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noptic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 Climate Appeared in Seoul Rainfall and Climatic Index Data

서울지점 강우자료와 기후지표자료에 나타난 동아시아 기후의 종관적 변화특성

  • 황석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유철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정건희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Received : 2009.04.01
  • Accepted : 2009.07.23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Chukwooki rainfall data in Seoul by comparing with tree-ring width index data, sunspot numbers, 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and global temperature anomaly. And it was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climatic change and change characteristics in past north-east asia by comparisons of tree-ring width index data in near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hukwooki rainfall data has the strong reliance since the trends and depths of change are very well matched with other comparative data. And with the results by compared with tree-ring width index data in six sites of near Korea, climates of north-east asia are changed with strong correlations as being temporal and spatial and longterm periodic possibility of reproducing are exist on those changes. However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post 1960 A.D. are investigated as represented differently to past although statistical moving characteristics or changing criterion are within the limitations of reproducing phase in the past since they represent the different trends and irregularity and their frequencies are incr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widely used on long-term forecasting for climate change in north-east asia.

본 논문에서는 tree-ring width 지표자료, 태양흑점수, 남방진동지수(SOI) 및 지구온도 아노말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서울지점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정확도를 가늠해 보았다. 그리고 한반도 인근지역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과거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상관성과 변화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측우기 강우량 자료는 다른 비교분석 대상 자료들과 경향성과 변화심도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어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반도 주변 6개 지점의 tree-ring width 지표자료와의 비교분석결과, 장기적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는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상관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에는 장주기적인 재현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 이후의 기후변화 특성은 통계적인 거동특성이나 변화폭이 과거의 재현사상의 한계를 넘지는 않으나 과거와는 다른 경향성과 불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현주기도 짧아지고 있어 과거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거자료에 근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북아시아 기후변화 장기 예측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1998)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변동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4권, 제3호, pp. 390-396.
  2. 구경아, 박원규, 공우석(2001) 한라산 구상나무(Abies koreana W.)의 연륜연대학적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변동 분석 -. 한국생태학회지, 한국생태학회, 제24권, 제5호, pp. 281-288.
  3. 국립기상연구소(2004) 기후변화협약 대응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기술 개발(III), 국립기상연구소 보고서, MR040C03, pp.510.
  4. 김기욱, 유철상, 박민규, 김현준(2007) 강우빈도해석에서의 측우기 자료의 유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1호, pp. 851-859.
  5. 박원규, Yadav, R.R. (1998) 소나무 연륜을 이용한 한국 중서부의 5월 강수량(A.D. 1731-1995)복원,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4권, 제3호, pp. 460-465.
  6. 유철상, 김보윤, 노재경(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07-314.
  7. 유철상(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장기 건조기의 재현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 519-526.
  8. 유철상, 류소라(2003) 서울지점 가뭄의 재현 및 지속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561-573. https://doi.org/10.3741/JKWRA.2003.36.4.561
  9. 이병설(1970) 서울의 연강수량 및 하기강수량의 Normality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5권, pp. 11-14.
  10. 전종갑, 문병권(1997) 서울 지역 강수량과 강수일의 관계, 1770-1907,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0권, 제4호, pp. 487-505.
  11. 전종갑, 문병권(1997)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복원과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3권, 제4호, pp. 691-707.
  12. 정현숙(1999) 서울 지역 강수량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 해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9-118.
  13. 정현숙, 임규호, 오재호(1999) 서울 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 해석,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5권, 제3호, pp. 354-371.
  14. 최종남, 류근배, 박원규(1992) 아한대 침엽수류 연륜연대기를 이용한 중부산간지역의 고기후 복원, 한국제4기학회지, 한국제4기학회, 제6권, 제1호, pp. 21-32.
  15. Arakawa, H. (1956) On the secular variation of annual total of rainfall at Seoul from 1770 to 1944. Archives for Meteorology, Geophysics, and Bioclimatology, Vol. 7, No. 2, pp. 205-211.
  16. Kim, J.W. and Ha, K.J. (1987) Climate changes and international fluctuations in the monthly amounts of precipitation at Seoul.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3, pp. 54-69.
  17. Kang, I.S. and Jeong, Y.K. (1996) Association of interannu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with principal models of Pacific SST.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32, No. 3, pp. 339-345.
  18. Lim, G.H. and Jung, H.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at Seoul, 1771-1990.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8, pp. 125-132.
  19.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www.ncdc.noaa.gov/paleo/treering.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