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과정

Search Result 7,7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axonomy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in Korean Firms: Focused on the Integrativ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한국기업의 기술학습과정 유형의 도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통합적 관점의 조직학습이론을 중심으로)

  • Bong Sun-Har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1
    • /
    • pp.149-174
    • /
    • 2006
  • Although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es on the technological learning is increasing rapidly, a few empirical researches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have been undertaken, taking into account a reality of learning processes of a firm.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processes of technological knowledges, based on integrativ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by analyzing 13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one company with case study research desig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suggested two taxonomy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First are tour group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derived by the dimension of flow of cognitive and behavioral learning which is explained by the technological competency level of a firm. The other is two group of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es derived by the dimension of relative difficulty of cognitive and behavioral learning which is explained by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s. Finally,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echnological learning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ICT Lesson Plans for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 수학과 1,2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연구)

  • Whang, Woo-Hyung;Kim, Min-K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86-494
    • /
    • 2004
  •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ICT활용 교육방법의 도입과 함께 예비 수학 교사들의 ICT활용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로써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방법적 측면에서의 도구적 교체가 아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학습과정의 질적 개선을 추구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수학교육론시간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직접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수학 1, 2학년 교과 내용을 211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모형정립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내용적 연구와 함께 과정안의 구현을 위한 기술공학적 실습 과정을 병행하였다.

  • PDF

Developing and Assess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Ecosystem (생태계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의 개발과 평가)

  • Yeo, Chaeyeong;Lee, Hyon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1
    • /
    • pp.29-43
    • /
    • 2016
  •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construct the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Disciplinary Core Ideas(DCI) in many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Europe, the most practical effort has been to design a curriculum with learning progressions(LPs). LPs describe stepwise how students can systematically mov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more sophisticated ideas or scientific activities and explain in success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ideas while the students learn. In this study, a LP for ecosystems has been developed, and the developed LP is then evaluated accordingly. The Ecosystem is one of the DCI of the life science in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was set at step 4(Development, Assessment, Analysis, and Amendment), and develop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sequ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ed LP, an assessment based on the LP provides reliable information to identifying student ability.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its methodological aspects to use Core Achievement Standards,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nd the Rasch model. In addition, using the empirically proven LP suggests a way of strengthening curriculum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Utilizing the proposed development process in this study will be to present the standard into the direction of becoming part of the curriculum. Currently, the state of domestic research for the LP is still lacking. This study deter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the need to conduct future research on the LPs.

Analysis of Programming Learning Processes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 분석)

  • Jeon, SeongKyu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27-128
    • /
    • 2015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은 쉽고 재밌게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보급으로 일반 학생들의 사고력 배양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연구가 심화 발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이 어떻게 프로그래밍 학습을 하는지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라는 인지 이론을 토대로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학생들의 인지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적극적인 의사표현이 중요한 요인이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말과 행동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여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인지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 Based on the surveys in K-College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 K-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Kim, Soo hyun;Bae, Yu Na;Lee,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6
    • /
    • pp.547-557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years for graduation, college majors, and grades by the level of students' learning process about the student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Subjects were 684 students who responded to a student engagement survey questionnaire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the regular curriculum at the K-college located in Geoje-si. For measurement, the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alysis scal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prior to use. Frequency analysis was adopted to search individual backgrounds of college students. One-way ANOVA and Post-hoc 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he years for graduation, college majors, and grades by the level of learning proces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on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teaching-learning outcomes, and college facility system and service. Second, the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years for gradu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class satisfaction, and college facility system and service. Third, the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major differenc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study interac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y system and service. Fourth, the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grad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ub-components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class satisfaction, study interac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y system and service). Lastly, the stud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described.

Development of the Distance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Networked White Board and Script Interpreter (네트워크 화이트보드와 스크립트 인터프리터를 이용한 원격협동학습시스템의 개발)

  • Kim, Yong-Beom;Kim, Yung-Si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87-492
    • /
    • 2006
  •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에 의해 학습 공간의 시공간적인 확대와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새로운 교수방법을 요구되었고, 유무선 방송,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원격교육이 구체화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시스템은 실질적인 학습 상황에서 단방향적인 개별 학습 형태를 보이고 있고, 사용자간의 쌍방향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일정 수준이상의 기술적 소양과 경제적 부담을 요구한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발생하는 학습자 행동에 대한 실시간적인 모니터링과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을, 학습자에게는 자기 반성의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교육에서의 협동학습 지원, 사용자의 기술적, 경제적 부담의 제거, 학습 전(全) 과정에 대한 원활한 모니터링과 피드백 기회의 제공을 목적으로 원격협동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원격협동학습 시스템은 원격협동학습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화이트보드, 학습 과정 및 결과를 자연어로 저장하는 저장 모듈, 그리고 저장된 학습 스크립트 파일을 해석하여 재생하는 스크립트 인터프리터로 구성되었다. 네트워크 화이트보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부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고, 통신 서버를 분산하여 서버 구축에 대한 부담을 제거하였고, 학습 내용 화면을 대화창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원격학습의 장(場)에 교수자가 참여하여 실시간적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학습의 전(全) 과정 및 결과를 저장한 자연어 스크립트 파일에 의해서도 학습자 행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저장된 자연어 스크립트 파일은 구현된 인터프리터를 이용한 재생뿐 아니라, 파일 자체만으로도 학습과정을 판독할 수 있고, 스크립트 파일에 대한 해석은 교수자에게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의 근거를, 학습자에게는 자신의 학습 행동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원격교육시스템에 비해 장비 및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간소화되었고, 원격교육에 면대면 학습 개념을 근사적으로 접목시킨 교수 모델로서의 충분한 가치를 제공하나, 실제적인 학습 적용과 효과에 있어서의 타당성은 차후 검증이 있어야 하고, 또한, 이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도 필요하다.

  • PDF

The Web Service based Learner Tailoring Adaptive E-Learning System using Item Difficulty (문항난이도를 이용한 웹 서비스 기반의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

  • Jeong, Hwa-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3
    • /
    • pp.151-157
    • /
    • 2009
  • A lot of E-Learning system is supplying the existent item difficulty based learning information to learner. And learner is do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fixed learning course. It is difficult for learner to get efficient learning effect. Because learner has to belong to fixed item difficulty and learning course even thought learner has different degree that understand studying in learning course. This research proposed the learner adaptive E-learning system that is able to control the item difficulty and learning course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degree of learner in learning course. In this result, learner is able to improve learning effect to get rid of fixed learning course using bi-directed learning such as off-line learning.

  • PDF

A Design of The Tailored Learning Navigation based on The Learning Pattern of Learner (학습자의 학습 패턴을 통한 맞춤형 학습 내비게이션 설계)

  • Jeong, Hwa-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6
    • /
    • pp.109-115
    • /
    • 2008
  • A lot of method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 E-learning have been researched and applied. In roost E-learning systems, the learning navigation presenting the learning course and progress to learners is applied. But roost learning course and progress are designed by teacher beforehand and learners study the learning course and progress already fixed. In this research, a learning navigation which can change the learning course and progress dynamically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effect is presented.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which define the learning course and progress by learning chapters, contents and item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and each process logic was analyzed through CSP.

  • PDF

A Design of Educational Repository System (교육용 리파지토리 시스템 설계)

  • Choi, Myoung-Hoi;Choi, Jin-Gyu;Lee, Hyun-Ju;Jou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6
    • /
    • 2005
  • 현재의 교육에 있어서 정보의 가치는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학습 과정에서 생성되는 많은 정보들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생성한 결과물을 차기 학습에 참고자료로서 재활용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질적으로 향상된 학습 과정 개발이 가능하며 또한 풍부한 실질적인 학습 참고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저장소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E-Repository 시스템을 제안한다. E-Repository 시스템은 생성된 학습 결과물은 체계적으로 등록, 관리하고 학습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배가시키고 보다 풍부한 정보의 제공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더 나아가 보다 체계적인 학습 과정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