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강

검색결과 2,071건 처리시간 0.05초

통계분석 및 수질지수를 이용한 남한강 하류 유역의 수질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Reaches Namhan River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and Water Quality Index (WQI))

  • 조용철;최현미;류인구;김상훈;신동석;유순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4-127
    • /
    • 2021
  • Water pollution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is getting worse due to drought and a decrease in water quantity due to climatic changes and hence i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Paldang Lake. Accordingly, we have used a water quality index (WQI) and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the main causes of water pollution, and tributaries that need priority management. Typically, 10 items (WT, pH, EC, DO, BOD, COD, SS, T-N, T-P, and TOC) were used as the water quality factor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matrix of data was set as 324 × 10·1. The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P with a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r=0.700, p<0.01). Furthermore,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water quality were T-P and organic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water by rainfall. Based on the Mann-Kendall t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H was observed in SH-1, DL, SH-2, CM, and BH, along with an increase in WQI in SH-2 and SM. BH was identified as a tributary that needs priority management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with a "Somewhat poor" (IV) grade in T-P, "Fair" grade in WQI, and "Marginal" grade in summer.

북한강 수계에서 Dolichospermum의 유전생태학적 특성 연구 (Ecogenetical Characteristics of Dolichospermum in Bukhan River)

  • 유미나;변정환;백준수;윤석제;유순주;변명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34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occurrence pattern of Dolichospermum (= Anabaena) in the Bukhan river from March 2012 to December 2014 in order to identify the genotypes of Dolichospermum. Furthermore, 16S rRN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genotypes of Dolichospermum that occurred in 2015 which were then compared to the reference sequence deposited at NCBI. During this period, the occurrence of Dolichospermum was highly correlated to water temperature. In the year 2012 and 2013, Dolichospermum appeared in Lake Cheongpyeong (CP), Sambong (SB), and Lake Paldang (P2) between July and August. However, in 2014, it appeared in SB and P2, but not in CP. This reduction in appearance was attributed to the decreased inflow to Lake Uiam as a result of low rainfall in 2014 as compared to 2012. In July 2015, the Dolichospermum 16S rRNA genotype was confirmed in five locations; Lake Cheongpyeong (CP), Seojong (SJ), Songchon Sewage Treatment Plant (SC), Joan (P4), and Lake Paldang (PD). Anabaena crassa of spiral clone, A. planctonica of linear clone, and A. circinalis of spiral clone exhibited high genetic similarity with the reference sequence. The 16r RNA genotype showed approximately 3 % sequence variation between the locations and were more similar to each other in locations that were closer.

한강 하구 하도의 변동과 주운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variation of the river bed and the possibility of inland navigation in the Han river mouth)

  • 김원;반채웅;김명환;이두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2-122
    • /
    • 2023
  • 한강 하구는 조석의 변화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한 하상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더불어 남북간 군사상황으로 인해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이며, 이로인해 그동안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자연상태로 남아있다. 남북관계의 상황변화에 따라 그동안 한강 하구의 개발이나 보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고, 그 중 뱃길 복원에 대한 이야기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규모의 선박이 얼마동안 운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공릉천 합류부 구간에 대한 주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하상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조석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지점별 수심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수로를 분석하였다. 선박 규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흘수와 수심을 이용하여 대상 구간에서 운행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수로가 안정적이지 않음을 하상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대상구간에서 조석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수심과 선박 규모에 따른 필요수심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형 선박의 상시적 운행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규모 선박의 경우에도 연간 운행 가능시간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추정하는 것보다 상업적인 대규모 주운의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구간의 하상변동도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10년, 20년 동안의 장기적인 변화 뿐만아니라 1년 사이의 단기적인 변화도 크게 나타나 안정적인 수로 확보는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강 하구에서는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조차가 큰 조석영향에 의해 하상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Space Syntax를 이용한 한강이남 자전거도로망의 접근성 분석 (A Study on the Accessability of the Bikeway Network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Using Space Syntax)

  • 오충원;임동욱;김현진;박준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7-110
    • /
    • 2012
  • 서울시 간선축자전거도로의 경우 한강변을 중심으로 축이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가 많은 한강변 주변에 거주자들의 이용이 높은 반면, 도심지역 거주자들의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도는 낮다. 이는 한강변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자전거도로와 도심지역의 자전거도로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시설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만이 아닌 서울시 자전거도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이남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강이남지역의 공간구조를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하여 현재 및 자전거간선축설치계획 후와 일반도로설치 후를 비교하여 강서 강동지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분석방법은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한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서 강동지역간 자전거도로 연결 시 한강이 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은 향상하였으나, 공간구조명료도($R^2$)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에 비해 지역 전체에 예측률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한강이남자전거도로와 간선축 설치계획안 일반도로설치안 비교 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공간구조명료도를 나타내어 자전거도로가 지역 간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인 도로형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종간 자연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pseudosericeus and R. notatus in Sangcheon Stream of the Han River, Korea)

  • 곽영호;김근용;김근식;송하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75-285
    • /
    • 2020
  •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2개체를 채집하였다. 자연잡종 개체의 체색은 황갈색으로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지만, 전반적으로 떡납줄갱이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계수 및 계측형질에서 등지느러미 기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종렬비늘 수의 3가지 형질은 hybrid index (HI) 값이 0으로 나타나 떡납줄갱이의 형질을 따랐다. 체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4.6), 뒷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5.3), 배지느러미 기점 거리 (HI =77.6)는 한강납줄개의 형질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파수(HI=55.3), 체장에 대한 체고(HI=67.9), 두장에 대한 문장(HI=43.4), 양안간격(HI=44.8)의 4가지 형질은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형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가지 형질은 0과 100 사이를 벗어나 잡종개체만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냈다.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분석결과 잡종개체는 부모종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 자연잡종으로 판별되었으며, cytochrome b gene (COB)를 분석한 결과 한 개체는 한강납줄개를 모계로, 또 다른 한 개체는 떡납줄갱이가 모계로 나타났다.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 박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9-166
    • /
    • 2004
  • 한강 하구의 염분 및 생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하구의 염분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염분과 연관하여 동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및 어류플랑크톤의 분포를 논의하였다.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고려할 때 인천북항 주변 해역은 계절에 무관하게 연중 한강 유입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담수 유입량이 많은 하계에는 팔미도 해역까지 담수 영향권이 확대되었다. 반면 해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한선은 한강 본류인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수중보에 이르며, 해침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역은 이보다 더 하류인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로 판단된다. 동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담수 및 해수 지역에서 혼재되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분포 범위보다 훨씬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기수성 어류플랑크톤은 매우 제한된 수역에 분포하는 반면, 성어는 그 분포범위가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 환경의 문제점은 1)한강 하구 및 유수지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환경 파괴, 2)갯벌 매립에 의한 조간대 상실, 3)군사용 철책에 의한 육수전이환경(陸水轉移環境)의 생태적 단절이 매우 심각하였다.

  • PDF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 노백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4-354
    • /
    • 2007
  •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화상센터에서 치료한 괴사성근막염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Necrotizing Fasciitis in Burn Center)

  • 김의명;전진우;김영민;윤재철;임해준;조용석;김도헌;허준;전욱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6-70
    • /
    • 2019
  • Purpose: The necrotizing fasciitis is a terrifying infectious disease that can rapidly spreads to surrounding tissues when fascia is infected and it can cause sepsis to death if not properly diagnosed and tre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causes, and treatment methods of necrotizing fasciitis in Korea through reviewing patients admitted to our burn center. Methods: 21 patients with necrotizing fasciiti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those inpatients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admitted to Hallym University Hangang Sacred Heart Medical Center from Jan 1, 2008 to June 30, 2019. The medical records and wound photos of those 21 selected subjects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ere 13 male and 8 female patients and mean age was 58.76 years old. 13 of 21 subjects were survived and 8 died (38% mortality rate). The surgical treatments performed were I&D, fasciotomy, debridement, allograft, burring, STSG, flap, and amputation. The most common causes were burns in 9 subjects (6 contact burns) and cellulitis occurred on skins in 5 subjects. And other various causes were observed as fournier's gangrene, stab wound, intramuscular injection, tumor and bleu toe syndrome (toe necrosis). The infected areas were 11 feet and legs, 7 hips, 3 abdomen and trunk in 21 subjects. Of the 8 deaths, 3 were infected in feet and legs, 2 were infected in hips, and 2 were infected in abdomen and trunk. As for underlying diseases, 12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were the highest and others such as cancer and stroke were found. Conclusion: The only metho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is to 'suspect' the disease as much as possible and perform early extensive excision. It is advisable to treat the disease by the burn center to properly provide adequate and optimal wound management, infection control, medical care and nutritional supports.

화상환자에서 발생한 췌장염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Investigation Study of Pancreatitis Developed in Burn Patients)

  • 조기원;전진우;김영민;윤재철;임해준;조용석;김도헌;허준;전욱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14
    • /
    • 2019
  • Purpose: To find progression and prognosis of pancreatitis developed in massive burn patients through retrospective analysi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32 patients with abnormal increase of serum lipase level among 2523 acute burn patients admitted to our burn center from January 1, 2017 to June 30, 2018. Pancreatitis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a serum lipase concentration level that is higher than 180 IU/L which is three times more than the normal level (less than 60 IU/L). In this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serum lipase level higher than 300 IU/L to better understand causality of burns and pancreatitis. Results: 32 patients (1.27%) had serum lipase level higher than 180 IU/L among 2523 acute burn subjects. And 13 patients (0.52%) of these 32 patients had serum lipase level elevated more than 300 IU/L. The study indicated serum lipase level was increased around 7 days after the injury. It returned to normal level early as after 1 to 2 weeks and late as after 4 to 6 weeks of injury. The serum amylase level was increased as similar modality as to the serum lipase level increase. The serum bilirubin, AST, ALT, LD, and GGT were also observed to be elevated when serum lipase was more than 1000 IU/L. Conclusion: The pancreatitis developed in burn patients are mostly as mild symptom. It could due to the ischemic injury and can easily be treated by a temporary fasting, TPN, and Gabexate intravenous injection.

중증 화상환자에서 다약제내성그람음성균의 Colistin 치료 (Intravenous Colistin Therapy for Multidrug-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in Major Burn Injuries)

  • 조기원;윤재철;전진우;김영민;임해준;김도헌;허준;전욱;조용석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ute Kidney Injury Network (AKIN)-defined nephrotoxicity in patients undergoing intravenous colistimethate sodium (CMS) therapy for major bur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burn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48 h of intravenous CMS between September 2009 and December 2015.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institution's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Patients assigned to the developed nephrotoxic group experienced aggravation of current AKIN stage during CMS treatment; those assigned to the non-nephrotoxic group experienced no change in current or exhibited improved AKIN stage during CMS therapy. Results: A total of 30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KIN stage: AKIN 0 (n=152); AKIN 1 (n=6); AKIN 2 (n=9); AKIN 3 (n=139). The baseline creatinine (Cr) level was 0.73 mg/dL.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was 50.3% according to AKIN stage; overall mortality was 45.8%. The non-nephrotoxic group consisted of 127 (74.7%) patients and 43 (25.3%) were in the developed nephrotoxic group. In patients requir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baseline Cr level was 0.83 mg/dL, pre-CMS Cr level was 1.17 mg/dL, and post-CMS Cr level was 1.34 mg/dL. Conclusion: CMS can be administered without signs of nephrotoxicity for a certain period (approximately 1 week), it can be used relatively safely for 2 weeks. Application of CMS is a reasonable option for treating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 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in patients with major burns. Th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neverthe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