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된 패턴

Search Result 1,572, Processing Time 0.222 seconds

A Study Context Aware Middle for Decision of Human Behavior Pattern (인간 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

  • 최순용;최종화;신동일;신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38-540
    • /
    • 2004
  • 이 논문에서 제안된 인간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는 Intelligent Home환경에서 인간과 Home환경과의 지능적인 Agent로써의 역할을 담당한다. 우리는 제시된 논문에서 인간행동패턴 결정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상황인식 미들웨어 내에서 동작하는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에 대한 구조와 구현내용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인간행동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 컨텍스트들을 환경 컨텍스트와 생체 컨텍스트로 크게 두 그룹으로 분리하였고 각 그룹은 세 개의 컨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과 생체로 나뉘어진 총 6개의 컨텍스트들을 정의하고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컨텍스트는 9단계로 정규화 되어 상황인식 미들웨어에서의 다음 단계인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로 정규화 된 값을 전달된다. 인간행동패턴 학습 및 결정 프로세서에서는 패턴인식에 대한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 PDF

A New Learning Scheme for Implementation of FNNs (FNNs 구현을 위한 새로운 학습 방안)

  • 최명렬;조화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8-12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FNNs(feedforwad neural networks)구현을 위한 새로운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온 칩 학습이 가능하도록 FNNs와 학습회로 사이에 스위칭 회로를 추가하여 단일패턴과 다중패턴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학습 회로는 MEBP(modified error back-propagation) 학습 규칙을 적용하였고 간단한 비선형 시냅스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표준 CMOS 공정으로 구현되었고, MOSIS AMI $1.5\mu\textrm{m}$공정 HSPICE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학습방안 및 비선형 회로는 향후 학습 기능을 가진 대규모의 FNNs 구현에 매우 적합하리라 예상된다.

  • PDF

An Enhanced Counterpropagation Algorithm for Effective Pattern Recognition (효과적인 패턴 인식을 위한 개선된 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

  • Kim, Kwang-B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9
    • /
    • pp.1682-1688
    • /
    • 2008
  • The Counterpropagation algorithm(CP) is a combination of Kohonen competition network as a hidden layer and the outstar structure of Grossberg as an output layer. CP has been used in many real applications for pattern matching, classification, data compression and statistical analysis since its learning speed is faster than other network models. However, due to the Kohonen layer's winner-takes-all strategy, it often causes instable learning and/or incorrect pattern classification when patterns are relatively diverse. Also, it is often criticized by the sensitivity of performance on the learning r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hanced CP that has multiple Kohonen layers and dynamic controlling facility of learning rate using the frequency of winner neur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put vector and the representative of winner neurons for stable learning and momentum learning for controlling weights of output links. A real world application experiment - pattern recognition from passport information - is design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is enhanced CP and it shows that our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conventional CP in learning and recognition performance.

Electromyogram Pattern Recognition by Hierarchical Temporal Memory Learning Algorithm (시공간적 계층 메모리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근전도 패턴인식)

  • Sung, Moo-Joung;Chu, Jun-Uk;Lee, Seung-Ha;Lee, 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1
    • /
    • pp.54-6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new electromyogram (EMG) patter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Hierarchical Temporal Memory (HTM) algorithm which is originally devised for image pattern recognition. In the modified HTM algorithm, a simplified two-level structure with spatial pooler, temporal pooler, and supervised mapper is proposed for efficient learn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EMG signals. To enhanc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the category information is utilized not only in the supervised mapper but also in the temporal pool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en kinds of hand motion are successfully recognized.

The acquisition effect by measurement periods of adult learners learned through English pattern practice (영어 패턴 연습을 활용한 성인 학습자의 측정 시기별 습득 효과)

  • Choi, Kyung-Mi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183-189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acquisition effect by measurement periods of adult learners learning through English pattern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dult learner groups including the learners in their 40s and those who were over 65 and the child group who were 8 years old as a comparative group. After the subjects had a pre-test at first, person agreement and tense were instructed though English pattern practice and right after that, they had a post-test. Then 4 weeks later, they had a delayed test. As a result, the acquisition result of adult learners learning though English pattern practice showed the largest rise by those in their 40s and the learners of those over 65. However the adult learners aged over 65 showed the largest drop in delayed test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method for adult learn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s and weak points.

A study on the 6th graders' learning algebra through generalization of mathematical patterns (초등학교 6학년의 패턴의 일반화를 통한 대수 학습에 관한 연구)

  • Kim, Nam-Gyun;Lee, Eun-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2
    • /
    • pp.399-428
    • /
    • 2009
  • 2007 Renewed Korea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troduce algebra 6th grade. According to many studies about introducing algebra, it is desirable to teach 6th graders algebra through generalization of patterns. In this study, 6th graders' understanding processes and difficulties in pattern generalization were analyzed and possiblities of introducing algebra to 6th graders through pattern generalization were examined.

  • PDF

A Automatic Learning of Syntactic Pattern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구문패턴의 자동 학습)

  • Lim, Heui-Seok;Han, K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245-249
    • /
    • 2006
  •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는 작업은 문법 전문가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문법 전문가의 수작업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 방법 중 하나로 구문패턴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두 개의 구문패턴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만 구문패턴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은 신경망을 사용하여 구문패턴을 학습하고, 다시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는데 학습된 신경망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소량의 말뭉치에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사용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12%이상의 수작업 감소율을 나타냈다.

  • PDF

Inconsistent Pattern Mode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upervised Learning in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의 지도학습 기법 성능향상을 위한 불일치 패턴 모델)

  • Heo, Jun;Kim, J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88-305
    • /
    • 2007
  • 본 논문은 데이터 마이닝의 기법 중 가장 잘 알려진 지도학습 기법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Hybrid 및 Combined 기법인 불일치 패턴 모델(오차 패턴 모델)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불일치 패턴 모델이란 2개 이상의 기법 중 향후 더 레코드별로 더 잘 맞출 수 있는 기법을 메타 분류하는 불일치 패턴 모델을 개발하여, 최종적으로는 기존의 기법보다 더 좋은 분류 정확도 및 예측 향상율을 기대하기 위한 기법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 결정나무 추론 기법인 C5.0과 C&RT 그리고 신경망 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같은 대표적인 데이터 마이닝의 지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불일치 패턴 모델을 생성하여 보고, 이들이 기존 단일 기법과 기존의 Combined 모델인 Bagging, Boosting 그리고 Stacking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23개의 실제 데이터 및 공신력 있는 공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명하여 보였다. 또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불일치 패턴 모델의 성능의 변화 및 더 우수해 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포 같이 수행을 하여 본 모델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PDF

Generating Technology of the Association Rule for Analysis of Audit Data on Intrusion Detection (침입탐지 감사자료 분석을 위한 연관규칙 생성 기술)

  • Soh, Jin;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011-1014
    • /
    • 2002
  • 최근 대규모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침입탐지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광범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중에서 침입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에 대한 탐지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먼저, 광범위한 침입항목들에 대한 탐지 적용기술을 학습하고, 그 다음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침입패턴 인식능력 및 새로운 패턴을 빠르게 인지하는 적용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침입 패턴인식을 위해 각 네트워크에 돌아다니는 관련된 패킷 정보와 호스트 세션에 기록되어진 자료를 필터링하고, 각종 로그 화일을 추출하는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침입과 일반적인 행동들을 분류하여 규칙들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새로운 규칙과 학습된 자료를 바탕으로 침입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이닝 기법으로는 학습된 항목들에 대한 연관 규칙을 찾기 위한 연역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규칙을 생성한 사례를 보고한다. 또한, 추출 분석된 자료는 리눅스 기반의 환경 하에서 다양하게 모아진 네트워크 로그파일들을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에 따라 적용한 산출물이다.

  • PDF

Semiautomatic Pattern Mining for Training a Relation Extraction Model (관계추출 모델 학습을 위한 반자동 패턴 마이닝)

  • Choi, GyuHyeon;nam, Sangha;Choi, Key-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57-262
    • /
    • 2016
  • 본 논문은 비구조적인 자연어 문장으로부터 두 개체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적인 트리플을 밝히는 관계추출에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사람이 직접 언어적 분석을 통해 트리플이 표현되는 형식을 입력하여 관계를 추출하는 규칙 기반 접근법에 비해 기계가 데이터로부터 표현 형식을 학습하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법은 더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확보할 수 있다. 기계학습을 이용하려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학습 데이터가 수집되는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 원격지도 학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사람이 학습 데이터를 만들어야하므로 사람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양질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만큼 고성능의 관계추출 모델을 만들기 용이하다. 원격지도 학습은 사람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학습 데이터를 만들 수 있지만 데이터의 질이 떨어지는 만큼 높은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해 관계추출 모델을 훈련하는데 있어 지도 학습과 원격지도 학습이 가지는 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타협점을 제시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