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요구분석

Search Result 5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self-directed practice reciprocal peer tutoring: Focusing on medication nursing of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자율실습에서의 상호동료 교수법 적용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핵심기본간호술 투약간호를 중심으로)

  • Kim, Kyung Hwa;Lim, Jong Mi;Jang, Yang M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229-23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depth the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in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the learning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analysis resulted in four themes: 'motivation of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improving achievement', and 'insufficient learning requirements'.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has a positive experience of inducing motivation of learning for participants through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improving self-confidence, and gaining opportunities to lead prior learning and learn in the learner's language. However, there have been experiences where additional knowledge expansion is difficult and feelings of insecurity is felt due to insufficient learning requirements. Therefore, when applying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method to self-directed practice,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f the professor applies a method that can sufficiently satisfy the learner's learning needs.

An Internet Relearning System using Monitoring for Learning behaviors (학습 행위 모니터링을 이용한 인터넷 반복학습 시스템)

  • 이종희;김태석;이근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69-672
    • /
    • 2002
  • 인터넷 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들이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지만,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이를 운영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등록한 모든 학생들이 대면하게 되는 상황을 모두 접수하고, 그들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코스 구성 및 스케줄을 제공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방법과 코스 구성, 그리고 코스 스케줄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이전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 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록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쥴을 제공해 주는 인터넷 반복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ive Structure of XML -based Lecture Contents (효과적인 XML 기반 강의 컨텐츠 구조에 대한 연구)

  • 신행자;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5-249
    • /
    • 2000
  • 현재 웹 기반 가상 교육 시스템은 가상 강의실에서 학습자들이 볼 수 잇는 강의내용은 HTML 형식의 문서이다. 이는 HTML문서의 한계 때문에 학습자들은 강의 컨텐츠를 읽어 단순히 강의내용을 이해하는 수준으로만 학습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터넷상에서 표준 공통포맷으로 대두되고 있는 XML을 이용하여 게시될 강의내용을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XML기반의 강의 컨텐츠 구조를 제안하였다. XML기반의 강의 컨텐츠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른 유연성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내용을 기반으로 한 분석이 가능하여 데이터 중심의 구조화가 가능하므로 처리 응용에도 의미정보로 저장하여 다양하고 효과적인 가상 강의실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교육시스템구축이 가능하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scheduling Agent System for Internet Courseware (인터넷 코스웨어 자동 스케쥴링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태석;이종희;오해석;이근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83-585
    • /
    • 2001
  • 최근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웹기반 교육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강좌는 컴퓨터 교육 시스템 분야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기반 교육시스템의 보급과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대에 따른 교육서비스를 응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습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들이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지만,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이를 운영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등록한 모든 학생들이 대면하게 되는 상황을 모두 접수하고, 그들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코스 구성 및 스케줄을 제공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방법과 코스 구성, 그리고 코스 스케줄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이전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 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줄을 제공해 주는 코스 스케줄링 멀티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Multi-agent System for Education Course Scheduling of Learner-oriented using Weakness Analysis Algorithm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김태석;이종희;이근왕;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46-648
    • /
    • 2001
  • 전자도서관과 LOD 기술을 접목한 웹기반 교육 시스템의 연구는 몇 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술 및 컴퓨터 통신 기술 개발의 가속화 및 이을 응용한 컨텐츠 개발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된 웹의 탄생은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교육형태로 인식할 수 있는 전환점을 제공하게 되었고, 웹을 기반으로 한 교육(WBI: Web-Based Instruction)이라는 새로운 교수 모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최근에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의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율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많은 교육 시스템들은 학습자 성향에 맞는 코스를 적절히 서비스 해지 못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과 학습자가 코스를 학습함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을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모니터링과 지속적인 학습평가에 의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 스케쥴을 제공해 주는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Tool to Support Learning Tasks Analysi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의 개발)

  • Jo, Hyeong-Cheol;Lim, Jin-Sook;Kim, Se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1
    • /
    • pp.129-139
    • /
    • 2004
  • Thi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s such, revolutionary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are needed in school education rather than traditional methods. To be an efficient teaching lesson, teaching plans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are needed. The knowledge-spac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of efficient analysis about learners' status of knowledge. This study designs and implements the support-learning tool based on the knowledge-space theo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classroom less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f analysis of learners' knowledge status.

  • PDF

A Course Scheduling Multi-Agent System using Learning Evaluation Analysis (학습 평가 분석을 이용한 웹기반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Park, Jae-Pyo;Yoo, Kwang-Hyoung;Lee, Jong-Hee;Jeon, Moon-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1
    • /
    • pp.97-106
    • /
    • 2004
  • Recently, the demand for the customized courseware which is required from the learners is increased. Therefore the needs of the efficient and automated education agents in the web-based instruction are recogniz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agent system for course scheduling of learner-oriented using weakness analysis algorithm. At first proposed system analyze learner's result of evaluation and calculates learning accomplishment. From this accomplishment the multi-agent schedules the suitable course for the learner. The learner achieves an active and complete learning from the repeated and suitable course.

  • PDF

Analysis and Design of Component for Authoring Tool on Virtual Lecture (가상강의 저작도구를 위한 컴포넌트 분석 및 설계)

  • Kim, Haeng-Kon;Shin, Ho-Jun;Kim, Sung-Soo;Hyun, C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43-746
    • /
    • 2000
  • 인터넷의 보급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학습자와 교수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학술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가상강의 저작도구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이 저작도구의 개발을 위해 현재는 교사와 학생간의 인터페이스 제공이 미약하고 표준화된 문서 환경과 플랫폼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환경으로 인해 개발자들의 작업이 방대해지고 있는 있다. 따라서 최근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의 대두로 가상강의 저작도구를 위한 교육용 컴포넌트에 관심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론을 통해 웹 환경에서 구현할 때 적용가능한 강의 저작도구 컴포넌트를 요구 공학 생명주기를 통해서 분석, 설계한다. 요구공학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을 가상강의에서 교수, 학습자 측면을 고려하고 비즈니스 로직, 동영상과 슬라이드의 동기화, 오디오, 슬라이드 이미지 등을 요구공학 생명주기에서의 산출된 요구공학 명세서를 바탕으로 분석, 설계한다. 개발된 컴포넌트는 가상강의 저작도구를 지원가능하며. 각 컴포넌트는 교육영역의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적응 가능함으로써 재사용성,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을 가질 수 있다.

  • PDF

The Analysis of Individual Learning Status on Web-Based Instruction (웹기반 교육에서 학습자별 학습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Ji-Yeun;Jeong, Ok-Ran;Cho, Dong-Sub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2
    • /
    • pp.107-120
    • /
    • 2003
  • In Web Based Instruction, as evaluation of learning process means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activity, it demands data on learning time, pattern, participation, environment in a specific learn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analysis results of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status in achievement evaluation using the most suitable web log mining to settle evaluation problem of learning process, an issue in web based instructi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conformity item for learning status analysis is determined and web log data preprocessing is executed. Second, on the basis of web log data, I construct student's database and analyze learning statu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 PDF

Learner's Evaluation Criteria of Effectiveness of Web-based Instruction (웹기반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습자 평가준거 개발)

  • Ahn, Sang-Hee;Suh, Soon-Shik;Lee, Myu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1
    • /
    • pp.27-35
    • /
    • 2004
  • In Web-based instruction, learners are the subjects. learners differently accept web-based instruction that educational experts and system developers should think effectively that. This study was researched evaluation criteria that learners should think web-based instruction successively. research method process was following. driving 35 criteria in literary review about effectiveness web-bases instruction strategies and the questionnaire was marked up by learner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factor analysis, driving 4 factors 28 criteria. By study findings learners think important component for effective web-based instruction to instructional strategis, system facility, tutor to help learning course, screen design. finally, for impletation effective web-based instruction consider implementation process by IS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