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프로그램

Search Result 3,32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Effective Use Plan of Learning Supporting Program for Programming Languages Education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명지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99-3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명지전문대학에서 시행되고 다양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에 적용하여 운영하였던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 의견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참여는 자발적으로 이루졌으며,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은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학습자 그룹의 성적이 비참여 학습자 그룹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나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습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자들의 참여 목적과 참여를 통해 얻은 좋은 점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비참여 학습자들의 참여하지 않은 이유가 프로그램 운영 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목적에 따라 참여 프로그램을 제안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Piano Self Learning Program and Contents (피아노 자율 학습프로그램 콘텐츠 설계 및 구현)

  • Lee, JungChul;Yoo, Su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253-254
    • /
    • 2012
  • 피아노 학습프로그램은 PC기반 자율학습의 형태로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 성취도와 학습만족 도를 충족시키기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자율 학습프로그램의 체계, 기능설계, 모듈설계 등의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올바른 학습과 평가 기준에 부합되도록 프로그램에서 정한 이수체계에 따라 각 단계마다 이론학습과 평가과정으로 구성되도록 개발하였다.

  • PDF

심화학습 프로그램에 기초한 속진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안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29-44
    • /
    • 2004
  •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수학 영재학습 프로그램의 유형은 속진학습형과 심화학습형으로 나눌 때, 속진학습과 심화학습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할 프로그램은 속진학습을 바탕으로 한 심화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위험성이 낮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두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수학영재 프로그램 구성에서 고려할 사항과 심화와 속진학습을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감성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초등학교 수학 5-가 "평면도형의 넓이" 단원을 중심으로)

  • Go, Jae-Il;Kim, Do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40-348
    • /
    • 2004
  • 본 연구는 아동의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 그 활용도가 저조하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하여 새로운 형태의 웹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웹 기반 학습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감성'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째, '감성'은 학습자로 하여금 주도적인 학습을 하게 만드는 강력한 동기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웹을 이용한 학습은 그러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2003년 현재 초등학교 5학년의 학령에 있는 아동들의 웹에 대한 감성 및 성향을 알지 못하고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우수한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이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 위의 가정에 기반을 두고, 본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문제점 및 보완점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 그러한 문제점 및 보완점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제작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학습자에게 이용하게 하여, 그 반응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감성차원과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 구성요인간의 상호 관련성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제작에 있어 감성차원을 고려하고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도된 이러한 감성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은 차후 효과적이고 우수한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Assessment and Program Objective Evalu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Toward a Practical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목 학습성과와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관계 - 실질적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지향하며)

  • Park, Yoon-Ko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87-92
    • /
    • 2010
  • It is strongly desirable to continuously study the program outcomes that are one of the requirements of engineering accreditation.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program outcome evaluation obtained by using four tools - exit written exams, essay tests, capstone design, and an official English test - were compared to those of program outcome evaluation obtained by a course-embedded assessment method. The former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15 students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0 by using the four evaluation tools, while the latter was performed by using a course offered in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in 2009. Two evaluation results revealed no large difference in almost all 12 program outcomes, which indicates that course-embedded assessment would be one of the practical and effective program outcome evaluation tools.

  • PDF

초등학교 확률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

  • Lee, So-Yeon;Kim,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127-144
    • /
    • 2001
  • 본 연구는 확률의 다양한 의미를 반영한 초등학교 확률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확률의 다양한 의미를 반영한 초등학교 확률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확률의 다양한 의미를 반영하기 위한 교수 방법을 마련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한 단원 분량인 7차시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시행 전에 실시한 검사에서 확률적 사고 수준이 상 ${\cdot}$${\cdot}$ 하인 것으로 나타난 세 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 ${\cdot}$ 후에 실시한 지필 평가와 비디오 카메라로 녹음한 수업 내용과 학생들의 학습지를 검토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 1${\sim}$7 각 차시 후, 프로그램 적용 후의 시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세 학생 모두 확률적 사고 수준이 가장 높은 수준인 4수준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확률을 이론적 의미 뿐 아니라 경험적 ${\cdot}$ 통계적 의미로 접근하면 초등학교 학생들도 확률 개념을 학습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확률을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초등학교에서도 독립성, 조건부 확률 같은 개념을 유의미하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Learning Initi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Kim, Kye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816-82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conducting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program was conducted for 28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method was used, which compared the pre-score before the program and the post-score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8 s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post score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re-post scor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implementation of a free exercises progra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초등체육교과학습을 위한 맨손체조 프로그램 구현)

  • Jang, Yeon-L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80-285
    • /
    • 2007
  • 체육교과에서 맨손 체조를 구성하는 수업은 기존의 자료 제시 형태의 컴퓨터 활용 수업에서는 일제식 수업이나 학습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흥미 위주의 수업으로 흐르기 쉽다. 그래서 맨손 체조에 관련된 제 7차 교육과정 내의 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맨손 체조를 직접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여러 가지 동작을 익히고, 그 동작의 효과를 학습한 뒤, 적절한 동작을 연결하여 맨손 체조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써 평가를 통해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맨손 체조 구성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동시에 학습 목표에 충분히 도달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on Learning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s (하이퍼미디어 학습 프로그램 구조와 학습자 인식양식이 초등학생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Kim, Sung-Wan;Hwang, Kyung-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3
    • /
    • pp.57-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hypermedia structure(hierarchical and network), learner's cognitive style(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mentary school. 128 students(4th graders) having 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hierarchical and network structures of hypermedia learning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in learning performance. The students in the hierarchical hypermedia structure showed higher learning performance than ones in the network hypermedia structure. Field-independent students significantly got higher results than field-dependent ones. It is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consider hypermedia structure,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outcomes when they plan and design hypermedia learning program.

  • PDF

A Case Analysis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and USA (한국과 미국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사례분석)

  • Jin, Sung-Hee;Cho, Woo-Su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4 no.2
    • /
    • pp.13-20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ways of improving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through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is on those of the United States. Case-study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Five university programs, which have been well recognized as good practices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ose of thre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chosen for comparative analysis, which were reformed by university affiliated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ve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program's program outcomes, assessment level of program outcomes, evaluation methods on program outcomes achievement, and analysis and improvement records. It was drawn up that the evaluation methods on program outcomes achievement should be paid full attention. For better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however, the followings are in more attention. Firstly, to establish program outcomes reflecting program goal. Secondly, to set up the detailed plans for analysis and quality improvement on program outcomes. Thirdly, to keep continuing efforts on curriculum up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