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시점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31초

일반대학에서 교양 e-러닝 강좌의 중도탈락 예측모형 개발과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Dropout Prediction Modeling and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Early Detection in e-Learning Courses)

  • 유지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14
  • e-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학습행동이 학습관리시스템(LMS)에 자동으로 기록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업과 학습성과 향상에 활용하는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적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중도탈락은 e-러닝에서 지속되어 온 문제로, 본 연구는 일반대학 e-러닝 강좌에서 LMS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e-러닝 중도탈락 처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일반대학에서 운영되는 교양 e-러닝 강좌를 편의표집하고, 이 강좌를 수강하는 578명의 자료로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차별로 계획된 학습을 규칙적으로 완료하는 출석과 총 학습시간이 중도탈락 예측에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전체적으로 96%의 정확도로 수강완료자와 중도탈락자를 구분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중도탈락을 결정하기 이전 시점에서 이 모형을 적용하여 중도탈락 조기 판별 가능성을 탐색하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이 모형의 잠재적 활용가치를 논의하였다.

  • PDF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 황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23
    • /
    • 2010
  • 이러닝뿐만 아니라 모든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중요한 것은 기술적 접근보다 교수학습적 접근이다. 공과대학에서 이러닝이 더욱 확대, 보급되는 현 시점에서 공대 이러닝의 활용 유형을 파악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연관된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대 이러닝 콘텐츠와 운영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과 연계하여 이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대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네 과목을 대상으로 활용 유형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콘텐츠는 학습전에 개발되는 정형적 콘텐츠이며 운영은 학생 개인의 자율학습에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형으로 나타났다. 강의와 실습 외에 프로젝트가 학습활동의 하나로 사용되었지만 LMS와 웹 환경 등은 단순 기능의 활용에 국한되었다. 결론에서는 면대면 수업을 보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통합 활용형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문제해결 유형 위주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갈수기 수문량 산정 (Estimation of the streamflow during dry seas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정성호;조효섭;김정엽;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7-3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LSTM 모형을 이용하여 갈수예보를 위한 월 단위 전망모형개발의 대상지점으로 이수 및 치수의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한강대교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유량예보를 위하여 한강수계 19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강수량, 월평균기온 및 3개 댐(소양,횡성,충주)의 월방류량을 사용하여 한강대교의 월 유량을 예측하였다. 1996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는 모형의 학습, 2017년 자료는 모형의 검증에 활용하였으며 가장 최근 건설된 횡성댐 방류량의 경우 1996년~2000년의 자료가 없으므로 2001년~2005년의 자료를 반복하여 학습에 활용하였다. 모형의 예측결과는 신경망 학습 시 한강대교 월유량자료를 포함한 결과와 미포함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모의결과의 재현성 분석을 위하여 월별 예측값과 실측값의 비율을 산정하였으며 1월부터 12월까지 12개 값을 평균하여 평균예측률을 산정하고 이를 홍수기(6월~10월) 및 비홍수기(1월~5월, 11월~12월)를 구분하였다. 딥러닝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한 경우의 예측결과가 학습 시 월유량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신경망을 실제 갈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측 기상정보인 월강우량, 월평균기온, 댐방류량만을 활용하여야 하는데 학습 시월유량 미포함 결과는 예측률이 매우 낮았으며, 신경망의 학습횟수가 늘어날 경우 학습자료 과적합(over-fitting)되어 정확도가 보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기존의 현재시간 t까지의 입력자료로 학습 후 익월(t+1)의 월유량을 예측하는 (t $\rightarrow$ t+1) 방법에서 현재시점 (t-n ~ t)까지의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당월(t)의 월유량을 산정하는 (t$\rightarrow$t) 방법으로 재학습 후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전술한 익월(t+1) 유량을 예측한 결과보다 재현성이 훨씬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며평균예측률이 0.99로 홍수기 및 비홍수기에서도 뛰어난 정확성을 보이고 있다.

  • PDF

강의자동녹화시스템을 사용한 수업설계가 아동간호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ss Design using Automatic Recording System on Program Outcomes of Pediatric Nursing)

  • 안성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2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자동녹화시스템을 통해 발생한 녹화강의콘텐츠를 학습관리시스템에 연계하여 반복학습하도록 제시한 수업설계를 적용한 후 아동간호학 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로 D광역시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52명으로 총 104명이었다.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chi}^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강의 자동녹화시스템을 사용한 수업설계를 적용받은 실험군의 제1학습성과(다양한 교양지식과 전공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한다)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제5학습성과(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임상적 추론을 실행한다)의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 인재를 양성을 위한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설계방안을 발전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브루타 학습법의 사용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on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화영;이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17-526
    • /
    • 2024
  •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사용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J도 C대학 간호대학생 1학년 중 해부학 수업을 수강한 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다. 설문지는 2023학년 2학기 시작과 종료 시점에 2회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사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t=2.11, p=.036), 문제해결능력(t=2.11, p<.001), 학습만족도(t=3.12, p=.002) 모두 사전에 사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를 제언한다.

지방의 군 단위 지역 중학생 대상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Reading-Based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ounty-level City)

  • 김석원;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67-83
    • /
    • 2021
  • 본 연구는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지방 군 단위 지역 중학생의 국어수행과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코칭 모델을 적용한 독서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지방 군단위 지역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은 심리적 변인과 국어수행 점수를 통해 이루어졌다. 심리적 변인은 사전, 사후, 추후에 측정되었고 국어수행은 실험집단에 대하여만 사전, 사후 수행이 측정되었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심리적 변인에서는 학습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사전측정값보다 사후측정값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에도 지속되었다. 미래지향시간관은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국어수행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시계열 모델을 활용한 위치 데이터의 시간적 패턴 분석 (Analysis on Temporal Pattern of Location Data with Time Series Model)

  • 송하윤;정준우;이다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68-771
    • /
    • 2021
  • 시계열 분석은 이전 시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시점의 데이터를 예측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SARIMA는 이러한 시계열 분석에서 활용되는 통계 모델의 일종이다. 본 연구는 직접 수집한 실시간 위치 데이터에 SARIMA를 적용하여 개인의 이동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예측에 활용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제작하였다. 첫째, DB에 업로드된 위치 데이터를 비지도 학습의 일종인 EM-clustering을 활용해 핵심 방문 장소들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군집화했다. 둘째, 해당 장소에 입장하고 퇴장하는 시간 간격에 SARIMA를 적용해 주기성을 추출했다. 마지막으로, 이 주기성들을 군집의 중요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예측 결과를 도출해냈다.

인문계열 학생을 위한 SW교육에서의 초보 학습자 특성 분석 (Analysis of Art and Humanity Major Learners' Features in Programming Class)

  • 성정숙;김수환;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5-35
    • /
    • 2015
  •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고 학문과 산업에서 컴퓨팅(computing) 기반의 융복합적 성격을 띠는 분야가 많아지면서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한데, 지금까지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보편적 교육으로서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양 수업에서 프로그래밍을 처음으로 접하는 학습자들이 프로그래밍 초보 학습단계에서 보이는 흥미도, 도구 용이성, 자신감, 숙련도 등의 변화에 대해 설문, 관찰 및 인터뷰 방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디자인 패턴 학습을 위한 개방형 교육 시스템 (Open Education System for Learning Design Patterns)

  • 김헌성;안주언;김은지;김용환;김민철;김우제;김자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75-17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교육시스템 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패턴 교육을 위한 개방형 교육 시스템을 통한 학습을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은 정형화된 답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되지만, 기존의 디자인 패턴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일방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책을 통해 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자인 패턴 교육을 위한 개방형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디자인 패턴의 개념과 사례를 통해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디자인 패턴의 퀴즈와 실습을 해 이해도를 높인다. 또한, 일방적인 학습이 아닌 사용자들 간의 토론을 통해 한 방향에서 디자인 패턴을 보는 것이 아닌 다양한 시점에서 볼 수 있어 창의력도 함께 증진할 수 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과 수행평가 (The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 김진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8
    • /
    • 2008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교사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이라고 본다. 이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입되면서 평가에서도 기존의 표준화 검사에서 수행평가를 강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 및 교육 정책가들은 현재 지금 이 시점에서 수행평가가 실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 검사로 회귀하자는 주장을 한다. 본 글은 이런 주장에 대한 반박을 하기 위해서 작성 되었다. 수행 평가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진행되었을 때 가능한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시하는 중에 실시되는 평가로서의 수행평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