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 만족도

검색결과 2,250건 처리시간 0.028초

저소득층 온라인학습 만족도 및 변인별 만족도 차이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 variables in online learning for low-income students: Seoul U-learning system)

  • 안미리;박성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68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해오고 있는 온라인학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학생 대상 온라인학습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저소득층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으로 웹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성실하게 응답한 28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학습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족도 하위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온라인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매니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을 위해 학습자 인구배경학적 변인 및 학습자 개인적 특성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구배경학적 변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개인적 특성에서는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 대상의 온라인학습서비스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특성과 환경을 배려한 온라인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관 연구 (Satisfaction with major and view of profess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04-107
    • /
    • 2012
  •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인식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교과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3.51점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 취업을 원하는 학생일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p<0.05). 치위생과 학생의 전문직관은 치위생의 독자성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관은 3.48점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전문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전공만족도와 전문직관의 관계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결론적으로 치위생과 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확립을 위해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졸업 후 취업에 대한 비젼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Gifte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 조성신;유미현;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65-4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 영재학급 영재학생, 영재교육원 영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영재학생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느끼는 학교생활만족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영재학생 76명, 초등 일반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급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재교육원 영재학생, 일반학급 학생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이 다른 영재학생의 소속 영재교육기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학급의 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영재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생활만족도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영재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는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 생활만족도 비교 및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Comparison of Time Management Behavior, Life Satisfaction betwee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 김선미;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15-33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를 조사하고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영재학급 중학생 104명과 중학교 일반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재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영재학생은 성별에 따른 시간관리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학생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시간관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집단과 성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활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성별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셋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시간관리 행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관리 행동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수도권 거주 중.고등학생의 점심식사 유헝별 만족도 조사

  • 최희숙;송태희;우인애;김용선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4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52-52
    • /
    • 2004
  • 중ㆍ고등학생의 점심식사가 학교급식의 형태로 점차 전환되고 있는 실정에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점심식사 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점심식사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거주 중ㆍ고등학생의 경우 응답자의 54.2%가 학교 급식을 하였으며, 37.4%가 도시락을 싸오고, 3.7%는 도시락 전문점, 1.6%는 학교 식당, 1.1%는 학교 밖 식당을 이용하였으며, 1.1%는 기타, 1.1%는 먹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중략)

  • PDF

의류학 관련 전공에 대안 학생들의 전공 만족요인: 구조적 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for a Clothing and Textiles Major: A Modeling)

  • Eunkyung Jeon;Eunyoung Chang;Lee, Kyu-Hy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14-162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학 관련 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변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의류학 관련학과를 전공으로 하는 국내 2년제 및 4년제 10개 대학의 재학생으로, 총 690부의 설문자료가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Lisrel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의 결정 변인과 구조적 모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문적 경쟁력과 전공에 대 한 적성 및 흥미가 가장 중요한 전공 만족도의 결정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기타 만족도 변인인 시설 및 장비, 취업, 학생활동 관여도, 사회적 유대감등은 전공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융합적인 연구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5-8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3.17점/5점, 3.24점/5점).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실습동료와의 관계, 간호직에 대한 의미에 따라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는 종교 유무, 전공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048, p=.615). 향후 일부 간호학생으로 한정되었던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임상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실습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대학 교수와 실습현장의 간호교육자들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신학전공 학생과 비신학전공 학생간의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how Christian characteristics affects between christian theology major students and non-major students. (focused upon faith characteristic variable and chapel satisfaction))

  • 한만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3-51
    • /
    • 2016
  • 본 연구는 신학과 학생들과 비신학과 학생들 중에서도 기독교인 학생들에게 기독교인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도 특별히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신앙특성변수와 채플 만족도가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신학과 학생들과 비신학과 학생들 간에는 어떤 것들이 기독교인성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B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신학과 학생들이 비신학과 학생들보다 기독교인성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왔고, 채플 만족도, 개인적인 기도시간, 묵상시간, 성경읽기시간이 길수록, 교회활동이 많을수록 기독교인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대학 환경특성이 전반적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ity's Environments on Overall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and Student Satisfaction in Undergraduate Higher Education)

  • 이용기;장병집;박영균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1호
    • /
    • pp.77-100
    • /
    • 2002
  • 본 연구는 대학 환경특성이 전반적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저자들은 선행연구와 학생들과의 토의를 통하여 학생만족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24개로 선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교수/교육과정, 교육시설, 학내외 활동/위치, 교육지원서비스, 편의시설, 수업료의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C 대학교의 463명의 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Lisrel 8.3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요약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시설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내외 활동/위치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원서비스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교육과정 요인이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반적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서비스가치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반적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학생만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환경특성과 학생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전반적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마지막에서는 관리적 시사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 PDF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4-6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40명의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409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전공 전망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차원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전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취업준비도는 보통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취업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 취업정보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취업준비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의 관계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모두에 적용되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