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 몰입도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4초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사이버 가정학습 몰입 모형에 관한 연구

  • 백현기;하태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1-375
    • /
    • 2007
  • 본 논문은 국내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학습자 몰입을 형성하는 조건과 몰입, 그리고 학습 성과에 대한 영향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탐구를 위해 Csikszentmihalyi(1990)의 몰입이론(flow theory)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으며, 컴퓨터 매개 환경(Computer-Mediated Environment)에서의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 수강자 310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 학습자의 몰입은 '즐거움', '원격현존감', '주의집중', '관여', '시간왜곡'의 5가지 하위구인으로 정의하였고, 몰입 선행 조건은 학습에 필요한 '기술'과 과제수행의 '도전' 정도에 대한 개인의 인지도의 차이로 정의되었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사이버가정학습 몰입측정 도구(Cyber-class Flow Measure)를 활용하였으며, 실제 몰입도 측정 후 몰입도가 높은 학습자 집단과 낮은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사이버가정학습 몰입도는 학습만족도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 PDF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Flow in Web-based Credit Education)

  • 이명근;김형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57-259
    • /
    • 2011
  • 본 연구는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효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웹기반 신용교육에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으로 정리하고, 몰입수준, 학습효과간에 어떠한 인과적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이 몰입수준, 학업만족도, 학습전이도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 영향요인으로 정리된 자기효능감, 상호작용성, 프로그램 유용성은 모두 몰입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 영향요인 중 상호작용성과 프로그램 유용성은 몰입수준 촉진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요양보호사 교육 참가자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Learning Flow with Training for Caregivers)

  • 노효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28-437
    • /
    • 2011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생들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B시의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23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학습동기 척도와 몰입 상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내재적, 외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습과제에 대한 몰입은 학습동기가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성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재적 학습동기보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몰입정도는 내재적 동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외재적 동기에도 영향을 일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요양보호사 인력 양성을 위하여 요양보호사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Prediction of Learning Flow, School Flow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College)

  • 주영주;정애경;최혜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1호
    • /
    • pp.30-38
    • /
    • 2012
  •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beta}$= .22)과 학교몰입(${\beta}$=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beta}$= .32), 학교의 지원(${\beta}$= .23)과 만족도(${\beta}$=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 온라인학습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burnout in college online classes)

  • 임희주;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9-4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몰입,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 그리고 학습소진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총 149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습몰입, 학습소진, 그리고 배경질문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학습몰입이 높은 참가자들은 학습소진이 낮았다. 또한, 지각된 온라인 학습의 효과가 인지적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매개했지만 정의적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지적 학습몰입이 높은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을 보다 효과적이라고 지각했기 때문에, 학습소진을 낮추기 위해서 학습자의 인지적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대학차원에서 학생들에게 행정적 지원과 적절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학습동기,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Self-Efficacy on the Science Learning Flow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62-17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은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과학 학습동기를 구성하는 네 요소가 모두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고 그 중에서 만족감의 요소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과학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도 네 요소가 모두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고 그 중에서 긍정적인 언어적 격려 요소, 정서적 안정의 요소와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은 모두 과학 학습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동기의 네 요소 중에서는 만족감의 요소가 과학 학습몰입에 가장 큰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자기효능감의 네 요소 중에서는 언어적 격려 요소와 정서적 안정의 요소가 과학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의 과학 학습몰입에의 상대적인 영향도를 살펴 본 결과 과학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동기보다 더 큰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요양보호사 교육 참가자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Learning Flow with Training for Caregivers)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1037-1040
    • /
    • 2011
  • 본 연구는 B시의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230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외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학습과제에 대한 몰입은 학습동기가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성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제적 학습동기보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몰입은 내재적 학습 동기 뿐 아니라 사회적 성공동기와 상대적 유능성 동기와 같은 외재적 동기와도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요양보호사 인력양성의 발전을 요양보호사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Learn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

  • 구영수;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7-19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차이와 학습양식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영재아 118명과 일반아 1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립적, 경쟁적, 참여적 학습양식을 가졌으며,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습몰입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립 및 참여적 학습양식은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재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이고 독립적일수록, 행동적, 개인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고, 일반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일수록, 개인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다.

몰입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래밍 WBI가 학습자의 몰입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Programming WBI Based on the Flow Theory on Flow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 채유미;조성환;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은 프로그래밍과 디버깅 과정을 통해 컴퓨터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내재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을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몰입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의 구성 요소를 적요한 교수 학습 전략들을 개발한 후, 이것을 WBI로 설계,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WBI를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몰입수준 변화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WBI 학습이 학습 목표의식과 도전감, 구체적인 피드백을 이루어 몰입 수준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몰입 경험이 학습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학업성취도(프로그래밍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 PDF

e-Learning에서 영어식 사고구조, 사전 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의 몰입을 통한 학습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English Thinking Structure, Pre-English Skill, Self-Efficacy in English, Flow and Learning Effect)

  • 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영어학습이 이루어지는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몰입경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그리고 몰입을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설정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몰입, 학습효과 간의 각각의 관제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모두 몰입을 예측하였으며, 몰입경험이 또한 학습효과를 예측한다. 셋째, 영어자기효능갑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몰입 경험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