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활동책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5초

재량활동시간에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Children's verse learning system in discretion activity)

  • 최주아;문외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6-251
    • /
    • 2007
  • 독서 교육은 종래의 종이책 위주의 독서에서 종이책과 인터넷의 멀티미디어를 병행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재량활동 시간에 독서관련 활동을 선택하는 학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각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웹을 활용한 독서지도프로그램이 많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위인전이나 동화, 영어이야기 등의 분야는 웹을 활용한 여러가지 활동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초등학생을 위한 동시를 즐길 수 있는 내용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종래의 동시지도는 주로 교사와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연상함으로써 동시를 학습(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재량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책 읽어주기 활동이 시각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orytell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 육근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287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책 읽어주기 활동이 시각장애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책 읽어주기 활동에 참여한 아동과 어머님, 책을 읽어준 선생님, 도서관 사서 등과 심층면담을 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책 읽어주기 활동은 시각장애아동의 독서 흥미와 학습능력, 사회성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Reading Instruction System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6
    • /
    • 2003
  • 지금까지의 독서교육은 교수-학습 활동과 연계되지 못한 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독서의 본질적인 측면보다는 독서자료의 제공이나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표현 활동에 치중하여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과학습과 독서 활동을 연계하고, 독서자료의 접근은 물론 실제 책을 읽는 인지적 활동 그리고 책을 읽고 난 다음의 표현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북어드벤처, 썬링크등 기존의 독서교육 시스템을 분석하여 웹 기반독서교육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제안한 웹 기반의 독서교육시스템은 독서안내, 나의 독서수준, 책 고르기, 독서 전략, 독서표현, 독서토론 등 6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자기주도적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교육청의 '책쓰기'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With Special Reference to 'Book Writing' Program of Daegu)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1-106
    • /
    • 2010
  •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설문조사와 질적 자료를 통해 대구광역시교육청에서 2009년에 시행한 '책쓰기' 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그와 관련된 제반 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학생 스스로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찾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보고서로 만들고 책을 출판하는 '책쓰기'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은 어렵고 생소한 경험이었지만 성취감과 자기주도적 탐구학습의 가치를 발견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과제가 부각되었다

  • PDF

웹을 통한 PBL 모형 구축 방안 (The Proposal in Implementing Project Based Learning Model by Utilitizing Web)

  • 양진화;마대성;김정랑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33-2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구현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웹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 시스템(PBL; Project Based Learning )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프로젝트 목표선정,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활동, 정리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팀 구성원 모두가 책임감을 갖고 보다 적극적, 능동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잇도록 학습모듈을 구상하였다. 웹을 활용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수동적 수혜적인 기존의 학습방식과는 달리 보다 적극적, 형성적, 협력적인 학습활동을 펼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자책 콘텐츠 제작을 통한 학습활동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ontents Creation for E-book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박상욱;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5-44
    • /
    • 2014
  •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은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 교육을 위한 기반 구축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PUB 포맷 기반 전자책 저작도구를 교과학습에 적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5학년 사회과 역사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 결과물을 전자책으로 제작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인 내재적 동기, 학습 기회의 개방성, 자율성 등 모든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ory of Mind on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 신애선;안경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2
    • /
    • 2018
  • 본 연구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소재 유치원 만 5세 유아 38명으로 실험집단 18명의 유아들에게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그림책 내용 예측하기 및 듣기, 그림책 속 문제상황 알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알아보기,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 이야기나누기 하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느끼기, 활동 평가하기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상호작용을 강화한 E-book을 활용한 웹기반 독서교육시스템 (Web-based Reading System of Interactive E-book)

  • 최인혜;김철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13-720
    • /
    • 2004
  • 일선현장에서 사용되는 웹기반독서교육시스템은 웹의 다양한 장점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흥미와 상호작용을 이끌기 위해 주력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독서활동이 주로 종이책을 중심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웹기반독서교육시스템은 아동들의 독서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시키기가 어려워 주로 독후활동 중심으로 활용되어왔다. 또한 온라인 독서를 할 수 있는 전자도서는 그 자체가 특정 포맷을 토대로 별도의 다운로드를 통해 책을 읽도록 되어 있어 독서 활동으로만 끝나는 경우가 많아 독후활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독서 교육 시스템을 전자도서와 연계하여 아동이 컴퓨터로 책을 읽음과 동시에 독후활동도 병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치위생 전공교육과 연계한 노인구강보건관련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 연구 (Effect of SERVICE-LEARNING related to Geriatric Oral Health according to Dental Hygiene Education)

  • 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49
    • /
    • 2008
  • 전공봉사학습을 치위생 전공교과과목인 예방치위생학 및 실습 수업과 노인구강보건봉사활동 I, II를 D대학 치위생과 학생들 1, 2, 3학년 총 131명에게 2학기에 걸쳐 적용하여 그 경험적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개인적 성장 측면에서는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5),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감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아울러 자기효율성,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의 변화는 학년별로는 유의하였으며(p < 0.05), 봉사활동횟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의 차이가 어떤 잡단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본 결과 1학년과 3학년 간, 2학년과 3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봉사학습 참여 후 예방치위생학 및 실습과 연계한 노인구강보건봉사학습에서 시행한 봉사활동과 교과목 구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평가결과 봉사학습 참여 후의 봉사활동 횟수와 봉사활동 만족도 점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봉사학습 참여 후의 봉사활동 횟수와 교과목 평가점수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치위생전공교육에 봉사학습을 적용했을 때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봉사학습이 보다 다양한 교과목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차기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의중심의 수업과 봉사학습을 적용한 수업간의 비교연구, 과목에 따라 다양한 봉사학습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 등을 통해서 보다 면밀하게 봉사학습의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PDF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 연구 (A Study of E-Book Production Lessons Using SNS Typ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대희;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9-38
    • /
    • 2016
  • 본 연구는 전자책 제작 도구의 하나인 SNS형식의 '네이버 포스트'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는 수업활동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한 공립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중, 1개 반 25명은 실험집단으로 사회과 교과에 대하여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활동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다른 1개 반 25명은 비교집단으로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활동 수업은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