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중단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42초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중단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3-5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 이전의 생활, 학업중단의 원인과 과정,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과 지원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10명과 2018년 12월 8일부터 23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0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31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 주제들을 3개 영역의 10개 주제 묶음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재학 중 고단한 학교생활과 답답한 분위기 속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교사의 지도와 틀에 박힌 수업을 받는 것에 힘들어하거나 비행경험과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우, 교사, 가족 관계가 좋은 학업중단자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학업중단자들은 원만하지 못한 관계로 인하여 힘들어 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학업중단을 선택하였다.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이 학업중단을 처음 생각한 시기는 매우 이른 경우도 있었으며, 학업중단 절차는 비교적 쉽게 진행되며, 그 과정에서 학업중단숙려제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교를 그만둘 때 개인에 따라 다양한 심정이었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만족하는 자도, 후회하거나 아쉬워하는 자도 있었으며, 학업중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자도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업중단 이후 아르바이트나 검정고시 준비 등을 하며 열심히 생활하고 있었다. 그들은 학업중단 후 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다양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자기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복교에 대한 성공기대는 낮았다. 또한, 그들은 주변이 학업중단을 이해해주고, 믿고 지켜봐주길 바랐다. 현재 학교 밖의 여러 기관에서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들을 위해 다양한 정보 제공, 직업체험 활동, 상담 복지 등에 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청소년의 개인사회적요인과 중단후 경험에 대한 연구 (Individual, Social Factors, and Experience after School Dropout: Differences between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Dropout Youth)

  • 김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6-226
    • /
    • 2012
  •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중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들의 주요 개인, 사회요인들을 비교하고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전국 209명의 남녀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은 성별, 연령, 지적장애, 노동여부, 친부모동거와 거주지역이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사회요인에서는 소속기관, 복학경험, 검정고시합격이 유의미했다. 학업중단후의 경험에는 각 경로, 학업중단 시점, 학업중단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차가 있었는데 비행집단이 더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집단의 직업교육욕구와 비행집단의 복학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비행집단과 일반중단집단에는 개인사회적 요인과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의 차이에 근거하여 대상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개입과 정책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과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방청소년에 대한 개입방안과 대응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전국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중단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업중단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탐색,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의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dropping out: Focusing on the change pattern of dropout, changes in school violence and school counseling.)

  • 권재기;나우열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209-234
    • /
    • 2017
  • 본 연구는 학업중단의 원인을 학교로 보고,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이 학교마다 학교특성과 학업중단의 영향요인이 다를 것으로 보았다. 이에 학교에 초점을 맞춰 전국 고등학교의 학업중단 추세를 확인하고, 고등학교 학업중단의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을 종단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유형별로 학교의 일반적 특성을 예측하고,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학교폭력, 학교상담)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서 학업중단에 대한 학교의 장기간의 노력과 결과를 되짚어 보았다. 이를 위하여 KERIS EDSS의 "중등학교 정보공시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 고등학교의 5년 간 자료를 최종 모형에 투입 분석하였다. 연구는 네 가지 목적에 의해 수행되었고,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의 학업중단에 대한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전국 고등학교의 학업중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교의 학업중단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을 성장혼합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학업유지형, 학업중단감소형, 학업중단지속형과 같은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도출된 유형별 학교의 일반적 특성을 다항로지스틱 분석으로 예측한 결과에서는 국공립일수록, 전문계고일수록, 국영수 기초학력미달 학생 수가 많을수록 학업중단지속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전체학생 수가 많을수록 학업유지형이나 학업중단감소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세 유형별로 학교폭력과 학교상담의 변화추이를 다 집단 성장혼합모형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특히 학업중단감소형의 추이가 주목된다. 학업중 단감소형은 초기에 높았던 학교폭력 심의건수와 가해학생 수가 시간이 지날수록 매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와 함께 학교의 전문상담교사 배치수를 매년 늘리고, 또래상담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이 초기 학업중단이 가장 높았던 고등학교가 학업중단감소형 학교가 된 이유일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 학업중단의 가족 및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Family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 손충기;배은자;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04-2513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밝혀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을 예방 혹은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으려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시 상담센터에 접수된 120명의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족 구조적 요인으로서 가정경제수준과 결손가정은 가족유대감과 일탈친구 요인을 매개로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심리적 요인으로서 가족갈등은 학업중단의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며, 가족유대감은 일탈친구와 무단결석 요인과 결합되어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서 무단결석은 가족유대감과 일탈친구, 일탈친구는 가족유대감과 무단결석 요인을 매개로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은 주로 가족심리적 요인으로서 가족유대감과,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서 일탈친구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의 개선 혹은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오정아;변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5-136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의 학교적응을 강화시킬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다문화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고, 현상학적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기의 가족', '학교부적응', '차별과 갈등', '학교폭력 피해', '학업중단 위기', '학업중단 숙려제도 미작동', '학교를 떠남' 등 7개 대주제와 19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문대학생 학업중단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The Status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dropouts)

  • 김재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9-390
    • /
    • 2012
  • 대학생이 학업중단에 이르는 과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관한 연구는 초기에 학업중단을 예방할 수 있게 해주며, 각 단계에서의 다양한 개입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업을 포기하는 전문대학생의 실태와 현황, 학업중단의 문제를 요인 분석하기 위하여, K대학의 중도탈락에 관한 실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그 개선안을 제시하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학업중단 위기학생 관리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Students at Risk of Dropout using Machine Learning)

  • 반재훈;김동현;하종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255-1262
    • /
    • 2021
  •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대학은 학업중단을 막기 위하여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위험요소의 단변수 분석을 통해 위기학생을 관리하고 있어 예측이 부정확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업중단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학업중단 예측을 위해 머신러닝 방법을 통해 다변수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다양한 예측방법별로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최적화 방법을 도출하고 학업중단을 발생시키는 위험요소간의 연관성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지방 사립대학교 재학생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A Relationship of Learning flow and Dropout in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aption)

  • 명성민;이홍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1-28
    • /
    • 2015
  • 본 연구는 지방대학교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충북소재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확증적 요인분석, Baron and Kenny 의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검정을 적용하여 학습몰입과 학업중단에 있어 대학생활적응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이 낮게 나타나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들 중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은 학습몰입과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며, 대학환경적응은 완전매개 하였으며, 개인-정서적응은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고 매개변인인 대학생활적응을 증가시켜 학업중단을 낮추기 위한 학교의 지원과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School Dropout)

  • 노승현;정재민;최은지;김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84-6594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구성하는 잠재적 변인과 각 변인의 조작적 정의에 입각한 문항들을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개발 및 수집하였다. 또한 학업중단 청소년을 경험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의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10요인 4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일 요인으로 묶인 문항들의 내용을 반영하여 외적태도, 내적태도, 부모태도 등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학업중단 위험성 척도는 청소년과 교사들에게 학업중단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University Students' Halting Their Academic Studi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ampus Life)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78-387
    • /
    • 2011
  •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 대학생들의 학업을 중단하게 되는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동기를 낮추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변인, 자긍심, 교육서비스, 가정환경, 개인흥미, 학업능력 등으로 도출되었다. 개인흥미요인과 자긍심이 학업중단여부에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 분석에서는 자긍심, 교육서비스, 개인흥미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 고려자와 비고려자 두 집단 간에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차원에서 학생들의 모교에 대한 자긍심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는 구체적인 노력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