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 경험

검색결과 2,412건 처리시간 0.024초

의과대학의 학습경험 중심 전문직업성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Based Professionalism Program in Medical School)

  • 유효현;김영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4-172
    • /
    • 2018
  •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경험중심의 전문직업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효과성과 사용성 평가를 통해 대학수준에서 학습경험 중심의 교육과정의 실제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의과대학 1학년 74명의 학생들이 학생경험개발 모형에 기반하여 설계된 PDS1(Patient-Doctor-Society1): 전문직업성, 1주일 블록수업(총 30시간), 1학점 과목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모두 6가지의 학습주제와 학습자원 및 지원도구를 제공받아 경험의 준비, 조직, 공유, 성찰, 평가로 구성된 학습활동 단계를 수행하였다. 교육의 효과성 평가는 24개 설문항목을 사전-사후 비교하였고, 사용성 평가는 학생대상의 만족도 설문 및 교수자 학생대상의 면담이 시행되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습자 자기평가 결과, 리더십과 자기 주도적 학습, 전문성에 대한 태도, 사회적 책무성 모두 학습 이전과 이후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항목별 3.58~3.78에 분포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 면담에서는 교육과정설계, 운영, 평가의 전 과정에서 실질적인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습경험중심의 교육과정설계와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실증적 타당성을 제시해주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경험 방식으로 전문직업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실증적 사례로써 함의가 있다.

지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실패교육 (Creative failure for learner's intellectual growth)

  • 김종백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4호
    • /
    • pp.745-766
    • /
    • 2017
  • 학생들의 지적 성장은 학교교육의 오랜 목표이다. 학생들의 지적 성장을 위해 최근에는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습실패가 해당 영역에 대한 지식이나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중요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문헌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습실패가 어떻게 창의성 역량의 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지 주요 이론과 교수-학습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 학습실패 연구는 Clifford(1988)에 의해서 실패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 많은 연구들이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실패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특히, Kapur(2008)와 같은 연구자는 학습에서 실패경험이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서 새로운 대안들을 만들어내고 창의적 문제해결 전략들을 찾아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패를 어떻게 교육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 그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나 학습자의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실패경험을 통해서 기존의 생각의 틀로 부터 벗어나기, 주어진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서 자유롭게 교육과정 영역을 탐색하도록 허용하기 등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학습실패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정서와 실패의 누적으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학습 초기과정에서 실패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실패의 경험을 결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정의 일부로 인식하는 것이 왜 중요한 지 기술하였다.

근거이론을 통한 수학학습의 성공경험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successful experience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grounded theory)

  • 김홍겸;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491-513
    • /
    • 2023
  • 수학학습에서 좋은 학업성취를 내는 것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요인들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수학학습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변인을 제한하여 연구를 수행했기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수학학습에 있어서의 좋은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점이 필요한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의 과정을 겪었는지를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학습의 성공 경험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새로운 국면 단계', '경험 축적 단계', '견디기 단계', '유지 노력 단계'의 과정을 거쳐 성공적인 학습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수학학습에서 성공을 경험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 중요성인식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 김순옥;강복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72-182
    • /
    • 2016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 중요도인식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지역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231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5월11일에서 6월18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습경험은 활력징후, 근육주사, 피하주사 순으로 높았고, 중요성인식은 정맥요법, 근육주사, 활력징후 순으로 높았으며, 수행자신감은 활력징후, 격리실 출입시 보호 장구 착용 및 폐기물관리, 입원관리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경험은 학년, 학습 자기효능감과 수행자신감은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 중요성인식, 학습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과 수행자신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 자기효능감과 학습경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전략 수립 시 학습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고, 학습경험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프트웨어 학습경험에 따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도입에 대한 인식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in relation to Software Training Experience)

  • 이용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49-457
    • /
    • 2021
  • 교육부는 최근 2025년부터 초중고에 인공지능교육을 도입한다고 발표하였고 언론에서는 인공지능교육 도입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기사들을 내보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실제 인공지능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교육 도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학습경험이 많은 교사와 학습경험이 적은 교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습경험이 많은 교사는 인공지능교육 도입에 100% 찬성의 입장을 나타내었고 학습경험이 적은 교사는 80%가 긍정적 의사를 나타내었다. 학습경험이 적은 교사의 20%가 반대하는 원인 중에는 현재의 실과 교과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단원으로도 충분하다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학습경험이 많은 교사와 학습경험이 적은 교사 모두 적절한 교육시기로 5-6학년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교육시수는 주당 1시간을 가장 적절한 시수로 보았다. 교과 구성 형식은 학습경험이 많은 교사의 75%가 소프트웨어교육을 독립교과로 하고 그 안에 인공지능교육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선택하였고 학습경험이 적은 교사의 54%가 인공지능교육을 독립교과로 하거나 소프트웨어교육을 독립교과로 하고 인공지능교육을 그 안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선택하였다. 교육내용의 선호도는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기초, 인공지능 개념 원리, 인공지능 윤리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 탐색 (Exploration on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a 'Planning a Science Exhibition' Field Trip Program)

  • 강민주;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52-26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56명의 4~6학년 초등 과학영재 학생을 선정했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을 했다. 또한 19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한 집단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많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경험으로는 '창의성 발휘 경험', '비합숙 캠프형 프로젝트 학습 경험',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 '협업 경험'의 연계된 다섯 가지 학습 경험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했다.

코로나 19 상황의 기업근로자의 일터 학습경험: S에너지를 중심으로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 for corporate workers under COVID-19 : Focusing on S Energy Company)

  • 이주석;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26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기업근로자의 일터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에 S에너지의 기업근로자 5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Ricci의 3단계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19의 상륙에서 적응하기까지의 과정에서는 '먼 나라 이야기', '더 이상 안전지대는 없다', '위기감이 만든 대응방안 탐색하기', '적응을 위한 변화된 업무방식 익히기'가 나타났다. 또한 위드 코로나 시대의 일터 학습경험은 '위기감에서 오는 생존을 위한 학습경험', '언택트 문화 적응을 위한 학습경험', 'SNS 소통을 통한 학습경험', '성과 창출을 위한 경쟁적 학습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기업근로자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일터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였으며, 이는 근로자의 위기상황 대처역량을 높이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 다양한 분야의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 중요성인식,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의 차이비교 (The Comparison of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ccording to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

  • 강지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9-430
    • /
    • 2016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을 중심으로 간호학생이 학년별에 따라 학습경험, 중요도 인식,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지역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 재학중인 23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에서 6월 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학습경험은 학년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009, p<.001).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학습경험의 차이검정을 살펴보면 핵심술 상영역, 핵심술 중영역, 핵심술 하영역에서 모두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요성인식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288, p>.773).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차이는 핵심술 상영역과 핵심술 하영역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핵심술 중영역은 학년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행자신감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845, p<.001).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핵심술 상영역, 핵심술 중영역, 핵심술 하영역모두에서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 자기효능감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70, p<.019).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학년별 효율적인 실습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학습경험을 높이고 중요성인식에 따른 학습경험을 높이고 수행자신감과 학습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모달리티가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 박세영;신동희;김태양;신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7-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기기의 유형 및 모달리티(modality)가 학습자의 주관적인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모달리티는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상호작용경험 평가, 다른 학습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유형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모달리티가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변인으로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설계 원리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학습용 에이전트 의인화 설계 요인: 인간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Anthropomorphic Design Factors of Pedagogical Agent : Focusing on the Human Nature and Role)

  • 심혜린;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58-36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국어(영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학습 에이전트의 의인화 설계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학습용 에이전트를 설계할 때 학습 촉진, 신뢰, 매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의인화 요인 중 에이전트의 체화 유무, 인간적 본성(HN)의 부여 정도, 역할 설정(지도자 vs. 동반자) 효과를 실험 연구로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HN은 단독으로는 학습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미지와 역할은 학습 촉진 효과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 경험 요인도 향상시켰다. HN요인은 이미지와 역할 요인과 결합되어 설계될 때, 학습 촉진 및 신뢰성, 매력성과 같은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 효과에서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