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 특성

검색결과 2,697건 처리시간 0.032초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4-6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40명의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409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전공 전망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차원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전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취업준비도는 보통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취업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 취업정보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취업준비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의 관계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모두에 적용되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특성 및 화학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hemistry Items for Multiple Culture and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03-3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수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생 과학 성취도를 다문화 탈북 집단별 성취특성, 문항별 집단별 정답률 및 변별도, 내용영역별,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유형별 특성을 계량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는 일반 학생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기초학력과 기초미달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의 하위집단별로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다. 일반 학생과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도입국 학생과 탈북 가정 학생의 경우는 전 영역에서 고르게 취약한 반면, 외국인 가정 학생의 경우는 특정 영역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다문화 탈북 가정 학생을 위한 교수 학습 및 교육 지원이 각각 집단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lf Esteem and Reactions on Landscape Montage Test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송순현;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313-333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풍경구성법을 실시한 후 SPSS.PASW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보다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높았다. 둘째,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풍경구성의 통합성, 원근과 공간감 표현, 추가 항목 수, 문과 창문의 유무 4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The study on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 전미애;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7-98
    • /
    • 201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이, 방과 후에 어떤 형태의 일상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성향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의 J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학습된 무기력학생 대상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학생 15명을 연구자가 임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거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관찰과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은 여가활동, 학습활동, 생활유지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가 활동 (컴퓨터 게임, TV 시청, 친구와 어울려 돌아다니기,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학교 밖 일상 활동은 학교생활과는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에서는 무기력 성향을 보이던 학생들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는 학교에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의 무기력 성향이 학교 밖 일상 활동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Explor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 신세인;이준기;이고은;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281-29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두 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학습동기 구인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96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1063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상관관계 분석의 두 가지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와 학년간 상호작용이 과학학습동기 차이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년에 따라 학습동기의 큰 차이를 보이는 반면,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우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학생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과학학습동기를 나타내었다. 과학학습동기의 다섯 가지 요소 간 상관관계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공업계고 학생들이 상당히 낮았다. 마지막으로 공업계 특성화고 2학년들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상관정도는 1학년학생들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AHP를 이용한 우수 학생 평가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ing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김현경;김우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63-1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수 학생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학습 성과 및 과외활동을 바탕으로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학금 제도는 평가 기준이 해당 학기 평점으로 장학금 혜택을 받는 학생들이 일부 학생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실제로 평점뿐 아니라 다른 평가 기준을 가지고 학생들을 평가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키워 줄 필요가 있다 평점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이 아닌 다양한 기준의 평가 모형을 가지고 학생들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식의 학생평가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신학전공 학생과 비신학전공 학생간의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how Christian characteristics affects between christian theology major students and non-major students. (focused upon faith characteristic variable and chapel satisfaction))

  • 한만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3-51
    • /
    • 2016
  • 본 연구는 신학과 학생들과 비신학과 학생들 중에서도 기독교인 학생들에게 기독교인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도 특별히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가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신학과 학생들과 비신학과 학생들 간에는 어떤 것들이 기독교인성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B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신학과 학생들이 비신학과 학생들보다 기독교인성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왔고, 채플 만족도, 개인적인 기도시간, 묵상시간, 성경읽기시간이 길수록, 교회활동이 많을수록 기독교인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대학 환경특성이 전반적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ity's Environments on Overall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and Student Satisfaction in Undergraduate Higher Education)

  • 이용기;장병집;박영균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1호
    • /
    • pp.77-100
    • /
    • 2002
  • 본 연구는 대학 환경특성이 전반적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저자들은 선행연구와 학생들과의 토의를 통하여 학생만족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24개로 선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교수/교육과정, 교육시설, 학내외 활동/위치, 교육지원서비스, 편의시설, 수업료의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C 대학교의 463명의 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Lisrel 8.3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요약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시설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내외 활동/위치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원서비스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교육과정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반적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서비스가치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반적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학생만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환경특성과 학생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전반적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마지막에서는 관리적 시사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정주헌;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1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및 전략적 학급경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수업몰입 측정도구(21문항)와 교사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25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1개교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비해 감정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몰입 요인과 감정몰입 요인에서 1학년 학생이 2, 3학년 학생 보다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보통 수준이며, 평가적지지, 도구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학생의 수업몰입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그 설명력 모두 높은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수업몰입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의 정서적지지가 높은 상관도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만족감을 갖게 하여, 정서발달과 자아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박소현;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1-5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 및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 정서지능 측정 도구(40문항)와 학교적응 측정 도구(20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8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7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33.6%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도 높은 것을 나타내므로, 정서지능이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지능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교우관계가 상대적으로 좋다고 볼 수 있으며,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회복탄력성 등이 높기 때문에 학교적응 또한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