-ring width 지표자료, 태양흑점수, 남방진동지수(SOI) 및 지구온도 아노말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울지점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정확도를 가늠해 보았다. 그리고 한반도 인근지역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과거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상관성과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측우기 강우량 자료는 다른 비교분석 대상 자료들과 경향성과 변화심도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반도 주변 6개 지점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분석결과, 장기적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는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상관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에는 장주기적인 재현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 이후의 기후변화 특성은 통계적인 거동특성이나 변화폭이 과거의 재현사상의 한계를 넘지는 않으나 과거와는 다른 경향성과 불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현주기도 짧아지고 있어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거자료에 근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장기 예측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랑천 유역에서의 VfloTM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of VfloTM Model In Jungnang basin)

  • 김병식;김보경;김형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B호
    • /
    • pp.503-512
    • /
    • 2009
  • 물 순환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수문모형은 크게 분포형 모형과 집중형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형 특성 자료의 제공과 활용을 위한 시스템이 등장하고 컴퓨터 계산 능력이 발달하면서 과거 집중형 모형에서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연구와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개념적, 경험적 의미가 큰 집중형 모형과는 달리 분포형 모형의 경우, 격자 기반의 유역 특성 및 강우 자료로부터 초기 매개변수 값(first-guess value)을 추정하기 때문에 모형 보정 시 미세한 매개변수 조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모형 내 구성된 매개변수별 특성과 민감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TM}$모형의 매개변수별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랑천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경기도, 1996)을 참고하여 재현기간 100년에 지속시간 6시간 설계강우를 작성하고, 이로부터 각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수리전도도는 유역 전체의 유출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표면 조도계수는 첨두 발생시간의 변화없이 첨두유량값 즉, 수문곡선의 형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하도 구간의 조도계수는 비슷한 유출고에 대하여 첨두유량값과 도달시간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수준별 배합특성 (Properties of Mixing Proportions with Compressive Strength Level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 최연왕;정재권;정우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A호
    • /
    • pp.163-16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수준의 강도 변화에 따른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콘크리트의 유변학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 평가하기 위하여 석회석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를 2성분계 및 3성분계 배합으로 제조된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30 MPa급의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품질확보, 강도 및 점성 조절용으로 석회석 미분말 20% 및 플라이애시 30% 배합이 요구성능을 만족하였으며, 50 MPa급의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및 플라이애시 20%를 사용한 배합이 소요의 유동 및 강도 특성을 만족하였다. 또한 분체량이 많은 70 MPa급의 경우 유동성 향상 및 점성 감소용으로 고로슬래그 20% 및 플라이애시 10% 배합이 요구성능을 만족하였으며, 모든 배합에서 플라이애시의 사용이 점성확보 및 시멘트 절감효과를 위하여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압축 강도수준별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2성분계 배합의 경우 보다 플라이애시를 포합한 3성분계 배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접이식 웨지 장착 강관네일의 현장 인발시험 및 3차원 유한요소해석 (Field Pull-out Test and 3-D FEM Analysis for Steel Pipe Nailing Installed Foldable Wedge)

  • 권교근;최봉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C호
    • /
    • pp.313-3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접이식 웨지를 장착한 강관네일의 거동 특성 평가를 위해 현장인발시험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접이식 웨지를 장착한 강관네일의 현장인발시험 결과 접이식 웨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30% 정도의 인발 저항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강관네일의 합리적인 인발거동 분석을 위해 3차원 수치해석에서는 접이식 웨지가 장착 되지 않은 강관네일의 역해석을 통하여 현장 인발거동과 일치하는 네일과 지반사이의 마찰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접이식 웨지가 장착된 강관네일의 해석에 도입하여 그 거동을 분석하였다. 시행착오를 통한 역해석 결과 그라우트와 지반 사이의 마찰계수(${\mu}$)는 약 1.2 정도가 발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강관네일의 극한인발저항력은 $$T_L{\sim_=}32$$ tonf으로 접이식 웨지가 장착되지 않은 네일의 $$T_L{\sim_=}24$$ tonf 보다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현장인발시험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